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1) 변화된 현재 중국의 모습
(2) 21세기의 중국이 한국에게 위기인 이유
(2)-1. 21세기 중국의 잠재력
1) 고도성장
2) 거대한 내수시장
3) 해외시장 점유율 증가
3. 한국의 대응방안
1) 내부역량강화
2) 내수시장 진출
3) 중국의 Community 진출에 따른 전략
4) IT산업에 집중
참고문헌
(1) 변화된 현재 중국의 모습
(2) 21세기의 중국이 한국에게 위기인 이유
(2)-1. 21세기 중국의 잠재력
1) 고도성장
2) 거대한 내수시장
3) 해외시장 점유율 증가
3. 한국의 대응방안
1) 내부역량강화
2) 내수시장 진출
3) 중국의 Community 진출에 따른 전략
4) IT산업에 집중
참고문헌
본문내용
다. 한 중간에 협력이 진전될 수 있는 환경조성을 통하여 연구 개발 부분, 마케팅 및 판매부분, 생산 부분 역량을 상호 연계하여 한중 우위 요소를 활용하는 협력 방안이 필요하다
4) IT산업에 집중
한국의 경우 삼면이 바다이고 한 면은 육지에 닿아있다는 자연적 이점이 존재하지만 한편으로는 자원이 부족하다는 점이 문제점이다. 그렇기에 중화학 공업과 노동 집약적 산업의 성장은 더 이상 가속화 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중국의 동일 산업의 발전으로 인해 산업자체에 대한 생존의 위협 속에 있다. 그러므로 우리의 유일한 자원인 노동 자원을 활용할 수 있는, 기술 집약적이며 고부가가치 산업인 IT산업에 집중을 해야 할 것이다.
중국의 IT산업의 경우 인프라 구조도의 취약과 기술력 확보의 문제점이 남아있으나 지속적인 급속한 IT 산업의 성장을 간과할 수 없는 것이다. 또한 중국의 경우 외국인 투자에 대한 엄청난 유치전과 저렴한 노동력이 가장 큰 이점이다. 이 점이 곧 우리에게 가장 큰 약점으로 존재한다.
한국의 경우 외국인 투자 유치에 대한 정부의 소홀하고 소극적인 행정이 가장 큰 문제로 존재하고, IT 산업의 경우 핵심부품의 해외 의존도가 심하고, 독점적 기술 우위의 부족과 유통망 미비, 기술력 사용비 대가가 심하다.
이에 반해 중국에 대한 IT산업을 진출시 같은 한자문화권이라는 다른 외국 기업체 보다의 문화적 동질성에서, 대량 생산 기술의 보유와 특정 분야의 세계적인 경쟁력 보유가 다른 하나의 장점으로 통한다.
그렇기에 이러한 중국의 장점을 생각하면 이제는 정부차원에서의 IT 산업에 대한 집중적 R&D강화와 외국투자에 대한 유치 강화, 적극적 행정이 우선 과제이며, 우리 기업체들은 좀 더 독점적 기술력 확보와 독자적 핵심부품 생산력에 많은 투자를 아끼지 말아야 할 것이다.
이것이 곧 앞서 이야기 한 경쟁력의 재고이며, 중국 경제 발전에 대한 우리의 대응책이라고 본다.
참고문헌
김원길, 「21세기 중국 사로잡기」, 참벗, 2003.
이장우 외, 「중국 한국과 세계」, 영남대학교 출판부, 2003.
김익수 외, 「현대 중국의 이해」, 나남출판, 2005.
김기흥, 『중국의 기술 추격과 동아시아지역에서 국제기술분업 전략과 한국의 대응 :전자 IT 산업을 중심으로』, 京畿大學校부설韓國産業經濟硏究所학술발표논문, 2006.
