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목차
1.서론 – 문제제기
2.수도권 규제의 목적과 전개과정
3.수도권 규제의 현황과 수도권 규제 수단
4.정책의 평가와 그 향후 과제
5.결론
2.수도권 규제의 목적과 전개과정
3.수도권 규제의 현황과 수도권 규제 수단
4.정책의 평가와 그 향후 과제
5.결론
본문내용
수도권 규제의 현황과 과제
규제 강화 vs 규제 완화
문제의 제기
수도권 규제를 유지? vs 수도권 규제 완화?
▪ 수도권 규제의 당위성에 대한 논란은 오랫동안 지속되어왔다.
▪ 수도권 규제의 문제는 성장이냐 분배냐, 효율성이냐 형평성이냐의 선택이 논란의 배경이 된다.
▪ 형평성을 강조하는 지역균형발전의 관점에서는 수도권 규제를 반드시 필요한 정책으로, 효율성을 강조하는 성장론의 관점에서는 수도권 규제가 수도권 자체의 나아가 국가의 경쟁력을 저하시키기 때문에 폐지되어야 할 정책으로 간주되어 왔다.
(성장)(분배) (효율성)(형평성)
━━━━━━━━ ━━━━━━━━━━
● ●
문제의 제기
수도권 규제완화 대응 방안 토론회 열려
≪ 사 진 ≫
• 최근 정부가 수도권 규제완화 정책을 잇따라 내놓고 있는 가운데 수도권과 지방의 힘이 어느 정도 균형을 이룬 이후로 늦춰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 지난 11월 2일 충남발전연구원과 한국공간환경학회 주최로 '수도권 규제완화 대응방안 마련 토론회'가 열렸다.
• 토론회에 참가한 김안제 서울대 명예 교수는 "지금 저와 (천하장사 출신인) 이만기씨가 씨름을 하면 일방적인 게임이 될 것"이라며 "저를 이만기씨의 90% 정도로 만들어 놓고 싸움을 하라고 해야 게임이 되는 게 아니냐"고 주장햇다.
문제의 제기
• 토론회 참가자인 마강래 중앙대 교수 “앞으로는 수도권으로 이동하는 근본 원인을 분석하고 구체적으로 해결하려는 쪽으로 가야 한다"고 지적했다.
• 강현수 중부대 교수 는 수도권 규제를 둘러싼 소모적인 갈등과 대립은 국민통합과 국가발전을 위해 바람직하지 않다"며 “정부는 권한과 재정을 과감하게 지방으로 이양해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 한국의 경제 발전이 둔화되는 시점에서 성장과 분배의 패러다임에서
벗어나 우리의 경제 상황에 맞는 합리적인 선택이 필요하다.
→ 앞으로 규제정책을 완화 또는 유지 할 것인지 그 적절성을
심도있게 판단해봐야한다.
규제 강화 vs 규제 완화
문제의 제기
수도권 규제를 유지? vs 수도권 규제 완화?
▪ 수도권 규제의 당위성에 대한 논란은 오랫동안 지속되어왔다.
▪ 수도권 규제의 문제는 성장이냐 분배냐, 효율성이냐 형평성이냐의 선택이 논란의 배경이 된다.
▪ 형평성을 강조하는 지역균형발전의 관점에서는 수도권 규제를 반드시 필요한 정책으로, 효율성을 강조하는 성장론의 관점에서는 수도권 규제가 수도권 자체의 나아가 국가의 경쟁력을 저하시키기 때문에 폐지되어야 할 정책으로 간주되어 왔다.
(성장)(분배) (효율성)(형평성)
━━━━━━━━ ━━━━━━━━━━
● ●
문제의 제기
수도권 규제완화 대응 방안 토론회 열려
≪ 사 진 ≫
• 최근 정부가 수도권 규제완화 정책을 잇따라 내놓고 있는 가운데 수도권과 지방의 힘이 어느 정도 균형을 이룬 이후로 늦춰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 지난 11월 2일 충남발전연구원과 한국공간환경학회 주최로 '수도권 규제완화 대응방안 마련 토론회'가 열렸다.
• 토론회에 참가한 김안제 서울대 명예 교수는 "지금 저와 (천하장사 출신인) 이만기씨가 씨름을 하면 일방적인 게임이 될 것"이라며 "저를 이만기씨의 90% 정도로 만들어 놓고 싸움을 하라고 해야 게임이 되는 게 아니냐"고 주장햇다.
문제의 제기
• 토론회 참가자인 마강래 중앙대 교수 “앞으로는 수도권으로 이동하는 근본 원인을 분석하고 구체적으로 해결하려는 쪽으로 가야 한다"고 지적했다.
• 강현수 중부대 교수 는 수도권 규제를 둘러싼 소모적인 갈등과 대립은 국민통합과 국가발전을 위해 바람직하지 않다"며 “정부는 권한과 재정을 과감하게 지방으로 이양해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 한국의 경제 발전이 둔화되는 시점에서 성장과 분배의 패러다임에서
벗어나 우리의 경제 상황에 맞는 합리적인 선택이 필요하다.
→ 앞으로 규제정책을 완화 또는 유지 할 것인지 그 적절성을
심도있게 판단해봐야한다.
키워드
추천자료
(정책 사례 분석)831(8.31) 부동산 대책의 현황과 개선방향
대기질 개선대책 (연료분야)
팔당상수원-환경규제가 지역사회에 미치는 영향
[신행정수도 건설]신행정수도 건설의 찬성 반대 입장과 쟁점 및 과제(신행정수도의 건설이념,...
분권화시대 중앙관료지배체제의 한계점과 지방의회의 위상 및 기능강화
지방자치의 실시와 환경정책의 변화에 관하여
인구분산 정책사례연구(U-city를 중심으로)
택지개발 및 주거지 개발의 정의, 현황과 공공성 확보 방안
건물의 철거시 폐건설자재 활용방안
2015년 춘천시의 현황분석 연구
인천가구산업 현황과 발전방안
[권역별 개발제한구역, 권역별 개발전략, 권역별 공동제작, 권역별 항공여객운송, 권역별 영...
지역발전정책의 패러다임 변화- 과거와 현행 지역발전정책의 구체적인 차이점, 지방과학기술...
지역 격차 [침체 일로 지역경제, 지역산업 문제점, 성공사례, 향후 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