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연구의 필요성, 관심배경)
2. 이론적 배경(선행 연구)
3. 분석틀 및 가설도출
4. 분석결과
2. 분산분석
(3) 낮은 자아존중감과의 관계
(4) 가정의 경제적 상황과의 관계
5. 결과
2. 이론적 배경(선행 연구)
3. 분석틀 및 가설도출
4. 분석결과
2. 분산분석
(3) 낮은 자아존중감과의 관계
(4) 가정의 경제적 상황과의 관계
5. 결과
본문내용
(0.0%)
0
(0.0%)
1
(0.0003%)
합계
345
(100.0%)
1955
(100.0%)
941
(100.0%)
3241
(100.0%)
폭력비행
전혀없다
303
(87.8%)
1736
(88.8%)
817
(86.8%)
2856
(88.1%)
2.62
(df=4)
0.622
1~2회
37
(10.7%)
195
(10.0%)
112
(11.9%)
344
(10.6%)
3회 이상
5
(1.5%)
24
(1.2%)
12
(1.3%)
41
(1.3%)
합계
345
(100.0%)
1955
(100.0%)
941
(100.0%)
3241
(100.0%)
재산비행
전혀없다
303
(87.8%)
1770
(90.5%)
848
(90.1%)
2921
(90.1%)
4.01
(df=4)
0.404
1~2회
32
(9.3%)
155
(7.9%)
76
(8.1%)
263
(8.1%)
3회 이상
10
(2.9%)
30
(1.6%)
17
(1.8%)
57
(1.8%)
합계
345
(100.0%)
1955
(100.0%)
941
(100.0%)
3241
(100.0%)
기타
전혀없다
273
(79.1%)
1496
(76.5%)
688
(73.1%)
2457
(75.8%)
7.451
(df=4)
0.114
1~2회
61
(17.7%)
393
(20.1%)
223
(23.7%)
677
(20.9%)
3회 이상
11
(3.2%)
66
(3.4%)
30
(3.2%)
107
(3.3%)
합계
345
(100.0%)
1955
(100.0%)
941
(100.0%)
3241
(100.0%)
<표 4-4. 월평균 소득별 가구에 따른 각 비행 유형 횟수의 분포 수준>
가정의 경제적 수준에 따른 비행횟수의 평균에는 유의미한 통계 결과가 나오지 않았지만, 각 집단별 비행경험이 없거나, 호기심으로 1~2번 해보았거나, 상습적으로 하는 청소년의 비율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이원검정을 하였고, 위의 표와 같은 결과가 나왔다.
위의 통계결과를 보면 유의수준 5%를 기준으로 했을 때, 도피비행과 성(性)비행을 제외하고는 청소년이 속한 가정의 경제적 수준에 의해 나눈 집단 간의 비행횟수의 분포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기 때문에 영가설을 기각할 수 없다. 하지만 도피비행에서 저소득층 집단 내에서 1~2회, 3회 이상의 비행 비율이 각각 10.4%, 2.1%가 나타났다. 이는 기대비율(1~2회:5.9%. 3회 이상:0.7%)보다 높았으며, 다른 2개 집단이 기대비율보다 조금 높거나 낮게 나타났다는 점과 대조된다. 성(性)비행에서도 저소득층 집단 내의 1~2회, 3회 이상의 비행 비율이 원래 기대비율(1~2회:1.4%, 3회 이상0.0003%)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다른 두 집단은 기대비율에 비해 약간 높거나 낮은 것과는 대조된다.
하지만 도피비행 성(性)비행에서 3회 이상 비행을 범할 기대비율이 1%도 안 되며 빈도 자체도 아주 적다. 특히 성비행의 경우 3회 이상 비행을 저지른 청소년은 표본에서 1명밖에 없다. 그러므로 통계적으로는 유의미한 결과가 나왔지만 이를 그대로 받아들이기엔 문제가 있으므로 좀 더 정밀한 연구나 통계기법이 필요할 것으로 요구된다.
분산분석과 이원검정의 결과를 종합하면, 일단 청소년이 속한 가정의 경제적 수준에 따른 비행의 평균횟수에는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더 상습적으로 비행을 저지르는 청소년의 각 집단 내 분포에 있어서, 성(性)비행과 도피비행에서는 저소득층 가정의 청소년이 다른 계층의 청소년보다 상대적으로 더 상습적으로 비행을 행하는 청소년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표본의 수가 너무 적고 제3의 변인이 존재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그대로 받아들이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그러므로 청소년이 속한 가정의 경제적 수준과 각 비행 유형에 따른 상습적으로 비행을 범하는 청소년의 집단 간의 분포에 차이가 있다고 보기 어렵다.. 그러므로 청소년이 속한 가정의 경제적 수준(가정환경)과 청소년의 비행 간에는 유의미한 관계가 없는 것으로 보인다.
