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지역브랜드란
• 정의
• 종류
함평나비축제
• 함평 SWOT
• 함평나비축제-SWOT
• 개선점제시
나르다
• 브랜드소개
• ‘나르다’가 나아가야할 방향제시
• 정의
• 종류
함평나비축제
• 함평 SWOT
• 함평나비축제-SWOT
• 개선점제시
나르다
• 브랜드소개
• ‘나르다’가 나아가야할 방향제시
본문내용
지역브랜드마케팅
지역브랜드란?
[①지역에서 나오는 상품 및 서비스의 브랜드화]
(상품, 서비스)(새로운 상품, 서비스)(새로운 상품, 서비스)
↺ ↺ ↺
지역이미지강화 부가가치 연속적 전개
[②지역 이미지의 브랜드화]
〔지역이미지〕➠〕➠〕
〓〓〓〓〓〓〓〓〓〓〓〓〓〓〓〓〓〓〓〓〓〓〓〓〓〓〓〓〓〓〓〓〓〓〓〓〓〓〓〓〓〓〓〓〓〓〓〓〓〓〓
‘지역브랜드화란 ①지역에서 생산되는 상품·서비스의 브랜드화와 ②지역이미지의 브랜드화를 결부시켜 원활한 상호작용을 창출해내고, 지역외의 자금·인재를 끌어들여 지역 경제를 지속적으로 활성화 시켜 나가는 것’ 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따라서, 단지 지명을 붙인 상품이 팔리고 있다고 해서 되는 것이 아니며, 그 지역의 이미지가 좋아서만도 안 된다. 이 양쪽 모두가 서로 좋게 영향을 주면서 상품과 지역 양쪽 모두의 평가가 높아질 필요가 있다. 지역 브랜드 가치가 높아지면 그 지명을 붙인 상품의 매출에 직결된다. 그리고 그 지역의 고용을 촉진하고 지역이미지가 좋아지며, 더 나아가 관광 등에 대한 상승효과가 나타나 지역 활성화로 이어지게 된다. 즉, 이와 같은 순환적 상호작용을 낳게 된다.
° 지역브랜드란 ‘지역에 대한 소비자로의 평가’이며, 지역무형자산의 하나임
° 지역브랜드는 지역 그 자체의 브랜드(Regional Brand : RB)와
지역특징을 살린 상품브랜드(Products Brand : PB)로 구성됨
° 지역브랜드 전략이란 이러한 두가지 브랜드를 동시에 제고함으로써 지역활성화를 도모하는 활동임
즉, 지역브랜드란 지역 이미지를 구성하는 지역 그 자체의 브랜드(RE)와 지역 특성을 살린 상품브랜드(PB)가 있다. 이중 어느 쪽이든 한쪽만으로는 지역 브랜드가 되지 않고, 양쪽 모두가 존재하더라도 각자 뿔뿔이 흩어져 있어서는 지역브랜드라 부를 수 없다. 지역의 매력과 지역의 상품이 서로 좋은 영향을 미치면서 좋은 이미지 내지 평판을 형성하게 될 때 지역브랜드라 부를 수 있다.
Where is 함평?
≪ 지 도 ≫
함평 SWOT
┌─────────────────────
│ 강점
│
│ 백지와도 같은 지명이미지
│ 천혜의 여건과 풍부한 개발 잠재력
│ 양호한 배후 시장
└─────────────────────
┌─────────────────────
│ 약점
│
│ 낮은 지명 인지도
│ 빈약한 자연적,사회적,문화적 관광자원
│ 인구고령화, 산업구조단순화
│ 정주여건의 취약
└─────────────────────
┌─────────────────────
│ 기회
│
│ 광역교통망 구축으로 접근성 향상
│ 신 국가 균형 발전 논리의 대두
│ 주5일 근무제의확대
└─────────────────────
┌─────────────────────
│ 위협
│
│ 무한 경쟁시대 농산물시장의 개방
│ 인구의감소
│ 접근성 향상으로 대도시의 흡입력 강화
└─────────────────────
지역브랜드란?
