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silica gel(실리카겔)
◆ 실리카겔이란?
◆ 실리카겔의 특성
◆ 오렌지겔
◆ 실험^^
◆ 실생활에서 실리카겔이 도움 되는 몇 가지 경우
◆ 실리카겔의 제조
♠또 다른 실리카겔 제조방법
◆ 출처
◆ 실리카겔이란?
◆ 실리카겔의 특성
◆ 오렌지겔
◆ 실험^^
◆ 실생활에서 실리카겔이 도움 되는 몇 가지 경우
◆ 실리카겔의 제조
♠또 다른 실리카겔 제조방법
◆ 출처
본문내용
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만약 이러한 전기화학적 균형이 깨어지면 입자들이 서로 얽히게 되고 점도가 상승하여 겔화, 응집 등의 반응이 일어날 것입니다. 일반적인 실리카졸은 [그림3]과 같은 pH에 대한 안정성 특성을 보입니다. 실리카졸의 농도가 높을수록 입자크기가 작을수록 pH 변화에 따른 효과가 더욱 크게 나타납니다. 실리카졸에 소듐클로라이드나 소듐설페이트와 같은 금속염을 첨가하면 실리카 입자 표면전하의 전기적 균형을 깨뜨려 입자끼리 응집이 일어나며 겔이 됩니다. 이러한 겔화의 정도는 일정하지 않고 실리카졸의 종류, 농도, 온도 등에 따라 다릅니다. 일가의 염은 천천히 반응하지만 알루미늄 염과 같은 다가의 염은 pH 9 이상에서 빨리 반응합니다. pH를 낮추면 알루미늄설페이트나 마그네슘설페이트의 효과도 감소합니다. 알코올과 아세톤, 기타 극성 솔벤트는 실리카졸과 혼합이 가능합니다. 그러나 그 한계가 있고, 그 한계를 넘으면 겔화가 일어납니다. 일반적으로 실리카졸은 양이온과 음이온 계면활성제와 모두 상용성이 있습니다. 그러나 계면활성제의 불순물과 활성제의 성분에 따라 상용성이 없을 수도 있습니다. 실리카졸은 같은 pH와 전자를 갖는 에멀젼 수지와 수용해성 수지와 상용성이 있습니다. 그러나 때때로 사용된 유화제에 따라 겔화되거나 분리가 될 수 있습니다. 수성 실리카졸은 입자크기, 알칼리 함량, pH, 안정제의 종류 등에 따라 분류될 수 있습니다.
♠또 다른 실리카겔 제조방법
1. 규산 히드로겔의 제조
(1) 비커에 물유리 20g과 물 100㎖를 넣고 잘 저어서 완전히 녹인다.
(2) 계속 저어 주면서 묽은 염산을 천천히 가한다.
2. 규산 크세로겔(실리카겔)의 제조
(1) 1에서 만든 규산의 히드로겔을 2개의 비커에 나누어 담는다.
(2) 각각의 비커에 물을 가하여 1ℓ 정도 되게 하고, 유리 막대로 잘 저어서 섞는다.
(3) 이 비커들을 약 12시간 동안 흔들리지 않는 곳에 방치한다.
(4) 겔이 침전되어 있으면 주의하면서 사이펀으로 상등액을 퍼낸다.
(5) 위 (2)~(4)의 조작을 세 번 정도 되풀이하여 겔 중의 나트륨 이온이나 염소 이온을 제거한다.
(6) 마지막으로 상등액을 버린 비커 중 하나에는 염화코발트 용액(염화코발트 0.5g을 물 10㎖에 녹인 용액)을 가하여 유리막대로 잘 섞는다.
(7) 이 비커를 그대로 중탕냄비에서 가온하여 겔을 건조한다.
(8) 이어서 120℃로 조절한 항온 건조기에서 완전히 건조한다. 건조된 겔은 마른 고체 덩어리가 되어서 비커에서 떨어진다.
(9) 덩어리의 모양과 고체의 색깔을 관찰하고, 질량을 달아 수율을 계산한다.
(10) 적당한 크기로 부숴서 마개가 꼭 맞는 병에 넣어 보관한다.
◆ 출처
네이버 백과사전 실리카겔 [silica gel ]
http://blog.naver.com/personajo?Redirect
http://blog.naver.com/jincjinc?Redirect
http://www.tpg.co.kr/
http://blog.naver.com/gimgus?Redirect
♠또 다른 실리카겔 제조방법
1. 규산 히드로겔의 제조
(1) 비커에 물유리 20g과 물 100㎖를 넣고 잘 저어서 완전히 녹인다.
(2) 계속 저어 주면서 묽은 염산을 천천히 가한다.
2. 규산 크세로겔(실리카겔)의 제조
(1) 1에서 만든 규산의 히드로겔을 2개의 비커에 나누어 담는다.
(2) 각각의 비커에 물을 가하여 1ℓ 정도 되게 하고, 유리 막대로 잘 저어서 섞는다.
(3) 이 비커들을 약 12시간 동안 흔들리지 않는 곳에 방치한다.
(4) 겔이 침전되어 있으면 주의하면서 사이펀으로 상등액을 퍼낸다.
(5) 위 (2)~(4)의 조작을 세 번 정도 되풀이하여 겔 중의 나트륨 이온이나 염소 이온을 제거한다.
(6) 마지막으로 상등액을 버린 비커 중 하나에는 염화코발트 용액(염화코발트 0.5g을 물 10㎖에 녹인 용액)을 가하여 유리막대로 잘 섞는다.
(7) 이 비커를 그대로 중탕냄비에서 가온하여 겔을 건조한다.
(8) 이어서 120℃로 조절한 항온 건조기에서 완전히 건조한다. 건조된 겔은 마른 고체 덩어리가 되어서 비커에서 떨어진다.
(9) 덩어리의 모양과 고체의 색깔을 관찰하고, 질량을 달아 수율을 계산한다.
(10) 적당한 크기로 부숴서 마개가 꼭 맞는 병에 넣어 보관한다.
◆ 출처
네이버 백과사전 실리카겔 [silica gel ]
http://blog.naver.com/personajo?Redirect
http://blog.naver.com/jincjinc?Redirect
http://www.tpg.co.kr/
http://blog.naver.com/gimgus?Redirect
키워드
추천자료
시효경화실험-[금속재료실험]
0.1N 과망간산칼륨(KMnO) 표준용액의 제조 및 과산화수소의 정량
잉크제조
일반화학실험 - 크로마토그래피
비누화 값 측정과 비누의 제조 결과보고서
[분석실험] 식초아세트산 역사 - 식초 분석으로 아세트산 함량을 역가를 이용해 구하기.
[A+] 알칼리 탈지제의 제조와 탈지효과 - 탈지, 더러움의 종류 및 제거방법, 탈지 종류 및 방...
[섬유공학과] (결과) 고분자 필름제조 - PP필름을 제조하고, spherulite의 형성과정을 편광현...
중합공학실험_에폭시수지 합성
[화장품 향수 실험 보고서 노트] 6가지 향기 시향 : 시향 후 향의느낌, 특징, 뿌리고 싶은때,...
[창업현장실습-향장화학실험] MP비누 만들기 : MP(Melting and Pour) 반제품 천연비누
[화공실험] DMC 합성(Synthesis of DMC from ethylene carbonate and methanol) 결과 : 염기...
영양생화학실험A+)효소활성도 측정 ( Glutathion peroxidase ; GPx)
영양생화학실험A+) Glutathion peroxidase (GPx)의 효소활성도 측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