5. 결과
친구와의 관계, 부모와의 관계, 가정배경에 따른 관계 그리고 자아존중감과의 관계에 따라 청소년 비행이 지위비행, 도피비행, 성(性)비행, 폭력비행, 재산비행, 기타 등으로 나타나는 결과를 찾기 위해 노력해보았다. 이번 연구를 하나의 일관성 있는 결과로 제시하기는 어려운 것 같다. 하지만 그동안의 연구 분석을 통한 나름의 소결을 내리자면 다음과 같다.
전반적으로 위의 다양한 변인이 청소년 비행에 영향을 주는데 있어서 독립변인적으로 미세한 차이점은 존재한다. 더불어 그러한 다양한 독립변인에 있어서 청소년 비행이 어느 정도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성(性)비행에 있어서는 미성년자라는 특수성과 그러한 비행을 할 만한 다양한 요소들이 낮은 것으로 나타나며, 따라서 청소년 비행에 있어서 성(性)비행과의 의미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연구를 통해 우리는 청소년 비행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변인들을 알아보았다. 위의 연구 외에도 다양한 변인들이 청소년 비행에 영향을 줄 것이라고 생각한다. 더불어 이러한 변인들은 비행을 넘어 범죄로 심화되고 있는 것이 오늘날 청소년 문제의 현실이다. 이러한 문제를 그대로 방치해둔다면 미래의 주역인 청소년들의 밝은 미래를 바라볼 수 없을 것이다. 청소년 비행에 대해 대부분의 사회구성원들이 사회문제로서 해결을 위한 노력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기 때문에 이번 연구가 조금이나마 도움이 됐으면 하는 바람을 갖고 연구의 끝을 맺는다.
6. 참고문헌
▲ 김준호, 김순형, <가정환경과 청소년비행>, 한국형사정책연구원, (1992)
▲ 통계청, 「가계동향조사」, (2009)
▲ 보건복지부, 「보건복지부 보도자료」, (2008)
▲ 이은아, 정혜정, <가정환경 변인에 따른 청소년의 비행 연구>, 한국생활과학회, (2000)
▲ 정헌주 외 10명, 「사회문제의 이해」, 대왕사, (2011)
▲ 제미순, 최원희, <고등학생의 비행경험 관련 요인>, 한국생활과학회, (2008)
▲ 최규련, <가족구조, 부모와의 의사소통, 학업문제와 친구관계가 청소년 비행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 2010
0
(0.0%)
1
(0.0003%)
합계
345
(100.0%)
1955
(100.0%)
941
(100.0%)
3241
(100.0%)
폭력비행
전혀없다
303
(87.8%)
1736
(88.8%)
817
(86.8%)
2856
(88.1%)
2.62
(df=4)
0.622
1~2회
37
(10.7%)
195
(10.0%)
112
(11.9%)
344
(10.6%)
3회 이상
5
(1.5%)
24
(1.2%)
12
(1.3%)
41
(1.3%)
합계
345
(100.0%)
1955
(100.0%)
941
(100.0%)
3241
(100.0%)
재산비행
전혀없다
303
(87.8%)
1770
(90.5%)
848
(90.1%)
2921
(90.1%)
4.01
(df=4)
0.404
1~2회
32
(9.3%)
155
(7.9%)
76
(8.1%)
263
(8.1%)
3회 이상
10
(2.9%)
30
(1.6%)
17
(1.8%)
57
(1.8%)
합계
345
(100.0%)
1955
(100.0%)
941
(100.0%)
3241
(100.0%)
기타
전혀없다
273
(79.1%)
1496
(76.5%)
688
(73.1%)
2457
(75.8%)
7.451
(df=4)
0.114
1~2회
61
(17.7%)
393
(20.1%)
223
(23.7%)
677
(20.9%)
3회 이상
11
(3.2%)
66
(3.4%)
30
(3.2%)
107
(3.3%)
합계
345
(100.0%)
1955
(100.0%)
941
(100.0%)
3241
(100.0%)
<표 4-4. 월평균 소득별 가구에 따른 각 비행 유형 횟수의 분포 수준>
가정의 경제적 수준에 따른 비행횟수의 평균에는 유의미한 통계 결과가 나오지 않았지만, 각 집단별 비행경험이 없거나, 호기심으로 1~2번 해보았거나, 상습적으로 하는 청소년의 비율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이원검정을 하였고, 위의 표와 같은 결과가 나왔다.
위의 통계결과를 보면 유의수준 5%를 기준으로 했을 때, 도피비행과 성(性)비행을 제외하고는 청소년이 속한 가정의 경제적 수준에 의해 나눈 집단 간의 비행횟수의 분포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기 때문에 영가설을 기각할 수 없다. 하지만 도피비행에서 저소득층 집단 내에서 1~2회, 3회 이상의 비행 비율이 각각 10.4%, 2.1%가 나타났다. 이는 기대비율(1~2회:5.9%. 3회 이상:0.7%)보다 높았으며, 다른 2개 집단이 기대비율보다 조금 높거나 낮게 나타났다는 점과 대조된다. 성(性)비행에서도 저소득층 집단 내의 1~2회, 3회 이상의 비행 비율이 원래 기대비율(1~2회:1.4%, 3회 이상0.0003%)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다른 두 집단은 기대비율에 비해 약간 높거나 낮은 것과는 대조된다.
