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링(Polling), 인터럽트(Interrupt), DMA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폴링(Polling), 인터럽트(Interrupt), DMA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폴링
 (1)폴링이란?
 (2)폴링의 장단점
 (3)폴링의 방식

2. 인터럽트
 (1)인터럽트란?
 (2)인터럽트의 장단점
 (3)인터럽트의 종류

3. DMA
 (1)DMA란?
 (2)DMA의 장단점

본문내용

기억장치 영역의 주소, 전송될 데이터의 단어들의 수에 대한 명령을 전송한다. 이때 DMA제어기는 프로세서로 버스 요구 신호(BUS Req)를 보내게 된다. 버스 요구 신호를 전송받은 프로세서는 DMA제어기로 버스 승인(BUS Grant) 신호를 보낸다. 버스 승인신호를 받은 DMA제어기는 주기억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읽어서 디스크로 저장하게 된다. 모든 데이터들의 전송이 완료됐을 경우, 프로세서로 INTR 신호를 보내게 되어 전송이 완료됐음을 알린다.
(2) DMA의 장·단점
1) DMA의 장점
프로세서에 부하를 주지 않고 직접 주변 장치를 제어함으로써, 시스템의 효율성과 안정성을 높여 준다. 프로세서가 개입할 필요가 없이 메모리에 직접 데이터를 운반하기 때문에 프로세서의 부담을 크게 줄일 수 있다.
2) DMA의 단점
각 데이터를 전송할 때 마다 시스템 버스를 두 번 사용하게 된다. 따라서 버스 사용량의 증가로 인한 시스템 성능 저하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I/O장치들의 구조가 단순하지 않고 복잡하기 때문에 간단한 DMA제어기로 지원하는데 한계가 있고, 데이터 블록의 크기가 512bit 이상이기 때문에 그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할 내부기억장치가 필요하다.

키워드

폴링,   Polling,   인터럽트,   interrupt,   DMA
  • 가격5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12.03.31
  • 저작시기201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3725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