[①지역에서 나오는 상품 및 서비스의 브랜드화]
(상품, 서비스)(새로운 상품, 서비스)(새로운 상품, 서비스)
↺ ↺ ↺
지역이미지강화 부가가치 연속적 전개
[②지역 이미지의 브랜드화]
〔지역이미지〕➠〕➠〕
〓〓〓〓〓〓〓〓〓〓〓〓〓〓〓〓〓〓〓〓〓〓〓〓〓〓〓〓〓〓〓〓〓〓〓〓〓〓〓〓〓〓〓〓〓〓〓〓〓〓〓
‘지역브랜드화란 ①지역에서 생산되는 상품·서비스의 브랜드화와 ②지역이미지의 브랜드화를 결부시켜 원활한 상호작용을 창출해내고, 지역외의 자금·인재를 끌어들여 지역 경제를 지속적으로 활성화 시켜 나가는 것’ 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따라서, 단지 지명을 붙인 상품이 팔리고 있다고 해서 되는 것이 아니며, 그 지역의 이미지가 좋아서만도 안 된다. 이 양쪽 모두가 서로 좋게 영향을 주면서 상품과 지역 양쪽 모두의 평가가 높아질 필요가 있다. 지역 브랜드 가치가 높아지면 그 지명을 붙인 상품의 매출에 직결된다. 그리고 그 지역의 고용을 촉진하고 지역이미지가 좋아지며, 더 나아가 관광 등에 대한 상승효과가 나타나 지역 활성화로 이어지게 된다. 즉, 이와 같은 순환적 상호작용을 낳게 된다.
° 지역브랜드란 ‘지역에 대한 소비자로의 평가’이며, 지역무형자산의 하나임
° 지역브랜드는 지역 그 자체의 브랜드(Regional Brand : RB)와
지역특징을 살린 상품브랜드(Products Brand : PB)로 구성됨
° 지역브랜드 전략이란 이러한 두가지 브랜드를 동시에 제고함으로써 지역활성화를 도모하는 활동임
즉, 지역브랜드란 지역 이미지를 구성하는 지역 그 자체의 브랜드(RE)와 지역 특성을 살린 상품브랜드(PB)가 있다. 이중 어느 쪽이든 한쪽만으로는 지역 브랜드가 되지 않고, 양쪽 모두가 존재하더라도 각자 뿔뿔이 흩어져 있어서는 지역브랜드라 부를 수 없다. 지역의 매력과 지역의 상품이 서로 좋은 영향을 미치면서 좋은 이미지 내지 평판을 형성하게 될 때 지역브랜드라 부를 수 있다.
Where is 함평?
≪ 지 도 ≫
함평 SWOT
┌─────────────────────
│ 강점
│
│ 백지와도 같은 지명이미지
│ 천혜의 여건과 풍부한 개발 잠재력
│ 양호한 배후 시장
└─────────────────────
┌─────────────────────
│ 약점
│
│ 낮은 지명 인지도
│ 빈약한 자연적,사회적,문화적 관광자원
│ 인구고령화, 산업구조단순화
│ 정주여건의 취약
└─────────────────────
┌─────────────────────
│ 기회
│
│ 광역교통망 구축으로 접근성 향상
│ 신 국가 균형 발전 논리의 대두
│ 주5일 근무제의확대
└─────────────────────
┌─────────────────────
│ 위협
│
│ 무한 경쟁시대 농산물시장의 개방
│ 인구의감소
│ 접근성 향상으로 대도시의 흡입력 강화
└─────────────────────
추천자료
지역 브랜드와 도시마케팅, 그 개념과 사례(싱가포르 도시마케팅)
지역브랜드 마케팅의 성공사례분석
지역특산물의 브랜드화(보령머드)
[졸업논문]효율적인 지역마케팅을 위한 도시브랜드 개발 제안 - 당진군을 중심으로
함평 나비 축제의 경제적 효과, 등장배경, 성공 요인, 마케팅 전략, 특징, 중요성, 지역경제 ...
함평 나비 축제 경제적 효과, 등장배경, 성공 요인, 마케팅 전략, 특징, 중요성, 지역경제 개...
태백산눈꽃축제,삿포로눈축제,축제,지역행사,마케팅,브랜드,브랜드마케팅,기업,서비스마케팅,...
보령머드축제 - 기존 MKT MIX/활성화 방안 제시 (지역축제 마케팅,축제마케팅전략사례,브랜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