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M(- )이다 (M은 수레의 질량)
질문5.계산한 가속도 이 와 비교할 때 얼마나 성공적인 값인지 토의한다
(중력 효과-마찰효과)=-=0.450-0.030=0.420()
=0.413()
=1.694% 이므로 이론적인 값와 데이터 측정값의 오차는 크지 않다 따라서 성공한 실험값이다
질문 6. 실험2에서 수행한 이와 비교와 실험 1에서의 유사한 작업으로부터 어떤 증언을 할 수 있는가?
실험1
평균가속도와 선형회귀법의 기울기 비교
0.004 0.003
실험2
평균가속도와 선형회귀법의 기울기 비교
() =0.413()
=0.007
실험 1과 실험 2에서 계산한 가속도와 기울기의 비교들이 오차가 작고 비슷한 값이 나왔는데 이것으로 보아 중력이 작용하는 등가속도 운동에서 실제 수레의 가속도가 0.400 () 근처라고 볼 수 있다
질문7. 실험 1과 실험 2에서 구한 마찰계수를 비교 토의한다
실험 1: 0.0030
실험 2: ==0.0030
실험 1과 실험2에서 계산한 마찰계수는 0.0030 으로 같은 값이 나왔다
마찰의 정도를 나타내는 마찰계수는 물체의 재질 표면의 매끄러운 정도에 따라 달라지는데 두 실험에서는 같은 레일을 사용해 실험했기 때문에 마찰계수가 같다
2.실험과정 및 결과에 대한 토의
이번 실험은 고등학교 과정에서도 실험 한 적이 있는 등가속도 운동을 측정하는 실험 이었다 그러나 선형회귀법을 이용하여 데이터의 범위를 지정해 가속도를 구하고 그래프화 하여 좀 더 정밀한 가속도 값을 구할수 있었고 고등학교 과정에서는 기껏해야 으로 한가지 측정값 밖에 구할 수 없었는데 계산값: 와 측정값의 평균: 등 여러 가속도 값들을 비교하여 고등학교 과정보다 좀 더 심화된 내용을 학습할 수 있었다 또한 실험 2에서 알고 있었던 식 을 이용하여 를 구하고 실험1에서 구한 값과 비교했을 때 같은 값이 나와서 성공적인 실험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그리고 실험과정에서 수레를 밀 때 계속 수레가 레일을 벗어나는 실수를 범했는데 그 이유는 옆 쪽에 앉아서 수레 뒷부분의 가장자리 밀어서 수레가 운동을 하지 못하고 옆길로 탈선했다 수레 뒷 쪽의 가운데를 밀어야 똑바로 운동하는 것을 깨닫고 올바른 실험을 수행할 수 있었다 또 실험 2에서 적당한 강도로 수레를 밀어야 수레가 반대편 레일 끝에 도달하지 못하고 정확한 데이터 값을 얻을 수 있는데 너무 약하거나 세게 밀어 원하는 데이터 값을 얻을 때 까지 실험을 계속 수행해야만 했다
질문5.계산한 가속도 이 와 비교할 때 얼마나 성공적인 값인지 토의한다
(중력 효과-마찰효과)=-=0.450-0.030=0.420()
=0.413()
=1.694% 이므로 이론적인 값와 데이터 측정값의 오차는 크지 않다 따라서 성공한 실험값이다
질문 6. 실험2에서 수행한 이와 비교와 실험 1에서의 유사한 작업으로부터 어떤 증언을 할 수 있는가?
실험1
평균가속도와 선형회귀법의 기울기 비교
0.004 0.003
실험2
평균가속도와 선형회귀법의 기울기 비교
() =0.413()
=0.007
실험 1과 실험 2에서 계산한 가속도와 기울기의 비교들이 오차가 작고 비슷한 값이 나왔는데 이것으로 보아 중력이 작용하는 등가속도 운동에서 실제 수레의 가속도가 0.400 () 근처라고 볼 수 있다
질문7. 실험 1과 실험 2에서 구한 마찰계수를 비교 토의한다
실험 1: 0.0030
실험 2: ==0.0030
실험 1과 실험2에서 계산한 마찰계수는 0.0030 으로 같은 값이 나왔다
마찰의 정도를 나타내는 마찰계수는 물체의 재질 표면의 매끄러운 정도에 따라 달라지는데 두 실험에서는 같은 레일을 사용해 실험했기 때문에 마찰계수가 같다
2.실험과정 및 결과에 대한 토의
이번 실험은 고등학교 과정에서도 실험 한 적이 있는 등가속도 운동을 측정하는 실험 이었다 그러나 선형회귀법을 이용하여 데이터의 범위를 지정해 가속도를 구하고 그래프화 하여 좀 더 정밀한 가속도 값을 구할수 있었고 고등학교 과정에서는 기껏해야 으로 한가지 측정값 밖에 구할 수 없었는데 계산값: 와 측정값의 평균: 등 여러 가속도 값들을 비교하여 고등학교 과정보다 좀 더 심화된 내용을 학습할 수 있었다 또한 실험 2에서 알고 있었던 식 을 이용하여 를 구하고 실험1에서 구한 값과 비교했을 때 같은 값이 나와서 성공적인 실험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그리고 실험과정에서 수레를 밀 때 계속 수레가 레일을 벗어나는 실수를 범했는데 그 이유는 옆 쪽에 앉아서 수레 뒷부분의 가장자리 밀어서 수레가 운동을 하지 못하고 옆길로 탈선했다 수레 뒷 쪽의 가운데를 밀어야 똑바로 운동하는 것을 깨닫고 올바른 실험을 수행할 수 있었다 또 실험 2에서 적당한 강도로 수레를 밀어야 수레가 반대편 레일 끝에 도달하지 못하고 정확한 데이터 값을 얻을 수 있는데 너무 약하거나 세게 밀어 원하는 데이터 값을 얻을 때 까지 실험을 계속 수행해야만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