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동기론’ >
1. 동기의 정의
2. Maslow의 욕구단계이론
3. Herzberg의 동기-위생이론
4. Alderfer의 생존-관계-성장이론
5. Vroom의 기대이론
6. Porter와 Lawler의 기대이론
7. Adams의 공정성이론
8. Locke의 목표설정이론
1. 동기의 정의
2. Maslow의 욕구단계이론
3. Herzberg의 동기-위생이론
4. Alderfer의 생존-관계-성장이론
5. Vroom의 기대이론
6. Porter와 Lawler의 기대이론
7. Adams의 공정성이론
8. Locke의 목표설정이론
본문내용
요한 기제가 된다고 주장한다. 즉, 대부분의 인간 행동은 유목적적이며, 행위는 목표와 의도에 의하여 통제되고 유지된다는 것이다. 정신적, 신체적 활동에 대한 목표의 가장 기본적인 영향은 생각과 행위를 한쪽 방향으로 지향하도록 지시하는 것이라고 보았다.
모델을 자세히 설명하면, 행위를 결정하는 인지적 요인은 가치관, 목표 이 두 가지이며, 한사람의 가치관은 그에 부합하는 일을 하고 싶어 하는 정서와 욕망을 창조한다. 정서와 욕망은 어떠한 목표를 설정하도록 하며, 목표는 다시 주의와 행동을 지시, 에너지 동원, 지속적 노력을 증가시킨다. 이처럼 목표가 전략을 개발하도록 동기를 유발하며,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행동을 수행한다. 그 결과로서 성과를 달성하고, 성과는 피드백을 통해 그 과정전반에 영향을 준다.
모델을 자세히 설명하면, 행위를 결정하는 인지적 요인은 가치관, 목표 이 두 가지이며, 한사람의 가치관은 그에 부합하는 일을 하고 싶어 하는 정서와 욕망을 창조한다. 정서와 욕망은 어떠한 목표를 설정하도록 하며, 목표는 다시 주의와 행동을 지시, 에너지 동원, 지속적 노력을 증가시킨다. 이처럼 목표가 전략을 개발하도록 동기를 유발하며,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행동을 수행한다. 그 결과로서 성과를 달성하고, 성과는 피드백을 통해 그 과정전반에 영향을 준다.
추천자료
변혁적 리더십의 이론과 사례연구
[경영이론][조직이론][경영원론][조직관리][조직목표]경영이론, 조직이론, 경영원론, 조직관...
문학교육의 목표설정 및 사회문화적 미디어적 능력
[목표관리제도][MBO]목표관리제도(MBO)의 역할, 목표관리제도(MBO)의 가치, 목표관리제도(MBO...
[자기효능감]자기효능감(자아효능감)의 정의와 이론, 자기효능감(자아효능감)의 본질과 모델,...
교육행정 7강 지도성이론(교육행정정리)
대인신념의 종류와 목표설정 이론에서 성과에 영향을 주는 목표설정 변수
직업- 비전과 목표 설정 비전과 목표설정에 대한 개념과 필요성 등을 이론적으로 기술합니다....
스포츠 심리학의 목표설정에 관하여 (목표의 정의 및 유형, 목표설정 효과, 목표설정 이론, ...
임용고시 대비를 위한 교육행정 정리
임용고시 대비를 위한 교육행정 정리본
철도역세권 이론적 배경
사회복지조직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사회복지조직을 관리할 때 적용 가능한 조직이론들이 갖고...
목표관리이론의 특징을 기초로 사회복지조직에 적용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조사를 통한 실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