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사회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사례관리와 퇴원계획
병원 사례관리자의 책임
사례관리와 보호의 질
사례관리의 구성요소/기능
병원사례관리 모델
병원 사례관리의 실제
참고문헌

본문내용

사례관리자와 퇴원계획

퇴원계획은 병원 체계의 핵심적 기능

병원외부의 제 3자에게 전가 될 수 없다.

환자, 가족, 다양한 병원 의료진, 직원의 조정노력을 요구

부서가 병원에 한 부서로 설정

퇴원계획 부서 내에 있기도 함

사례관리자와 퇴원계획가가 구별되어 있는 경우도 많음

퇴원계획가를 사례관리자로 임명하는 것이 역할의 갈등을 줄이는데 바람직

퇴원계획 실제(삼성의료원)

① 의뢰 절차

주 의뢰과 : 재활의학과, 기타 진료과

퇴원 문제가 예상되거나 발견되어 의뢰하는 경우에는 담당
주치의로부터 협의진료기록지를 통하여 환자를 의뢰
 

② 진행과정

- 협의 진료 기록지를 받은지 1-2일 이내로 상담을 시행
- 환자 보호자를 개별적으로 면담 (병동이나 상담실)
상담과 사정 이후 이에 따른 퇴원 계획을 수립
  • 가격4,000
  • 페이지수33페이지
  • 등록일2012.04.03
  • 저작시기2010.3
  • 파일형식파워포인트(ppt)
  • 자료번호#73776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