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genda Setting (의제설정-이론)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Agenda Setting 정의
● Agenda Setting 배경 / 역사
● Agenda Setting 가정
● Agenda Setting 변인
● Agenda Setting 특성
● Agenda Setting 단계
● Agenda Setting 한계 / 결론

본문내용

Agenda Setting (의제설정-이론)




Agenda Setting 정의
┗━━━━━━━━━━─────────…

■ 정 의
 ● 대중이 관심을 가질만한 것이나 무엇을 생각할지에 대한 것을 미디어가 결정하고 영향력을 미친다.
 ● 미디어가 뉴스, 시사프로그램을 통해 중요하다고 보도하는 주제
(미디어 의제)가 대중에게 중요한 의제(공중의제)가 되는 경우
  ◉ Agenda(의제)란? : 미디어가 주목함으로써 공중의 관심을 이끌어내는
            대상들의 합(a set of object)
            언론, 공중 논의 대상이 되는 독립적인 이슈 / 주제
  ◉ Agenda 종류
   ◦ Media Agenda : 언론이 강조, 보도 이슈화 하는 의제
    • Ex) 워터게이트 사건
   ◦ Public Agenda : 개인적ㆍ대인적ㆍ지역사회적 의제
   ◦ Policy Agenda : 정부, 의회, 사회단체, 기업 등 정책결정기구 / 집단의 의제
 ● 일반적으로 의제설정은 2단계로 나누어진다.
  ◉ 미디어가 ‘어떤’ 이슈를 수용자에게 제공할 것인가 하는 선택의 문제
  ◉ 그 이슈에 관한 정보를 ‘어떤방식’으로 제공할 것인가 하는 방식의 문제




Agenda Setting 배경 / 역사
┗━━━━━━━━━━─────────…

■ 배 경
 ● 1960년대 중반부터 1970년대 중반까지 주로 유행
 ● 미디어의 효과가 상호의존적이며 개인별로 차이를 보인다는 기존의소효과이론을 비판
 ● 미디어 효과의 인지적ㆍ중장기적 효과 및 집합적인 영향과 실질적인 효과를 강조(중효과이론)
■ 역 사
 ● 1922년 월터 리프먼의 저서 Public Opinion에서 처음으로 발견
  ◉ 사람들은 뉴스를 통해 세계에 대한 상(象)을 가지게 되고 그것이 마치 실제 모습인 양 믿게 된다는 주장
 ● 1968년 노스캐롤라이나대학교 저널리즘 교수인 맥콤스 & 쇼가 의제설정 개념 재탄생
  ◉ 미디어가 수용자에게 What to think(어떤 것을 생각할 것인가?)보다 What to think about(무엇에 대하여 생각을 할 것인가?)제시
 ● 맥콤스 & 쇼의 실험
  ◉ 사람들이 주요하다고 여기는 사건과 신문에 보도된 각 이슈의 횟수를
   비교 그 결과 두 가지 변수는 서로 정비례
   ◦ Ex) 신문ㆍ방송 등 대중매체에서 많이 보도한 문제일수록 대중들이 더 중요한 이슈로 여긴다.

키워드

  • 가격5,000
  • 페이지수33페이지
  • 등록일2012.04.13
  • 저작시기2012.4
  • 파일형식파워포인트(ppt)
  • 자료번호#73961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