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재의 판별과 선발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이론적 기초

1. 영재판별의 개념, 목적 및 비율

2. 국내외의 영재판별 동향과 방법

3. 영재판별의 대안과 검증

Ⅱ. 실제적 방법

1. 교사, 학부모, 동료지명 또는 자기 추천

2. 행동특성 검사지

3. 표준화 검사

4. 행동 및 산출물

본문내용

태도 등의 인성적 특성과 행동적 특성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여 주기 때문에 매우 중요
3. 표준화 검사
- 가장 광범위하고 널리 사용
1)지능검사
(1)지능검사의 종류와 특징
- 지능검사는 영재판별을 위해 사용된 가장 오래된 검사 중의 하나이고 전 세계적으 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영재판별 방법.
- 지능의 본질
① 학습하기 위한 역량 ② 한 인간이 획득한 총 지식 ③일반적으로 새로운 상황과 환 경에 성공적으로 적응하는 능력
- 개인지능검사 : 일대일의 상황에서 실시하는 것
- 집단지능검사 : 집단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것
(2)개인 지능검사
①웩슬러 지능검사(Wechsler Intelligence Scale)
- 동작성IQ와 언어성IQ로 크게 나누고 다시 전체IQ로 수치를 제공하는 것
-유아용(WPPSI : Wechsler Preschool and Primary Scale of Intelligence),
아동용(WISC : Wechsler Intelligence Scale for Children),
성인용(WAIS : Wechsler Adult Intelligence Scale) 검사가 있다.
- K-WAIS-Ⅲ: 영재판별을 목적으로 시행되는 개인 지능검사 중 가장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지능검사.
②K-ABC
- 미국의 카우프만(Kaufman) 부부가 1980년에 제작한 검사
- 영재아동의 지능과 성취를 구분하여 측정할 수 있다.
③스탠퍼드-비네 지능검사
- Binet-Simon 지능검사를 미국의 아동과 성인에게 적용할 수 있도록 Terman이 개발한 척도.
- Stanford-Binet 지능검사(4판) : 인지능력에 대한 3수준 계층모델에 근거
㉠ 제1수준 : 일반능력을 측정하거나 일반적인 추리능력을 측정
㉡ 제2수준 : 결정성 능력, 유동성-분석 능력, 단기기억의 세 가지 차원을 측정
㉢ 제3수준 : 결정성 능력┍ 언어적 추리
┕ 양적 추리
유동성-분석 능력 ┍ 추상적 추리
┕ 시각적 추리
- 15개의 하위검사로 네 가지 영역을 평가.
(3)집단 지능검사
①레이븐(Raven) 지능검사
- 추론능력과 재생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문항으로 구성
- 문제가 제시되는 순서는 사고가 작용하는 방식을 훈련하는 것으로 되어 있지만, 검사에서 각 문제는 실제로 사고체계의 모태 혹은 근본을 보는 것이다.
- 종류
㉠ 표준누진행렬(Standard Progressive Matrices: SPM)
초등학생부터 일반 성인까지 실시하는 검사
다섯 가지 세트로 구성되어 있고, 각 세트는 12문항
㉡ 색채누진행렬(Coloured Progressive Matrices: CPM)
33개월부터 초등학교 2학년까지, 치매나 기타뇌손상을 당한 노인층에게 실시
㉢ 고급누진행렬(Advanced Progressive Matrices: APM)
연구원급이나 기업체 간부 등에게 실시
- 문화의 영향을 덜 받고 잠재력 측정에 용이하므로 선행학습에 의한 영향력을 최 소화하면서 영재판별에 효과적으로 사용
- 일반능력인 ‘g’를 가장 잘 측정하는 검사라고 증명되었다. 여기서 일반능력은 학 업능력과는 다른 개념으로 이해해야 한다. 학업능력의 경우 추론능력보다는 재생 능력에 초점을 둔 웩슬러 검사의 어휘 소검사 같은 것이 예언타당도가 높다 할 수 있다.
- 도형추론에만 근거 하여 지능을 측정.
②인물화 검사
- Goodenough-Harris 그림 검사 : 개인 및 집단별로 실시 가능한 간편한 비언어적 지능검사
- 만 3~10세 아동들에게 실시하는 것이 유용.
- 아동들이 그린 그림에 대해 신체 부위별로 점수가 주어진다.
- 지적인 성숙(추상적인 특성에 대해 개념을 형성하는 능력)을 측정하는 것이 목적.
- 지각(유사함과 차이 분별), 추상화(대상의 분류), 일반화(새로운 대상을 올바르게 분류하기) 능력이 갖춰져야 한다.
③기타집단지능검사
- 집단 지능검사는 비교적 짧은 시간에 전문적인 훈련 없이도 실시할 수 있다.
- 개인 지능검사에 비하여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실제 사용에서 주의해야 한다.
2)학업성취 검사
- 학업성적은 교과 영역별 지식, 사고력, 성취수준을 알려주는 유용한 정보가 된다.
- 학업 성적의 단점
① 시험문항이 낮은 수준의 사고력, 문제해결력을 측정하는 경우가 많다.
② 일반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므로 영재를 변별하기에는 부적합하다.
③ 영재 중에서 학교생활에 흥미를 잃은 학생들도 있고 신경생리학적인 결함으로 인 해 학습부진이 누적될 수도 있기 때문에 영재성을 지녔어도 발굴되기 어렵다.
- 표준화 학업성취 검사는 학생들의 상대적 위치를 알 수 있기 때문에 영재판별에 유 용한 자료가 될 수 있다.
3)창의적 문제해결력 검사(창의성 검사)
- 창의적 문제해결력은 낯선 문제 상황에 직면하였을 때 알고 있는 지식, 원리, 문제해 결방법을 새롭게 재조직재구성하여 새로운 지식이나 원리, 문제해결방법을 창안한 다 음 그것을 활용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말한다.
- 종류
①역량평가 : TTCT(Torrance Tests of Creative Thinking), 통합창의성검사, 유아 종합창의성검사
②자기보고식 검사 : 초등학생용 창의성검사(p.151 표 5-10)
- 아래 표 (표 5-9)는 TTCT언어검사의 구성체계를 제시하고, 그 검사결과의 예시는 p152. 표 5-11 참고.
-자기보고식 창의성 검사는 채점과 이해가 쉽고, 역량검사인 TTCT 등은 객관적인 지 표를 제공.
4)적성검사
- 적성이란 주로 학습에 영향을 받지 않는 특정 영역에서의 타고난 능력을 말한다.
- 영재들을 위한 적성검사는 검사 문항의 난이도가 상당히 어려워야 그들의 적성 분야 를 알려줄 수 있다.
4. 행동 및 산출물
- 수업 중에 나타나는 아이디어와 과제의 수준과 질, 여러 교내 경시/경연대회, 발명품 전시회 입상 성적, 특별활동에서의 활동과 산출물 등
- 학교 이외의 상황에서는 외부 경시/경연대회나 전람회 입상 성적, 외부 영재교육 관 련 활동 참가 경력(수학과학 영재 여름 캠프 참여 등), 집이나 사회에서 개인적으로 수행하는 활동/ 산출물의 질 등
- 예술영재 판별에서는 포트폴리오 형태의 행동 및 산출물 평가결과가 매우 유용.

키워드

영재,   판별,   선발,   영재판별
  • 가격3,3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12.04.17
  • 저작시기2012.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4080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