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건강척도] 건강의 개념과 척도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노인건강척도

Ⅰ. 건강의 개념

1. 신체적 건강
2. 정신적 건강

Ⅱ. 건강의 척도

1. 건강에 관한 단계적 척도
2. 일상생활동작능력
3. 급, 만성질환의 유병률
4. 주요활동장애
5. 스스로 느끼는 건강수준

본문내용

이상 한국 노인의 85% 이상이 만성질환을 가지고 있으며 72% 이상이 만성질환에 의해 일상생활동작능력(ADL)의 장애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4) 주요활동장애(limitation of major activity)
특정 지역주민이나 특정 연령계층 중에서 주요활동장애를 겪고 있는 사람의 비율이나 정도를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주요활동장애란 생재활동, 집 지키기, 학교생활 등의 주요 일상생활에 필요한 활동의 장애를 말한다.
활동장애자 / 총조사대상자 =주요활동 장애율
(5) 스스로 느끼는 건강수준
조사대상노인의 건강에 대한 주관적 입장, 의욕, 사기, 정서와 삶의 질을 판단하기 위해 실시하는 조사로서 자료의 결과는 노인복지시설에 입소한 노인의 생활지도에 사용되기도 하고 노인의 참의 질을 평가하는 학술적 자료로 사용하기도 한다.
명랑하고 사교적이며 활발한 노인은 실제상 다소의 만성질환을 가지고 있더라도 자신의 건강상태를 비교적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경향성이 있고, 활동의 위축이나 사교성이 결여된 노인은 실제상 건강하면서도 자신의 건강에 부정적 평가를 내리는 경향성이 있다. 스스로 느끼는 건강수준에 따라 조사해 보면, 전자의 노인은 건강개선의 가능성이 많은 데 반해, 후자의 노인은 정신적 신체적 건강을 해칠 가능성이 있음을 통계적으로 알 수 있다.
검사의 방법은 주로 설문지법을 통해 스스로의 건강상태를 "a. 아주 좋다, b. 대체로 건강하다, c. 잘 모르겠다, d. 건강하지 못하다, e. 아주 건강하지 못하다. " 중에서 선택하게 하거나 검사자가 피검자를 직접 면접하는 면접법을 통한 조사방법이 사용된다.
  • 가격1,8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2.04.07
  • 저작시기2012.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3875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