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거래소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거래소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한국거래소 에 대해

1)한국거래소 전종목 시세판

1.코스피

2.코스닥

2)한국거래소 주요 산업

3)자본시장의 규모및 거래양태

4)KRX 상장 금융투자상품

5)한국거래소가 하는일

II. 자본시장과 금융투자 상품거래

1)자본시장의 구조

2)자본시장의 개념변화

3)자본시장의 환경변화

4)파생상품시장의 환경변화

5)금융투자상품의 거래 절차

6)주식과 장내파생상품 거래의 특징적 차이

7)주식용어

III.일본종합주가지수

본문내용

로 합의한 거래로 선물거래와 달리 상품이 표준화되지 않고 결제이행 기관이 별도로 없는 계약. 인도일, 계약금액 등 구체적인 계약조건은 당사자간의 협상에 의해 결정된다.
선물거래 : 선도거래와 상대적인 개념. 일정기간 후에 일정량의 특정상품을 미리 정한 가격에 사거나 팔기로 계약하는 거래형태. 이는 매매계약의 성립과 동시에 상품의 인도와 대금지불이 이루어지는 현물거래(spot transaction)에 대응되는 개념. 선도거래에 비해 결제이행을 보증하는 기관이 있고 상품이 표준화된 것이 차이
파생금융상품 : 예상치 못한 금리나 환율의 변동에 따른 위험(risk)을 회피하기 위해 고안된 상품을 말한다. 파생금융상품이란 환율, 금리, 주가의 변동으로 기초금융자산(underlying assets) 및 부채의 가치가 달라짐에 따라 리스크를 회피하기 위하여 고안된 상품인데, 여기서 "파생"이란 용어가 사용된 것은 파생금융상품의 가치가 외환, 채권, 주식 등 기초자산의 가치변동으로부터 파생되어 결정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파생금융상품은 자금의 차입과 대출, 주식이나 외환의 매매 등 전통적인 금융상품의 거래로부터 변형 발전된 상품이라 할 수 있다.
누진세 : 세율의 적용에 있어 과세표준이 크면 클수록 단계적으로 높은 세율을 적용하는 세금을 말한다. 과세대상이 클수록 세율이 더욱 높아진다.
과세표준의 크기에 관계없이 일정한 세율을 적용하는 비례세에 상대되는 세금이다. 소득세, 상속세, 증여세 등 직접세가 누진세 적용 대상에 속하며 이는 소득 재분배의 효과가 크다.
약정 : 증권사가 유가증권 거래를 성립시킨 것을 말한다. 거래체결 가격을 약정가격이라 하며 약정가격에 주식수를 곱한 것을 약정대금이라 한다. 고객의 위탁에 따라 매매가 성립한 경우 증권회사는 고객에게 매매보고서를 교부해야 한다
옵션 : 가격, 기간등에 대해 미리 정해진 조건에 따라 상품이나 유가증권 등 특정자산을 사거나 팔 수 있는 권리를 말한다. 이를 매매하는 것을 옵션거래라고 한다. 옵션계약에서 정하는 특정자산을 사거나 팔 수 있는 권리는 옵션발행자가 매수자에게 부여하고 매수자는 일정기간 동안 옵션계약에 명시된 사항을 옵션발행자에게 이행토록 요구하거나, 요구하지 않아도되는 조건부청구권을 가지게 된다. 옵션거래는 권리를 행사할 수 있는 기간이 미래이기 때문에 선물거래의 일종으로 해석할 수 있다.
Bull market & Bear market : 증시에서 (황소가 공격하는 모습) bull 는 주식을 사는 쪽 혹은 상승장을 의미한다 불 마켓 Bull Market 이란 보통 장기간에 걸친 주가 상승을 말한다 이에 반해 곰 bear 은 하락장을 대표한다 따라서 베어 마켓 bear market 은 곰처럼 느려 터진 거래가 부진한 약세 시장 을 의미한다
배당률 : 액면배당을 기준으로 1주당 액면금액에 대해서 지급되는 배당금의 비율을 말하며 배당률 = 배당금/액면가액×100(%)으로 계산한다.배당률은 정기주주총회에서 결정한다.
ETF : ETF(Exchange Traded Fund 지수연동펀드)란 특정한 주가지수의 움직임을 따라가도록 운용되는 투자신탁으로, 증권거래소에 상장된 주식과 동일하게 실시간으로 매매가 가능한 상품이다.

