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관점
:인간을이해하는데평생발달적접근을시도하였으며 사회문화적요인의 영향력을강조하였다. 또한 자아중시,건강한자아발달의가능성 등을구체적자세히설명한 것이 큰 의의라 하겠다.
②부정적 관점 : 단계를설정한근거가미약하며,개념체제가불분명하다.
3. 실제 사례적용 예
영화 - 굿 윌 헌팅
(1)등장인물 분석
윌 : MIT대학에서 청소부로 일하며 정식 교육을 제대로 받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저절로 수학 문제가 풀릴 정도로 수학의 천재성을 가지고 있다. 그에게는 성격의 심각한 성격 장애를 가지고 있으며 그는 몇 명을 제외한 사람들에 대하여는 극도로 배타적이며 남의 의견을 존중 하기는 커녕 제대로 들어보려 하지 않는다. 친구들과 어울리면 걸핏하면 주먹을 휘두르고 소위 ‘나쁜 짓’을 하면서 인생을 무의미하게 사는 ‘양아치’인생을 살며 결국은 감옥에 가기에 이르렀으나 MIT 대학의 수학교수 랭보교수가 그의 수학적 천재성을 알고 감옥에 갈 처지인 그에게 ‘자신과 수학 공부 할 것과, 심리 치료를 받을 것’을 조건으로 제시하여 감옥에 풀려나는 것을 돕는다. 그리고 대학 동창인 숀을 에게 윌을 ‘치료’해 줄 것을 부탁한다. 숀과의 만남에서 쉽지 않은 상황으로 가고 숀은 윌의 불우한 가정에서 지란 것과 그 때문에 패쇄적이고 괴팍한 성격을 갖게 됨을 알게 된다. 그리고 그는 윌의 상처를 위하여 숀의 자기의 상처까지 윌에게 말함으로 둘은 감정이입이 형성 되고 숀의 솔직한 태도 전달로 윌은 자기 개방과 잘못이 윌 자신에게 있는 것이 아님을 알게 된다.
(2) 상담기술
1) 상담초기
: 클라이언트의 자신의 고통스런 부분을 자연스럽게 꺼낼 수 있도록 기다린다. 임상적 중요하다고 판단되는 정보 수집하는 일이 꼭 필요 한 것은 아니다. 사회 복지 실천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심리 사회력 조사에 큰 비중을 두지 않는다. 다만 꼭 필요한 경우엔 이용하기도 한다.
2) 상담중기
: 개인의 잠재력 발휘를 막는 걱정, 불안, 의심 등을 제거함으로써 클라이언트 자신이 고통 받는 문제를 새롭게 인식하고 저가 자신의 감정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며, 인지된 경험을 수전하고자 자아와 경험의 불일치를 조정하며, 관계의 속성을 수정할 수 있도록 원조하는 일이 이 단계에서 이루어진다.
①내담자에 대한 무조건적이고 긍정적인 존중
②내담자에 대한 공감적 이해(감정이입)
③치료자의 일치성, 성실성, 진솔성, 표현
④치료자의 솔직한 태도 전달과 자기 개방(자기 노출)
:인간을이해하는데평생발달적접근을시도하였으며 사회문화적요인의 영향력을강조하였다. 또한 자아중시,건강한자아발달의가능성 등을구체적자세히설명한 것이 큰 의의라 하겠다.
②부정적 관점 : 단계를설정한근거가미약하며,개념체제가불분명하다.
3. 실제 사례적용 예
영화 - 굿 윌 헌팅
(1)등장인물 분석
윌 : MIT대학에서 청소부로 일하며 정식 교육을 제대로 받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저절로 수학 문제가 풀릴 정도로 수학의 천재성을 가지고 있다. 그에게는 성격의 심각한 성격 장애를 가지고 있으며 그는 몇 명을 제외한 사람들에 대하여는 극도로 배타적이며 남의 의견을 존중 하기는 커녕 제대로 들어보려 하지 않는다. 친구들과 어울리면 걸핏하면 주먹을 휘두르고 소위 ‘나쁜 짓’을 하면서 인생을 무의미하게 사는 ‘양아치’인생을 살며 결국은 감옥에 가기에 이르렀으나 MIT 대학의 수학교수 랭보교수가 그의 수학적 천재성을 알고 감옥에 갈 처지인 그에게 ‘자신과 수학 공부 할 것과, 심리 치료를 받을 것’을 조건으로 제시하여 감옥에 풀려나는 것을 돕는다. 그리고 대학 동창인 숀을 에게 윌을 ‘치료’해 줄 것을 부탁한다. 숀과의 만남에서 쉽지 않은 상황으로 가고 숀은 윌의 불우한 가정에서 지란 것과 그 때문에 패쇄적이고 괴팍한 성격을 갖게 됨을 알게 된다. 그리고 그는 윌의 상처를 위하여 숀의 자기의 상처까지 윌에게 말함으로 둘은 감정이입이 형성 되고 숀의 솔직한 태도 전달로 윌은 자기 개방과 잘못이 윌 자신에게 있는 것이 아님을 알게 된다.
(2) 상담기술
1) 상담초기
: 클라이언트의 자신의 고통스런 부분을 자연스럽게 꺼낼 수 있도록 기다린다. 임상적 중요하다고 판단되는 정보 수집하는 일이 꼭 필요 한 것은 아니다. 사회 복지 실천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심리 사회력 조사에 큰 비중을 두지 않는다. 다만 꼭 필요한 경우엔 이용하기도 한다.
2) 상담중기
: 개인의 잠재력 발휘를 막는 걱정, 불안, 의심 등을 제거함으로써 클라이언트 자신이 고통 받는 문제를 새롭게 인식하고 저가 자신의 감정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며, 인지된 경험을 수전하고자 자아와 경험의 불일치를 조정하며, 관계의 속성을 수정할 수 있도록 원조하는 일이 이 단계에서 이루어진다.
①내담자에 대한 무조건적이고 긍정적인 존중
②내담자에 대한 공감적 이해(감정이입)
③치료자의 일치성, 성실성, 진솔성, 표현
④치료자의 솔직한 태도 전달과 자기 개방(자기 노출)
추천자료
(심리학) 에릭슨의 자아발단이론
프로이드, 에릭슨, 피아제, 파블로브, 스키너, 반듀라의 아동발달이론
에릭슨의 정신역동 이론
정신분석이론 표
[놀이지도]놀이의 정신분석이론과 인지이론을 비교하시오(정신분석이론과 인지이론의 주요 개...
아동발달 이론 중 정신분석이론과 인지발달 이론에 대해 학자별로 비교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자아심리학 (a+)
에릭슨의 심리 사회학적 성격이론
아동발달 이론 중 정신분석이론과 인지발달 이론에 대해 학자별로 비교하여 10장 분량으로 제...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프로이드의 심리성적발달이론과 에릭슨의 심리사회적 발달이론
에릭슨의 심리사회적 이론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프로이드와 에릭슨에 관해서
에릭슨의 성격발달단계이론(성격발달 8단계설)과 그 교육적 시사점
[인간人間과심리]심리학의 주요이론 중 정신분석적, 행동주의적,인본주의적 접근 설명, 인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