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속과 문학] 현대 생활의 속신 - taboo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머리말

2. 본문

3. 맺음말

본문내용

설명을 해드리니 웃으면서 그러냐고 하셨다. 인터넷카페에서 메일을 보냈을 때도, 당연히 임산부 카페이기에 임산부인줄 알고 쪽지를 보냈다가 산모가 아니라며 당황해 하는 일도 겪었었다. 설문조사를 하면서 아쉬웠던 점은, 설문지에 답변이 다양했는데 그것에 대한 구체적인 이유를 많이 얻지 못했다는 것이다. 직접 만나서 설문조사를 했다면 좀 더 깊이 있는 조사가 되었을 텐데 아쉬움이 남는다.
처음 금기라는 것은 부정적인 기능만 있지 어떻게 긍정적인 기능이 있을까라는 의구심을 갖고 리포트를 작성하기 시작했었다. 그러나 금기에 대해서 자료를 찾아보다보니 금기란 단지 근거 없고 말도 안 되는 미신이 아니라, 인과가 분명한 생활의 지혜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금기가 특히 임산부에게 많이 있다는 것도 생명의 소중함 때문에 산모나 태아나 모두를 걱정하는 마음에서 생긴 것이 아닐까란 생각이 든다. 질문한 내용 모두 그런 걱정에서 나온 말로 해석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조사 대상자의 대부분이 단지 ‘미신’으로만 알고 있다는 것이 안타깝다. 미신을 부정적으로만 생각했기 때문이다. 어떤 답변자는 ‘미신이 정말 싫다.’라는 코멘트를 달아준 경우도 있었다. 나도 처음에 미신이란 부정적이라고만 생각했었는데, 그것이 왜 그랬었는지는 모르겠다. 그냥 무의식중에 부정적이란 느낌을 받은 것 같다.
사람들이 미신의 진정한 의미를 깨달았으면 하는 작은 바람이 있다. 특히 산모들이 위와 같은 임산부에 의한 금기를 단지 미신으로만 생각지 않고 ‘왜 그런 말이 나온 것일까’를 한번 생각해 봄으로써 아이에 대해 좀 더 사랑을 기울일 수 있길 바란다.
  • 가격1,2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2.04.16
  • 저작시기2012.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4037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