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합리화와 보상 이렇게 4가지가 복합적으로 나타난다. 하지만 안 좋은 점도 나타났다. 나를 방어하기 위해 남에게 피해를 주는 등은 고쳐야 할 부분인거 같다. 투사의 경우에 내성적인 성격에서 나타나는 모습으로 안좋은 상황을 내스스로 좋은상황으로 돌리려고 하는 태도. 즉 내가 지금 생각하고 있는 것은 남에게 안좋은 모습으로 비추어 질수도 있기 때문에 무의식중에서 스스로 배재를 하고 있고, 전이는 최근에 나타난 모습으로 스트레스로 인하여 편한 사람들에게 화풀이를 하게 되었다. 이런 모습들은 고쳐야 할 부분이다. 합리화와 보상의 경우는 마음의 상처로 인하여 상대방으로부터 마음을 닫아 나 스스로 합리화를 시키고 자기만족의 보상을 하게끔 되었다. 마음의 문을열고 타인을 대해야 하는 점은 고쳐야 할 점 일 것이다.
추천자료
[아동상담심리] 정신분석 상담의 이론적 개념과 아동상담 사례 (상담 6일 분량의 아주 상세한...
정신분석상담이론과 인간중심상담이론 비교
[상담심리학]정신분석적 상담이론, 인간중심적 상담이론, 게슈탈트 상담이론의 비교설명 및 ...
[상담심리학]정신분석적&인간중심적 상담이론, 게슈탈트 상담이론의 비교설명과 비교표
[사회복지실천론, 상담심리학] 정신분석이론(Freud의 관점,자아와 방어,자유연상, 저항 등등)
[상담심리학 2015] 정신분석적상담이론, 인간중심적상담이론, 게슈탈트상담이론 비교설명하고...
정신분석이론(프로이드이론)의 성격과 주요용어, 정신분석이론(프로이드이론)의 기본내용과 ...
정신분석이론모델에서 소개된 방어기제 중 10개를 선택해서 각각의 방어기제에 해당하는 사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