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문제의 제기
Ⅱ. 롯데마트 마케팅전략분석
2.1. SWOT 분석
① Strengths(강점)
② Weaknesses(약점)
③ Opportunities(기회)
④ Threats(위협)
2.2. 4P 분석
① Price(가격전략)
② Product(제품전략)
③ Place(유통전략)
④ Promotion(촉진전략)
Ⅲ. 대안의 제시
3.1. 기존 PB 브랜드 재정비
3.2. PB 브랜드를 강화하는 스토리텔링 마케팅
3.3. 중소기업과의 상생 이미지 구축
3.4. 가족 지향형 컨셉으로의 매장변화
Ⅳ. 대안의 평가와 선택
4.1. 대안의 평가
4.2. 대안의 선택
Ⅱ. 롯데마트 마케팅전략분석
2.1. SWOT 분석
① Strengths(강점)
② Weaknesses(약점)
③ Opportunities(기회)
④ Threats(위협)
2.2. 4P 분석
① Price(가격전략)
② Product(제품전략)
③ Place(유통전략)
④ Promotion(촉진전략)
Ⅲ. 대안의 제시
3.1. 기존 PB 브랜드 재정비
3.2. PB 브랜드를 강화하는 스토리텔링 마케팅
3.3. 중소기업과의 상생 이미지 구축
3.4. 가족 지향형 컨셉으로의 매장변화
Ⅳ. 대안의 평가와 선택
4.1. 대안의 평가
4.2. 대안의 선택
본문내용
히 전달되지 못하거나, 소비자들의 반응이 좋지 않다면 되려 PB상품이 가지는 이미지만 악화될 수 있다.
③ 시장 경제 측면에서 바람직하다는 것과, 일방적인 대기업의 행보를 싫어하는 고객들이 보았을 때 선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고객들이 롯데마트와 물건을 공급하는 중소기업과의 관계가 우호적인 협력관계라는 것을 안다면 롯데마트에 대한 긍정적 인지도가 상승할 수 있다. 반면, 실제로 중소기업과의 협력을 통해 만들어낸 제품을 보았을 때, 세련미가 떨어지는 디자인으로 인해 구매의사가 저하된 고객들도 충분히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중소기업과의 협력을 통해 만들어 낸 제품이라는 것이 강조되지 않는다면 고객은 나와는 상관없는 일로 치부해 버리고, 일반상품과 같은 시각에서 바라볼 수 있다. 또한 상생이미지가 제품구매에 어느 정도의 영향을 미칠 지 파악하기 어렵다.
④ 주로 마트에 오는 사람들이 여성이며, 주로 가족단위 (적어도 부부)로 온다는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고객들이 대형마트에 대해 갖고 있는 불만족스러운 점 중 하나는 마트내부는 너무 좁고 정신이 없으며, 쉴 곳이 없기 때문에 지치기 쉽다는 점이다. 신식 전자 쇼핑 시스템을 도입하여 카트가 필요 없는 쇼핑을 만들어내며, 한결 넓어진, 그리고 푹신해진 공간을 걸으며 고객들은 이전의 좁고 딱딱한 바닥에서의 쇼핑을 금세 잊게 될 것이다. 키오스크를 설치하여 직원에게 일일이 묻지 않고도 원하는 상품의 위치를 알 수 있고, 휴게시설을 확충한다면 고객들이 롯데마트에 올 때의 만족도는 과거와 같은 매장에서 단순히 쇼핑하러 올 때 보다는 확연히 높아질 것이다. 한편, 이러한 시스템을 도입하고 매장 바닥을 바꾸는 것 등의 비용은 전례가 없으므로 매우 높을 가능성이 있다.
4.2. 대안의 선택.
대안의 평가 결과 1번과 2번 대안을 합쳐 PB상품의 전반적인 경쟁력 강화를 꾀함과 동시에, 4번의 가족 지향적 마트로의 변화를 선택하기로 했다.
