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veline분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eveline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Eveline, James Joyce

1) 이블린 번역
2) Eveline 원문
3) 작품 해설

본문내용

는 영국의 식민지였는데 이러한 상황은『이블린』에서 나타난 “The station was full of soldiers with brown baggages”에서 추론 할 수 있으며 또한 아버지가 영국, 이블린이 아일랜드를 상징한다고 볼 수 있다. 결국 미래에 대한 불안감과 당시 마비된 시대적 상황, 환경에 의해 아버지로부터 벗어나기를 주저하는 이블린의 모습을 통해 마비된 상태로 인해 영국으로부터 독립하지 못하는 아일랜드의 모습을 엿볼 수 있다.
7. 작품 속 상징
① 벨파스트에서 온 사람 : 영국계 인물로 추정된다. 그가 지은 집들은 이블린과 그녀의 친구들이 살았던 작은 갈색 집들과는 달리 지붕이 번쩍거리는 밝은 색의 벽돌집이다. 이러한 사실은 아일랜드 사람들의 경제적 빈곤과 아일랜드의 황폐한 경제상황을 보여준다.
② 갈색 집 : 경제적 궁핍뿐만 아니라 거기에 사는 사람들의 부패하고 활기 없는 마비된 삶을 반영한다.
③ 먼지 : 부패와 정체의 부산물, 그녀가 살고 있는 집과 더블린과 아일랜드라는 감옥을 뒤덮고 있는 마비의 이미지이다. 이 먼지 속에서 너무 오랫동안 살아왔기 때문에 이블린 또한 먼지라는 유해물질에 중독되어 마비된 삶을 살고 있다.
④ 채색판화 : 예수가 성녀 알라코크를 통하여 신도들에게 계시한 12가지 약속들이 기록되어있다. 그 수녀는 자신에게 가한 고문 때문에 육체적으로 마비되었지만 스스로 성스런 삶을 살겠다고맹세했을 때, 그 마비는 기적적으로 치유되었다. 육체적 정신적 고행과 안내의 전형으로써 그녀의 모습은 끊임없이 인내하며 살아온 이블린과 그녀의 어머니의 모습을 반영하기도 한다.
⑤ 오르간 위쪽 벽의 신부의 사진 : 멜버른에서 살고 있다. 멜버른은 오스트레일리아의 도시이며 이블린
에게는 먼 곳에 있는 미지의 나라를 상징한다. 신부는 아일랜드에서 벗어나 새로운 인생을
시작한 것이다. 그러므로 이 신분의 사진은 도피의 표현인 것이다.
⑥ 보헤미아의 소녀 : 이블린과 프랭크가 함께 감상한 오페라. 귀족으로 태어난 보헤미아의 소녀 알린이 집시들에게 유괴되고 과거의 호화로웠던 삶을 회상한다. 오랫동안 만나지 못했던 아버지를
만나 호사스러운 생활을 하지만 집시생활의 자유를 갈망한다. 그 후 모든 것은 그녀가 행복하게 살 수 있도록 해결된다. 이처럼 집시소녀는 과거의 호화로운 삶을 그리워하고 그러한 꿈을 이루고 난 뒤 다시 집시의 자유로운 삶을 갈망한다. 그러므로 오페라의 내용은 이블린의 모험과 자유로운 삶에 대한 희망을 나타낸다.
⑦ 수부를 사랑한 처녀(lass that loves a sailor) : 이 노래의 주인공인 처녀‘poppens'는 모험과 여행을 상징하는 선원을 사랑한다는 점에서 이블린의 모험과 사랑을 반영한다.
⑧ Derevaun Seraun! Derevaun Seraun! (데레바운 세라운): '쾌락의 종말은 고통이다'라는 의미의
게일어. 이블린이 어머니와 한 약속을 지키지 않고 집을 버리고 떠나버리는 순간 어머니가
그녀의 딸에게 보내는 경고의 메세지이다. 그것은 즐거운 삶의 결과는 고통이니 현실의 고통스러운 삶을 견디고 자신을 희생하며 가족을 위해 살아야 한다는 것이다.
⑨ 부둣가의 안개 : 미래의 삶을 내다 볼 수 없는 이블린의 한계
⑩ 노스월의 barrier(개찰구) : 그녀가 새로운 삶으로 과감하게 뛰어들지 못하도록 하며 그녀를
죽음의 땅인 마비된 더블린에 가두어 두는 감옥이다.
⑪ maze of distress에서 ‘maze’의 의미 : 미로를 말한다. 이블린이 혼란에 빠졌고, 감정적인 갈등에서 벗어나는 길을 찾기 힘들다는 것을 나타낸다.
⑫ 'She answered nothing'
She didn't answer나 She didn't say anything이 문법적으로 맞지만 위와 같이 함으로써 이블린이 프랭크의 부름에 대답을 거절했다는 것을 강조한다.
⑬ 마지막 단락
논리적 연결성이 없이 다른 화제로 건너 뛴 것처럼 보인다. 이 방법은 이블린의 생각이 뒤죽박죽이라는 것을 잘 보여준다.
⑭ ‘그가 그녀를 위해 한 모든 것을 되돌리 수 있을까?’
(Could she still draw back after all he had done for her?)를 통해 본 자유간접화법의 효과
이블린의 생각과 느낌을 함께 경험하고 있는 듯이 느끼게 해 공감을 증대시킨다. 동시에 이 서술이 처음 서술과 같지 않다는 것, 즉 이블린이 말한 것 아니라는 것을 알게 해준다. 그로써 이블린에 대한 동정심에 대해 균형 잡힌 거리감을 만든다.
  • 가격1,5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2.03.27
  • 저작시기2012.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3866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