『중국의 기술경쟁력 급부상에 따른 우리의 과학기술전략』, 과학기술정책연구원 , 2002. 05. 06
4) IT산업에 집중
한국의 경우 삼면이 바다이고 한 면은 육지에 닿아있다는 자연적 이점이 존재하지만 한편으로는 자원이 부족하다는 점이 문제점이다. 그렇기에 중화학 공업과 노동 집약적 산업의 성장은 더 이상 가속화 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중국의 동일 산업의 발전으로 인해 산업자체에 대한 생존의 위협 속에 있다. 그러므로 우리의 유일한 자원인 노동 자원을 활용할 수 있는, 기술 집약적이며 고부가가치 산업인 IT산업에 집중을 해야 할 것이다.
중국의 IT산업의 경우 인프라 구조도의 취약과 기술력 확보의 문제점이 남아있으나 지속적인 급속한 IT 산업의 성장을 간과할 수 없는 것이다. 또한 중국의 경우 외국인 투자에 대한 엄청난 유치전과 저렴한 노동력이 가장 큰 이점이다. 이 점이 곧 우리에게 가장 큰 약점으로 존재한다.
한국의 경우 외국인 투자 유치에 대한 정부의 소홀하고 소극적인 행정이 가장 큰 문제로 존재하고, IT 산업의 경우 핵심부품의 해외 의존도가 심하고, 독점적 기술 우위의 부족과 유통망 미비, 기술력 사용비 대가가 심하다.
이에 반해 중국에 대한 IT산업을 진출시 같은 한자문화권이라는 다른 외국 기업체 보다의 문화적 동질성에서, 대량 생산 기술의 보유와 특정 분야의 세계적인 경쟁력 보유가 다른 하나의 장점으로 통한다.
그렇기에 이러한 중국의 장점을 생각하면 이제는 정부차원에서의 IT 산업에 대한 집중적 R&D강화와 외국투자에 대한 유치 강화, 적극적 행정이 우선 과제이며, 우리 기업체들은 좀 더 독점적 기술력 확보와 독자적 핵심부품 생산력에 많은 투자를 아끼지 말아야 할 것이다.
이것이 곧 앞서 이야기 한 경쟁력의 재고이며, 중국 경제 발전에 대한 우리의 대응책이라고 본다.
참고문헌
김원길, 「21세기 중국 사로잡기」, 참벗, 2003.
이장우 외, 「중국 한국과 세계」, 영남대학교 출판부, 2003.
김익수 외, 「현대 중국의 이해」, 나남출판, 2005.
김기흥, 『중국의 기술 추격과 동아시아지역에서 국제기술분업 전략과 한국의 대응 :전자 IT 산업을 중심으로』, 京畿大學校부설韓國産業經濟硏究所학술발표논문, 2006.
『중국의 기술경쟁력 급부상에 따른 우리의 과학기술전략』, 과학기술정책연구원 , 2002. 05. 06
추천자료
북미자유무역협정(NAFTA; North American Free Trade Agreement)
한국경제와 외국인직접투자
기후변화협약에 대한 한국정부의 대응현황과 문제점 및 개선방향
한-EU FTA 체결이 우리 전자산업분야에 미칠 영향과 그 대응방안
[중국][무선인터넷][무선인터넷컨텐츠]중국 무선인터넷업체의 현황, 중국 무선인터넷컨텐츠의...
[해외진출]IT산업의 해외시장진출, 게임산업의 해외시장진출, 문화산업의 해외시장진출, 음반...
의료산업 무역수지 적자 축소를 위한 첨단 보건의료산업 육성전략
국제 물류 해운산업의 현황과 위기극복방안
[그리스재정위기] 그리스재정위기의 원인과 영향 및 대책과 우리의 대응방안-그리스디폴트, ...
[차이완리스크] 중국과 대만의 경제통합에 따른 변화와 한국의 대응방안.PPT
[산업구조, 한국, 고부가가치, 전력, 가스, 철도, 방송, 관광]한국산업구조, 고부가가치산업...
[한국사회문제 D형] 왜 현재 한국사회의 청년실업문제가 단순히 실업율의 문제가 아닌지에 대...
중국 경제의 비상(飛上)이 한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