먼저, 1번과 2번 대안 중 2번 대안의 롯데마트 PB상품 브랜드 스토리를 강하게 전달하여, 존재감을 확실히 각인시킨다. 소비자들이 롯데마트의 PB상품들이 존재하는구나, 어떠한 것이 있구나 하는 사실을 확인하게 되면 이제는 각각이 당신에게 어떠한 선택의 범위를 제공하는지를 알려줘야 한다. 브랜드를 정리한다는 측면에서, 고객들에게 각각의 브랜드가 어떠한 특성을 가지며, 어떤 카테고리의 제품을 판매하는지 확실히 인식시켜준다. 스토리를 통해 내가 이 상품을 사야겠구나하는 어느 정도의 이유가 생겼다면 브랜드 정리는 이 중 확실히 이걸 사야지 하는 기회를 제공한다.
4번은 기존고객들의 브랜드충성도를 높일 수 있는 확실한 방안일 뿐만 아니라, 한번 우연히 와본 고객이 기타 대형마트와는 확연히 다른 서비스를 느끼게 하여 롯데마트에 정착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도 있다. 이 대안이 자리를 잡게 된다면 대형마트는 비단 쇼핑의 공간만이 아닌, 가족들이 편하게 이야기하며 시간을 함께 보낼 수 있는 휴식공간의 기능도 담당할 수 있다.
<목 차>
Ⅰ. 문제의 제기.
Ⅱ. 롯데마트 마케팅전략분석
2.1. SWOT 분석
① Strengths(강점)
② Weaknesses(약점)
③ Opportunities(기회)
④ Threats(위협)
2.2. 4P 분석
① Price(가격전략)
② Product(제품전략)
③ Place(유통전략)
④ Promotion(촉진전략)
Ⅲ. 대안의 제시
3.1. 기존 PB 브랜드 재정비
3.2. PB 브랜드를 강화하는 스토리텔링 마케팅
3.3. 중소기업과의 상생 이미지 구축
3.4. 가족 지향형 컨셉으로의 매장변화
Ⅳ. 대안의 평가와 선택
4.1. 대안의 평가
4.2. 대안의 선택
③ 시장 경제 측면에서 바람직하다는 것과, 일방적인 대기업의 행보를 싫어하는 고객들이 보았을 때 선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고객들이 롯데마트와 물건을 공급하는 중소기업과의 관계가 우호적인 협력관계라는 것을 안다면 롯데마트에 대한 긍정적 인지도가 상승할 수 있다. 반면, 실제로 중소기업과의 협력을 통해 만들어낸 제품을 보았을 때, 세련미가 떨어지는 디자인으로 인해 구매의사가 저하된 고객들도 충분히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중소기업과의 협력을 통해 만들어 낸 제품이라는 것이 강조되지 않는다면 고객은 나와는 상관없는 일로 치부해 버리고, 일반상품과 같은 시각에서 바라볼 수 있다. 또한 상생이미지가 제품구매에 어느 정도의 영향을 미칠 지 파악하기 어렵다.
④ 주로 마트에 오는 사람들이 여성이며, 주로 가족단위 (적어도 부부)로 온다는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고객들이 대형마트에 대해 갖고 있는 불만족스러운 점 중 하나는 마트내부는 너무 좁고 정신이 없으며, 쉴 곳이 없기 때문에 지치기 쉽다는 점이다. 신식 전자 쇼핑 시스템을 도입하여 카트가 필요 없는 쇼핑을 만들어내며, 한결 넓어진, 그리고 푹신해진 공간을 걸으며 고객들은 이전의 좁고 딱딱한 바닥에서의 쇼핑을 금세 잊게 될 것이다. 키오스크를 설치하여 직원에게 일일이 묻지 않고도 원하는 상품의 위치를 알 수 있고, 휴게시설을 확충한다면 고객들이 롯데마트에 올 때의 만족도는 과거와 같은 매장에서 단순히 쇼핑하러 올 때 보다는 확연히 높아질 것이다. 한편, 이러한 시스템을 도입하고 매장 바닥을 바꾸는 것 등의 비용은 전례가 없으므로 매우 높을 가능성이 있다.
