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험 제목
2. 실험 날짜
3. 실험 조원
4. 실험 준비물
5. 서론
6. 실험 방법
7. 결과 및 관찰
8. 고찰
9. 참고문헌
2. 실험 날짜
3. 실험 조원
4. 실험 준비물
5. 서론
6. 실험 방법
7. 결과 및 관찰
8. 고찰
9. 참고문헌
본문내용
16 : 10 ≒ 0.60 : 0.18 : 0.13 : 0.08 ≒ 7.2 : 2.2 : 1.6 : 1‘값이 나온다. 어림잡아 생각해 봤을 때 이 값은 ’9 : 3 : 3 : 1’비율은 나오지 않는다.
이번엔 독립적 분리에 의한 유전자형의 비를 알아보았다. 멘델에 의하면 독립적 분리에 의한 유전자형의 비는 ’RRYY : RRYy : RRyy : RrYY : RrYy : Rryy : rrYY : rrYy : rryy = 1 : 2 : 1 : 2 : 4 : 2 : 1 : 2 : 1‘을 만족해야 한다. 「표4」의 결과 값을 보고 알아본 결과 ’RRYY : RRYy : RRyy : RrYY : RrYy : Rryy : rrYY : rrYy : rryy = 6 : 16 : 5 : 15 : 35 : 17 : 9 : 7 : 10‘이 나왔다. ’RRYY : RRYy : RRyy‘과 ’RrYY : RrYy : Rryy‘의 비율은 어림값을 짐작하여 봤을 때 거의 일치하게 나왔는데, ’rrYY : rrYy : rryy’의 경우엔 일치하지 않았다. 오히려 1 : 1 : 1에 가까운 값이 나왔다.
표현형과 유전자형에서 멘델의 독립의 법칙의 비율에 맞지 않는 값이 나온 이유를 생각해봤는데, 우리가 제비뽑기를 하는 과정에서 종이를 계속 여러 번 폈다 접었다 하니까 많이 잡힌 종이가 부드러워져 있어서 그런지 다른 종이보다 더 잘 잡힌다는 생각을 잠깐 한 적이 있었는데 아마도 그 때문에 무작위적이라는 조건이 완전 성립되지 않았기 때문이 아닐까? 예전에 친구들이랑 시내에서 경품응모권을 넣을 때 종이가 빳빳한 새 종이보다 약간 쭈글하거나 어느 정도 접힌 흔적이 있는 종이가 더 잘 잡힌다고 해서 구겨서 넣은 적이 있는데 이와 관련이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만일 제비뽑기가 아니라 동전 던지기로 했다면 무작위적으로 교배하는데 이와 같은 문제가 생기지 않아 위와 같은 결과가 안 나왔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9. 참고문헌
1) EnCyber 두산백과사전, 독립의 법칙, http://www.encyber.com/search_w/ctdetail.php?gs=ws&gd=&
cd=&d=&k=&inqr=&indme=&p=1&q=%B5%B6%B8%B3%C0%C7+%B9%FD%C4%A2&masterno=48
721&contentno=48721
2) EnCyber 두산백과사전, 분리의 법칙, http://www.encyber.com/search_w/ctdetail.php?gs=ws&gd=&
cd=&d=&k=&inqr=&indme=&p=1&q=%BA%D0%B8%AE%C0%C7+%B9%FD%C4%A2&masterno=7
9393&contentno=79393
3) EnCyber 두산백과사전, 우열의 법칙, http://www.encyber.com/search_w/ctdetail.php?gs=ws&gd=&
cd=&d=&k=&inqr=&indme=&p=1&q=%BF%EC%BF%AD%C0%C7+%B9%FD%C4%A2&masterno=1
19152&contentno=119152
이번엔 독립적 분리에 의한 유전자형의 비를 알아보았다. 멘델에 의하면 독립적 분리에 의한 유전자형의 비는 ’RRYY : RRYy : RRyy : RrYY : RrYy : Rryy : rrYY : rrYy : rryy = 1 : 2 : 1 : 2 : 4 : 2 : 1 : 2 : 1‘을 만족해야 한다. 「표4」의 결과 값을 보고 알아본 결과 ’RRYY : RRYy : RRyy : RrYY : RrYy : Rryy : rrYY : rrYy : rryy = 6 : 16 : 5 : 15 : 35 : 17 : 9 : 7 : 10‘이 나왔다. ’RRYY : RRYy : RRyy‘과 ’RrYY : RrYy : Rryy‘의 비율은 어림값을 짐작하여 봤을 때 거의 일치하게 나왔는데, ’rrYY : rrYy : rryy’의 경우엔 일치하지 않았다. 오히려 1 : 1 : 1에 가까운 값이 나왔다.
표현형과 유전자형에서 멘델의 독립의 법칙의 비율에 맞지 않는 값이 나온 이유를 생각해봤는데, 우리가 제비뽑기를 하는 과정에서 종이를 계속 여러 번 폈다 접었다 하니까 많이 잡힌 종이가 부드러워져 있어서 그런지 다른 종이보다 더 잘 잡힌다는 생각을 잠깐 한 적이 있었는데 아마도 그 때문에 무작위적이라는 조건이 완전 성립되지 않았기 때문이 아닐까? 예전에 친구들이랑 시내에서 경품응모권을 넣을 때 종이가 빳빳한 새 종이보다 약간 쭈글하거나 어느 정도 접힌 흔적이 있는 종이가 더 잘 잡힌다고 해서 구겨서 넣은 적이 있는데 이와 관련이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만일 제비뽑기가 아니라 동전 던지기로 했다면 무작위적으로 교배하는데 이와 같은 문제가 생기지 않아 위와 같은 결과가 안 나왔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9. 참고문헌
1) EnCyber 두산백과사전, 독립의 법칙, http://www.encyber.com/search_w/ctdetail.php?gs=ws&gd=&
cd=&d=&k=&inqr=&indme=&p=1&q=%B5%B6%B8%B3%C0%C7+%B9%FD%C4%A2&masterno=48
721&contentno=48721
2) EnCyber 두산백과사전, 분리의 법칙, http://www.encyber.com/search_w/ctdetail.php?gs=ws&gd=&
cd=&d=&k=&inqr=&indme=&p=1&q=%BA%D0%B8%AE%C0%C7+%B9%FD%C4%A2&masterno=7
9393&contentno=79393
3) EnCyber 두산백과사전, 우열의 법칙, http://www.encyber.com/search_w/ctdetail.php?gs=ws&gd=&
cd=&d=&k=&inqr=&indme=&p=1&q=%BF%EC%BF%AD%C0%C7+%B9%FD%C4%A2&masterno=1
19152&contentno=119152
추천자료
생물학 총정리
현대사상의 불확실성
[프로이드][프로이드의 정신분석이론][성격발달단계][프로이드 이론][꿈의해석][심리성적발달...
교육학 개론
[인간의 기원과 진화] 인간의 기원과 진화 요점정리 노트
[서평]과학의 사기꾼(세계를 뒤흔든 과학 사기사건과 그 주인공들의 변명)의 줄거리와 감상평...
[인간과 과학] 과학의 사기꾼(서평) - 세계를 뒤흔든 과학 사기사건과 그 주인공들의 변명
교육의 한계성
일반생물
Patterns of Inheritance
18장. 자연선택과 적응
세가지 문제에대한 각각의 현실및 대비책
생물학과 심리학,진화심리학,심리기제들의 진화,진화심리학의 평가,인류조상과 자녀양육,인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