예를 들어, KOSPI 지수를 대상으로 한 ETF라면 KOSPI 지수의 구성종목에 연동하도록 종목을 보유하고 운용이 된다. 따라서 KOSPI200 지수를 대상으로 하는 ETF를 매입한다는 것은 KOSPI 200지수라는 주식을 매입하는 것과 동일하다고 할 수 있다.

ETF 투자의 이점은?
1) 가격 변동 파악과 투자판단이 용이하다. ETF는 매일 TV와 신문에서 볼 수 있는 주가지수의 움직임에 연동하도록 운용되는 상품이기 때문에 가격의 움직임을 쉽게 알 수 있다.2) 분산투자에 의해 리스크를 저하할 수 있다. 특정종목을 보유하는 경우 당해 회사가 파산시 투자자는 모든 것을 잃게 되지만 ETF의 경우에는 대상주가지수를 구성하는 종목에 폭넓게 투자하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개별종목에 투자하는 것보다 그만큼 리스크가 분산된다고 할 수 있다.3) 소액의 자금으로 주식시장 전체의 매매가 가능하다. 자금력이 부족한 개인투자가는 ETF를 이용할 경우 주가지수에 연동하도록 운용되는 투자신탁을 주식과 동일하게 매매할 수 있기 때문에 소액으로도 주식시장 전체에 대한 매매가 가능하게 되는 셈이다.
III.일본종합주가지수
일본의 종합주가지수
일본경제(약칭 '닛케이') 신문사가 도쿄증권거래소 1부시장에 상장된 주식 가운데 225개 종목의 시장가격1975년부터 일본의 니혼게이자이 신문사가 산출하여 발표하는 가격가중평균 주가지수입니다.
코스피, 니케이, 다우지수는 각 나라를 대표하는 주가지수로서 경제 수준을 잘 나타내는 지표로서 단연 으뜸이다.
1980년대 일본 주가가 매년 30% 정도 상승하여 투자가에게는 천국이나 다름 없는 나라였다. 1989년 니케이 225지수는 전년 대비 약 9,000포인트나 상승하여 역사상 최고치인 38,915.87를 기록 투자가들은 기쁨의 샴페인을 터뜨렸다.
2008년 1월 10,000포인트에 비하면 상당히 빠진 상태이다. 그 주요 원인 일본내 장기간 부동산 경기 침체로 인하여 주가에 버블 붕괴의 현상이 발생 하였다.
2003년부터 일본은 차츰 상승쪽으로 그 무게 중심이 흐르고 있다는 사실을 차트를 보면 알수 있을 것이다.
2003년 4월 니케이지수는 7,607포인트를 기준으로 2004년도 11,000포인트로 인텍스 기준 50%가 상승하였고 2005년 중반까지는 등락폭이 적은 보합세를 유지하였다.
2005년 중반 이후 2007년까지는 길본 경기의 회복으로 18,000포인트로 상승하다가 2008년도 말에는 세계적인 금융 위기 및 일본 자국내의 경기 침체로 7,162포인트로 포인트가 대폭 하강 하였으나 2009년도 말에는 소폭 주가가 상승하여 10,546포인트를 형성하고 있다.
출처
원리로 배우는 주가지수 200 선물.옵션 저자:윤종인 출판사:신론사
파생상품의 평가와 헷징전략 저자: 김철중 출판사:탐진
http://100.naver.com/
http://cafe.naver.com/stockschart
  • 가격5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12.03.20
  • 저작시기2011.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3489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