렌즈의 초점거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실험 목적

4. 측정 및 분석

5. 검토

본문내용

라고 지정해놓았기 때문이다. 편광판, 물체역할 말고도, 빛의 모양을 결정하는 역할을 하는 것 같다.
네 번째로 논의할 것은 렌즈를 뒤집는 것에 대한 생각인데, 실제로 볼록렌즈이면 양쪽 다 튀어나와있다. 하지만 렌즈 제작자원리도 그렇고, 실제로 대칭인 렌즈보다는 비대칭인 렌즈가 많고, 조교님께서도 뒤집으면 약간의 오차가 생길 수 있다고 했다. 즉 렌즈의 중심으로부터 렌즈의 튀어나온 부분의 거리까지의 길이의 차이가 약간이라도 있기 때문에 렌즈는 절대로 뒤집으면 안 된다고 하였다.
다섯 번째로 논의할 것은 오차에 대한 것이다. 우리조의 오차율은 각양각색인데, 처음에 항상 미터법만 계산해서 자동적으로 mm만 보면 1000이 생각나서 오차율을 높여버릴 뻔했다. 물론 그런 실수는 나중에 고쳤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오차율이 30%이상인 부분은 높다고 할 수 있는데, 우선 렌즈를 도중에 뒤집어서 그런 것 같다. 우리 조는 a, b를 제고 a', b' 을 잴 때 렌즈를 뒤집었다. 어떤 의견에 의하면 렌즈를 뒤집을 때 렌즈 앞부분에 맺히는 상을 뒤에서도 볼 수 있다는 의견이 있었는데 터무니없는 의견인 것 같다. 그렇게 하려면 차라리 광원의 방향을 바꿔야지, 렌즈를 뒤집는다고 해서 빛의 방향이 바뀌는 것도 아니기 때문이다. 또한, 공액점이 맞추어지지 않았다. 즉 실제와 이론이 약간 어긋났다. 실제로는 선명하게 생긴 부분이 보였지만 이론상으로는 a와 b'이 약간 달랐다. 이론과 실제가 부합하려면 a와 b'가 같아야 한다. 특히 첫 번째 실험에서는 3가지 오차율이 다 높은데, 만약 하나만 높으면 공통 변수만 제거하고, 오차율 원인의 변수만 고를 수 있지만 세 가지 다 높아 모든 변수가 공통적으로 다 잘못측정 됐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십자눈금판, 볼록렌즈, 스크린이 모두 광학대에 수직하게 놓여있지 않아서 빛의 경로에 지장을 주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정말 제대로 되었다면 스크린 정중앙을 기준으로 방사대칭이 이루어져야하는데, 우리는 정중앙이 아닌 중심이 다른 쪽으로 가기도 하였고, 모양도 어긋났다. 즉 이러한 4가지 정도의 오차의 원인이 첫 번째 실험의 오차를 발생시키지 않았나 싶다. 그래도 나머지 실험의 오차율은 적은편이여서 이 실험의 결과는 그렇게 나쁘지 않은 것 같다.
물론 공액점까지는 연결시키기기는 무리지만 기존의 공식으로 볼록렌즈의 초점거리를 결정하고 볼록렌즈에 의해 상의 배율을 측정하는 소기의 목적은 달성한 것 같다.
  • 가격1,8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2.04.16
  • 저작시기2012.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4018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