4.2. 대안의 선택.
대안의 평가 결과 1번과 2번 대안을 합쳐 PB상품의 전반적인 경쟁력 강화를 꾀함과 동시에, 4번의 가족 지향적 마트로의 변화를 선택하기로 했다.
먼저, 1번과 2번 대안 중 2번 대안의 롯데마트 PB상품 브랜드 스토리를 강하게 전달하여, 존재감을 확실히 각인시킨다. 소비자들이 롯데마트의 PB상품들이 존재하는구나, 어떠한 것이 있구나 하는 사실을 확인하게 되면 이제는 각각이 당신에게 어떠한 선택의 범위를 제공하는지를 알려줘야 한다. 브랜드를 정리한다는 측면에서, 고객들에게 각각의 브랜드가 어떠한 특성을 가지며, 어떤 카테고리의 제품을 판매하는지 확실히 인식시켜준다. 스토리를 통해 내가 이 상품을 사야겠구나하는 어느 정도의 이유가 생겼다면 브랜드 정리는 이 중 확실히 이걸 사야지 하는 기회를 제공한다.
4번은 기존고객들의 브랜드충성도를 높일 수 있는 확실한 방안일 뿐만 아니라, 한번 우연히 와본 고객이 기타 대형마트와는 확연히 다른 서비스를 느끼게 하여 롯데마트에 정착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도 있다. 이 대안이 자리를 잡게 된다면 대형마트는 비단 쇼핑의 공간만이 아닌, 가족들이 편하게 이야기하며 시간을 함께 보낼 수 있는 휴식공간의 기능도 담당할 수 있다.
<목 차>
Ⅰ. 문제의 제기.
Ⅱ. 롯데마트 마케팅전략분석
2.1. SWOT 분석
① Strengths(강점)
② Weaknesses(약점)
③ Opportunities(기회)
④ Threats(위협)
2.2. 4P 분석
① Price(가격전략)
② Product(제품전략)
③ Place(유통전략)
④ Promotion(촉진전략)
Ⅲ. 대안의 제시
3.1. 기존 PB 브랜드 재정비
3.2. PB 브랜드를 강화하는 스토리텔링 마케팅
3.3. 중소기업과의 상생 이미지 구축
3.4. 가족 지향형 컨셉으로의 매장변화
Ⅳ. 대안의 평가와 선택
4.1. 대안의 평가
4.2. 대안의 선택
추천자료
이마트 PB상품 ‘자연주의’ 마케팅 전략
이마트를 넘어 할인점의 리더를 꿈꾼다 - 삼성 TESCO 홈플러스 -
[마케팅전략] 이마트의 PB상품 마케팅 전략
[경영학] 삼성 테스코 홈플러스의 성공요인 분석
이마트의 중국진출 국제 마케팅 전략 및 STP, 4P, SWOT 분석 레포트
[유통학]롯데마트 물류시스템(경쟁 할인점 포함_이마트 홈플러스 월마트)
[경영과의사결정]삼성테스코 ‘홈플러스’ 경영전략 분석 및 보완전략 도출(A+리포트)
[경영과의사결정)삼성테스코 ‘홈플러스’의 경영전략 분석 및 발전방안 (A+리포트)
이마트의 중국 진출 마케팅 전략과 향후 대응책
국내유통시장 현황 및 이마트 기업 경영전략
[마케팅] 이마트 마케팅전략
이마트,마케팅,브랜드,브랜드마케팅,기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영,시장,사례,swot,stp,4p
[A+] 이마트 기업, 경영전략, 마케팅전략, 성공요인, 중국 진출, 향후전략
월마트(WALMART)의 한국 시장 진출 실패 분석 및 그에 따른 대응전략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