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만자에 대한 운동 처방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chapter1.

1) 비만에 대한 정확한 개념과 이유들.

2) 운동 처방에 대한 개념.

3) 비만자에 대한 식이요법 적 계획.

4) 비만자에 대한 운동처방에 대한 구체적인 대안.

chapter 2.

5) 운동 부하 검사란?

chapter3.

Reference.

본문내용

목표 심박 수를 계산하기 위해 최대 심박 수 결과를 이용
할 수 있다.
- 만약, 운동 부하 검사를 받게 된다면, 우리의 심장이 얼마나 기능을 잘 하는지 좀 더 완벽하게 파악하기 위해 피로감이나 가슴 통증, 숨이 차는 등의 증상을 볼 수 있도록 요구를 받을 것이다.
② 운동 부하 검사의 방법.
- Master 2계단 시험(Master’s two step test) :
Master가 고안한 2계단을 환자가 정해진 시간 동안 왕복하여 심장에 부담을 주는 것으로 운동부하 검사법 중 가장 오래되었으며, 검사법이 간단하다는 장점 이 있으나 환자에 따라 운동량을 조절하기가 힘들고 운동량이 부족하여 양성률 이 낮게 나오는 단점이 있다.
- 답차 운동 부하 검사(treadmill exercise test) :
전동으로 회전하는 벨트 위를 걷게 하거나 뛰게 하여 심장에 부담을 주는 것으 로 헬스클럽에서 하는 러닝머신과 비슷한 것으로 검사 중에 심전도 및 혈압 을 관찰한다. 이 방법은 벨트의 각도(경사)와 회전 속도(보행 속도)를 바꾸는 것이 가능하며, 부하 량을 조절하기 쉬워서 국내에서는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 다.
- 자전거 에르고미터(bicycle ergometer) :
고정된 자전거 페달을 밟아 회전시키는 방법이며, 회전의 저항과 회전수의 변 화에 따라 부하 량을 조절할 수 있다.
③ 운동 부하 검사 시 주의해야 할 점.
- 이런 운동 부하 검사는 적절하게 심장에 부하가 주어졌을 경우에는 협심증 질 환의 진단율은 약 65% 정도이고 특이 도는 약 85%로 나타나므로 선별검사로 적합하다고 알려져 있다.
- 이러한 협심증을 진단하는 방법 가운데 가장 중요한 것은 환자의 증상인 흉통 이지만 환자들마다 비 특이적인 증상을 호소하거나 무증상을 나타내는 경우도 있다. 간단한 검사 방법으로는 심전도 검사로서 보편적으로 시행할 수 있는 검 사 방법이다.
- 그러나 안정시 심전도 소견이 정상이라고 해서 협심증이 아니라고 단정할 수는 없다. 왜냐하면 협심증 환자의 50% 이상에서 안정시 심전도가 정상적일 수 있 기 때문이다.
-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 환자에게 운동을 시켜 산소의 필요량을 증가시키는 상태를 만들어서 검사하는 방법이 운동 부하 검사이다.
- 그 외에 심장에 부담을 주는 부하 검사로는 약물을 이용하여 검사하는 방법과 저산소의 혼합 가스를 흡입시켜 심근을 저 산소 상태로 하여 검사하는 저 산소 부하 시험, 그리고 심박 동기를 우심방에 삽입하여 검사하는 심방페이싱법(atrial pacing) 등이 있다.
- 운동 부하 검사는 관절 질환을 앓고 있거나 고령 등으로 운동이 어려운 경우 등 에서는 시행이 어려우며, 환자에게 좌심실 벽이 두꺼워져 있거나, 좌각차단같은 심전도 이상이 있거나, 전해질 장애가 있는 경우에는 진단에 오류가 생길 수도 있다.
- 그러나 운동 부하 검사는 환자에게 큰 부담을 주지 않으면서 쉽게 시행할 수 있 으며 진단율을 높일 수가 있는 검사법으로 현재 협심증의 진단에 많이 이용되고 있다.
운동 부하 검사의 금기
절대 금기
상대적 금기
급성심근경색의 초기
다른 기관의 질환이 비교적 경할 때
불안정성 협심증
상당한 정도의 고혈압 또는 폐고혈압
중독한 부정맥
부정맥
급성심낭염
중등도의 판막 또는 심근 질환
심내막염
약제의 효과 또는 전해질 이상일 때
심한 대동맥판 협척
좌주관상동맥의 협착
심한 좌심부전증
비후성 심근성 질환
급성 폐색전증, 폐경색증
정신 질환
④ 운동부하중 운동을 중지시켜야 하는 경우
ⅰ. 절대적으로 중지시켜야 하는 경우(absolute contraindication)
- 운동 중 혈압(수축기)이 떨어지는 경우
- 협심증의 증상이 새로 생길 때
- 중추신경계의 증상이 생길 때(ataxia, 어지러움, near syncope)
- 말초순환의 장애 소견이 생길 때 (청색증이 생기거나, 창백해질 때) 심한 부정맥 이 생길 때(high gradeventricular arrhythmias, e.g.,multifrom, triplers and runs)
- 기계의 문제로 혈압을 잴 수 없거나, 심전도를 모니터 할 수 없을 때
- 환자가 중지하기를 원할 때
ⅱ. 필요에 따라 중지해야 하는 경우(relative contraindication)
- ST분절 또는 QRS군의 변화(excessive ST displacement, junctional
depression, or marked axis shift)
- 흉통의 증가
- 피곤감, 호흡곤란, 천명 (wheezing), 하지의 경련 (leg cramp), 간 혈적인 절뚝 거림(intermittent claudication)
- 정신상태의 이상
- 심실상성빈맥 등 비교적 경한 부정맥
- 심실빈맥과 구별할 수 없는 각 블록 형태의 심전도소견이 생길 때.
chapter3. => 이번 리포트를 통해서 우리는 비만자에 대한 운동처방에 대한 것을 알아보았다. 21C기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있어서 마치 없어서는 안 될 필수품처럼 입에 달고 다니는 것이 바로 “다이어트” 즉, 비만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것이다.
그래서 리포트를 통해서 우리가 흔히 말하고 다니는 비만이 어떤 것인지에 대해서 정확하게 알아보았고, 이런 비만을 해결 할 수 있는 운동처방에 대하여 그 정의와 방법들에 대해서도 알아보았다. 특히, 운동처방을 위해서 필요한 운동 부하검사에 대해서 좀 더 자세히 알아보았다. 이번 리포트를 통해서 느낄 수 있었던 것은 비만이란 것은 현재 이 세상에서는 유전적인 요인도 중요하지만, 요즘 따라 너무도 빨리 편하고 사람의 에너지 효율을 줄이는 일이 많아져서 비만이 더 많아 진 것 같다. 그러나 이런 세상을 탓 할 수는 없는 일이므로 우리는 운동을 통하여 그 해결책을 찾고자 하였다. 그 첫 번째로 운동 부하 검사를 통하여 우리 신체에 대해 정확히 알고, 자신의 몸에 맞게, 너무 무리하지 않게 하는 것이 중요 하다고 생각된다. 그러므로 우리는 너무 신체적 정신적으로 구애 받지 않으면서 건강한 생각으로 우리의 몸에 맞게 운동을 해 나가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방법이라고 생각 됩니다.
Reference.
  • 가격2,3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2.04.15
  • 저작시기2012.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4039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