사회복지실천과 행동수정모델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사회복지실천과 행동수정모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등장배경

2. 이론적 배경

3. 기본 개념

4. 개입목표와 과정

5. 개입기법

본문내용

고 할 때, 2분 30초에 한 번의 강화를 주고, 그 다음에는 각각 3분 50초, 7분, 8분 10초, 그리고 10분에 강화를 준다. 강화를 제공하는 시간이 일정하지 않지만 10분 동안에 다섯 번의 강화를 주기 때문에 평균시간은 2분이 된다.
(3) 고정비율 스케줄(Fixed-Ratio schedule: FR)
특정한 반응 빈도를 보일 때마다 강화를 준다. 예를 들어서, 전체 열 번의 반응을 나타내는 동안 다섯 번의 강화를 제공한다면 두 번의 반응이 나타날 때마다 강화를 준다. 이 강화 스케줄은 지속적인 강화나 고정간격 강화 스케줄에 비해서 높은 비율의 반응을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만약 근로자가 자신이 수행한 작업의 성과에 따라서 보상을 받는다면 일을 열심히 하여 더욱 많은 급여(강화)를 받고자 노력할 것이다. 이는 일정한 시간에 따라서 강화가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 반응의 빈도에 따라서 강화가 제공되기 때문이다.
(4) 변수비율 스케줄(Variable-Ratio schedule: VR)
특정한 반응이 나타날 때마다 강화를 주지만 반응의 빈도를 고정적으로 하지 않고 빈도를 다양하게 정하여 그 빈도에 따라서 강화를 준다. 예를 들어서, 열 번의 반응이 나타나는 동안에 다섯 번의 강화를 준다면 1회, 3회, 6회, 7회, 10회의 반응이 있을 때 강화를 제공한다. 이 강화 스케줄은 높은 비율의 반응을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판매사원은 언제 상품이 판매될 것인지 정확하게 예상할 수 없음에도 불구하고 많은 사람들을 만난다. 사람들은 많이 접촉할수록 상품을 팔 수 있는 기회가 더욱 많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6) 변별강화
변별강화(discriminative reinforcement)는 두 개의 반응 중에서 하나는 문제성이 있는 반응이고 또 다른 하나는 사회 적응적인 반응이라고 할 때, 사회 적응적인 반응에는 강화가 주어지고, 문제가 있는 반응에 대해서는 강화가 주어지지 않는다면 그 결과로 사회 적응적인 반응은 증가되고 문제성이 있는 반응은 감소하게 된다.
예를 들면, 아이가 바람직한 행동을 하는 경우에만 관심을 나타내면서“좋다”라는 반응을 보이면 아이는 칭찬 받는 행동반응이 증가한다. 반면에 아이가 바람직하지 않은 반응을 보일 때는 관심을 나타내지 않고 강화를 주지 않으면 바람직하지 않은 반응이 감소하게 된다.
7) 행동조성
행동조성(behavior shaping)은 인간행동의 대부분은 한꺼번에 습득되는 것이 아니라 조금씩 점진적으로 학습된다. 예를 들면, 비둘기에게 음식이 제공되는 어떤 버튼을 쪼도록 학습시키는 것도 복잡한 행동이나 복합적인 기술을 학습시키기 위해서 사용하는 행동조성의 방법이며, 바람직한 행동을 학습할 수 있도록 기대에 부응하는 행동에 대하여 강화함으로써 행동을 점진적으로 만들어 가는 것이다.
8) 역조건화
역조건화(counter conditioning)는 치료적 금기로 불리는 기법이다. 이 기법을 상반되는 조건을 제공하고 체계적 둔감법이 수반되면서 클라이언트가 이겨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토끼, 쥐 그리고 털(모피)이 있는 대상물에 대한 공포의 고전적 치료법의 예로서 Peter라는 3세 된 소년의 경우이다. 상반된 조건하에서 그에게 음식을 먹였다. 그러나 그는 토끼가 가까이 있자 공포심을 이기지 못해 도망가는 것조차 잊어버렸다. 이 어려움을 이겨내자 그는 음식을 먹을 수 있었다. 방의 한구석에 우리 속에 넣은 토끼를 놓아두었다. 세션이 진행될수록 안정을 찾았으며 우리에게 나와 그에게 다가와도 편안했다. 결국에는 토끼를 그의 무릎에 올려놓고, 코끼가 그의 손가락을 조금씩 깨물어도 기쁘기만 했다.
9) 체계적 둔감법
체계적 둔감법(systematic desensitization)은 Wolpe(1969)가 발전시킨 것으로 이완요법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Wolpe에 의한 역조건화를 이용하여 상상된 자극에 대한 이완된 반응을 활용하는 것이다. 상상된 자극에 대한 불안의 제거는 실제 상황에서 실제 자극에까지 일반화되는 것이다. 특별한 불안과 관련된 자극의 목록을 작성하여 클라이언트의 이야기에 근거하여 서열을 정한다. 근육을 이완시킨 상태에서 낮은 수준의 자극에서부터 시작하여 높은 수준의 자극에 이르기까지를 경험하여 불안 혹은 부정적인 반응을 점차 줄이는 방법이다.
10) 용암법
용암법(fade-out)은 한 행동이 다른 상황에서도 발생할 수 있도록 그 상황을 점차적으로 변경하여 가는 방법을 말한다. 예를 들면 대인관계에 미숙한 클라이언트에게 대화법을 학습시키고자 할 때 먼저 사회복지사와의 관계에서 대화법을 익힌 후에 점차 다른 상황에서도 대인관계를 잘 할 수 있도록 확대시켜 나가는 방법이다
11) 타임아웃
타임아웃(time out)은 문제행동이 어떤 상황으로 인하여 강화를 받게 되는 경우에 문제행동을 한 사람을 그 상황으로부터 격리시키는 방법을 말한다. 예를 들면, 동화시간에 한 아동이 옆에 있는 아동을 괴롭히게 되면 문제행동을 한 아동이 그 동화를 계속 들을 수 없도록 그 상황으로부터 격리시키는 것을 말한다.
12) 가족조각기법
가족조각기법(family sculpting)은 공간을 이용하여 가족구성원들을 다양한 신체적 자세로 배열시킴으로써 가족구조를 시각적으로 묘사하는 기법으로 가족갈등의 형태를 공간 속에 행동적인 형태로 드러내는 것이다. 가족간의 갈등 등으로 문제가 있는 경우 기존의 관계에서 벗어나서 새로운 가족관계를 시각적으로 전시해 보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어머니가 지나치게 딸과 밀착되어 있고 아버지는 가족 모두에게 소외되어 있을 경우, 사회복지사는 아버지와 어머니를 가까이서 서로 마주보게 하고 딸을 부모체계로부터 거리를 두도록 이 가족을 새롭게 조각함으로써 가족이 지향해야 되는 가족관계를 시각적으로 보여준다.
13) 토큰경제
토큰경제(token economy)는 칭찬, 인정 등과 같은 무형의 강화물이 효력이 없을 때 적용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가 미리 선택된 행동을 지키면 강화물인 토큰을 받게 하는 것으로 토큰의 예로서 담배, 사탕, 티켓, 선물용품, 장난감, 특정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는 특권 등 여러 대체물이 사용된다.
  • 가격2,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12.03.19
  • 저작시기2012.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3466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