하지만 도피비행 성(性)비행에서 3회 이상 비행을 범할 기대비율이 1%도 안 되며 빈도 자체도 아주 적다. 특히 성비행의 경우 3회 이상 비행을 저지른 청소년은 표본에서 1명밖에 없다. 그러므로 통계적으로는 유의미한 결과가 나왔지만 이를 그대로 받아들이기엔 문제가 있으므로 좀 더 정밀한 연구나 통계기법이 필요할 것으로 요구된다.
분산분석과 이원검정의 결과를 종합하면, 일단 청소년이 속한 가정의 경제적 수준에 따른 비행의 평균횟수에는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더 상습적으로 비행을 저지르는 청소년의 각 집단 내 분포에 있어서, 성(性)비행과 도피비행에서는 저소득층 가정의 청소년이 다른 계층의 청소년보다 상대적으로 더 상습적으로 비행을 행하는 청소년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표본의 수가 너무 적고 제3의 변인이 존재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그대로 받아들이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그러므로 청소년이 속한 가정의 경제적 수준과 각 비행 유형에 따른 상습적으로 비행을 범하는 청소년의 집단 간의 분포에 차이가 있다고 보기 어렵다.. 그러므로 청소년이 속한 가정의 경제적 수준(가정환경)과 청소년의 비행 간에는 유의미한 관계가 없는 것으로 보인다.
5. 결과
친구와의 관계, 부모와의 관계, 가정배경에 따른 관계 그리고 자아존중감과의 관계에 따라 청소년 비행이 지위비행, 도피비행, 성(性)비행, 폭력비행, 재산비행, 기타 등으로 나타나는 결과를 찾기 위해 노력해보았다. 이번 연구를 하나의 일관성 있는 결과로 제시하기는 어려운 것 같다. 하지만 그동안의 연구 분석을 통한 나름의 소결을 내리자면 다음과 같다.
전반적으로 위의 다양한 변인이 청소년 비행에 영향을 주는데 있어서 독립변인적으로 미세한 차이점은 존재한다. 더불어 그러한 다양한 독립변인에 있어서 청소년 비행이 어느 정도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성(性)비행에 있어서는 미성년자라는 특수성과 그러한 비행을 할 만한 다양한 요소들이 낮은 것으로 나타나며, 따라서 청소년 비행에 있어서 성(性)비행과의 의미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연구를 통해 우리는 청소년 비행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변인들을 알아보았다. 위의 연구 외에도 다양한 변인들이 청소년 비행에 영향을 줄 것이라고 생각한다. 더불어 이러한 변인들은 비행을 넘어 범죄로 심화되고 있는 것이 오늘날 청소년 문제의 현실이다. 이러한 문제를 그대로 방치해둔다면 미래의 주역인 청소년들의 밝은 미래를 바라볼 수 없을 것이다. 청소년 비행에 대해 대부분의 사회구성원들이 사회문제로서 해결을 위한 노력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기 때문에 이번 연구가 조금이나마 도움이 됐으면 하는 바람을 갖고 연구의 끝을 맺는다.
6. 참고문헌
▲ 김준호, 김순형, <가정환경과 청소년비행>, 한국형사정책연구원, (1992)
▲ 통계청, 「가계동향조사」, (2009)
▲ 보건복지부, 「보건복지부 보도자료」, (2008)
▲ 이은아, 정혜정, <가정환경 변인에 따른 청소년의 비행 연구>, 한국생활과학회, (2000)
▲ 정헌주 외 10명, 「사회문제의 이해」, 대왕사, (2011)
▲ 제미순, 최원희, <고등학생의 비행경험 관련 요인>, 한국생활과학회, (2008)
▲ 최규련, <가족구조, 부모와의 의사소통, 학업문제와 친구관계가 청소년 비행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 2010
추천자료
여성 장애인 성폭행에 대한 장애인복지 실태와 문제점 및 해결방안
성폭력범죄 및 피해자 보호에 관한 법률
비행청소년 문제에 대한 치유 방안
지역사회 문제 및 사회복지 측면에서의 개입방안 - 청주시 영구임대아파트 중심으로
[청소년복지] 청소년의 성과 성문제
[성교육][성교육 목표][성교육 필요성][성교육 시대적 변화][외국 성교육 사례][성교육프로그...
성폭행 피해 아동에 대한 위기개입
아동성폭행의 원인과 해결방안
[성폭력범죄][성폭력범죄와 친고죄][성폭력범죄의 재발방지 방안]성폭력범죄의 성격, 성폭력...
[올해최신A+자료] 도가니 영화감상문과 장애여성의 성폭력문제에 관한 고찰[도가니 영화비평]...
성폭력의 문제점과 대책
[성,사랑,사회- D형]한국 사회에서 가정이나 일터 등 일상적인 공간에서 성폭력이나 성희롱이...
[학교사회사업] 청소년 성문제
2018년 2학기 사회조사방법론 중간시험과제물 A형(청소년 성문제 혹은 성교육 연구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