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Ⅷ. 주택보건
1. 주택의 구비조건
2. 실내 공기오염 관리
3. 환기
4. 채광 및 조명
5. 온도조절
6. 공중위생시설의 관리
7. 의복기후와 건강
Ⅹ. 소독
1. 이학적 소독법(물리적 멸균법)
2. 화학적 소독법
1. 주택의 구비조건
2. 실내 공기오염 관리
3. 환기
4. 채광 및 조명
5. 온도조절
6. 공중위생시설의 관리
7. 의복기후와 건강
Ⅹ. 소독
1. 이학적 소독법(물리적 멸균법)
2. 화학적 소독법
본문내용
물질의 파괴를 줄이기 위해 사용
- 우유 : 135℃ 2초간 순간적 열처리로 영양분의 파괴를 방지, 미생물만 멸살
2) 무가열멸균법 : 자외선, 초음파, 동위원소멸균법, 일광소독법 등
(1) 자외선멸균법
- 살균력이 강한 파장 : 2,500~2,600Å(250~260nm)
- 실험실 : 바이러스 살균
- 무균실, 수술실, 제약실 : 공기, 물, 식품, 기구, 용기 등의 소독 등에 이용
- 결핵균, 디프테리아균 등 2~3시간이면 살균효과
(2) 초음파 멸균법
- 매초 8,800Hz의 음파는 강력한 교반작용으로 미생물을 파괴하는 살균력이 있음
(3) 전류 및 방사선
▷ 전류 : 균체의 NaCl(sodium chloride) 이온을 유리시켜 살균작용,
이때 발생된 열로도 살균작용을 함
▷ 방사선(Co60, Cs137) : 식품에 처리하여 장기보존
- 방사능으로 생물의 핵산을 파괴하거나 변형을 일으켜 돌연변이, 치사 유발
- 인체 유해여부 논쟁
3) 세균여과법, 무균조작법, 희석법
① 세균여과법
- 화학물질이나 열을 이용할 수 없는 경우
- Chanverland(여과공 0.2~0.4㎛), Berkefeld(여과공 2.8~4.1㎛) 여과기 사용
- 바이러스는 제거 불가
2. 화학적 소독법
1) 소독약의 구비조건과 살균기전
(1) 소독약의 구비조건
① 살균력이 강할 것
② 물품의 부식성, 표백성이 없을 것
③ 용해성이 높고, 안정성이 있을 것
④ 경제적이고 사용방법이 간편할 것
⑤ 인체에 대해 독성이 없을 것
(2) 소독약의 살균기전
① 산화작용 : 염소(Cl2)와 그 유도체, H2O2, O3, KMnO4
② 균단백 응고작용 : 석탄산, 알코올, 크레졸, 포르말린, 승홍
③ 균체의 효소 불활화작용 : 알코올, 석탄산, 중금속염, 역성비누
④ 가수분해작용 : 강산, 강알칼리, 열탕수
⑤ 탈수작용 : 식염, 설탕, 포르말린, 알코올
⑥ 중금속염의 형성작용 : 승홍, 머큐로크롬, 질산은
⑦ 위 작용의 복합작용
2) 소독약의 종류별 특성
- 석탄산, 크레졸, 승홍, 생석회, 산과 알칼리, 염소와 그 유도체, 알코올, 포르말린,
과산화수소, 머큐로크롬, 역성비누, 약용비누 등
(1) 석탄산(Phenol)
- 3~5%의 수용액 사용
- 저온에 용해가 잘 안되고, 산성이며, 고온일수록 소독효과 크므로 열탕수로 사용
- 장점 : 안정된 살균력, 유기물에도 소독력이 약화되지 않음
- 단점 : 피부점막에 자극성, 금속부식, 냄새와 독성이 강함
- 살균기전 : 균체단백질의 응고작용, 세포용해작용, 균체의 효소계 침투작용
- 소독대상물 : 환자의 오염의류, 용기, 오물, 시험대, 배설물, 토사물 등
- 석탄산계수 : 소독약의 살균력을 비교하기 위해 석탄산을 표준으로 하여, 어떤 균주를 20℃에서 10분내에 살균할 수 있는 석탄산의 희석배수와 시험하려는 소독약의 희석배수 를 비교
(2) 크레졸
- 석탄산보다 2~3배 살균력을 가지나, 물에 잘 녹지 않음
- 1~2% 용액을 보통비누액에 50% 혼합한 크레졸 비누액을 만들어 사용
- 소독력이 강해 석탄산계수는 2이며, 손, 오물, 객담 등의 소독에 사용
- 바이러스엔 소독효과 적으나 세균에 효과가 크고, 유기물에도 효과가 약화되지 않음
- 피부자극성 없으나 냄새가 강한 단점
(3) 승홍(염화수은(II), HgCl2)
- 맹독성(성인 치사량 1g)으로 식기구, 피부소독에 적당하지 않음
- 액온도가 높을수록 살균력이 강하므로 가온하여 사용
- 0.1% 수용액으로 사용
(4) 생석회(CaO, lime)
- 습기가 있는 분변, 하수, 오수, 오물, 토사물 등 소독에 적합
- 공기에 오래 노출되면 살균력 저하
- 석회유(Ca(OH)2) : 생석회 분말 2 : 물 8의 비율로 제조, 건조한 소독대상물에 사용
(5) 과산화수소(H2O2)
- 3% 수용액 사용
- 자극성이 적어 구내염, 인두염, 입안세척, 상처 등 사용
(6) 알콜
- 피부 및 기구 소독(상처의 점막엔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음)
- 75% 에탄올 사용
(7) 머큐로크롬
- 점막 및 피부상처에 사용, 자극성은 없으나 살균력 강하지 않음
- 2% 머큐로크롬, 2% 에타놀아세톤머큐로크롬액 사용
(8) 역성비누
- 물에 잘녹고, 무색, 무취, 무미, 무해하여 식품소독에 좋음
- 자극성 및 독성이 없고, 침투력, 살균력이 강함
- 포도상구균, Shigella 균속, 결핵균에 유효
- 0.01~0.1% 액 사용
(9) 약용비누
- 비누에 각종 살균제를 첨가하여 세척효과와 살균효과를 가짐
- 손이나 피부소독 등에 주로 사용
(10) 기타
- 염소와 그 유도체, 포르말린(HCHO) 3%, 포름알데하이드 가스 등 사용
3) 소독방법을 결정할 때 고려할 사항
① 전염병 : 소화기계, 호흡기계, 곤충매개
② 전염방법 : 직접전파, 간접전파
③ 병원체 : 세균, 바이러스, 포자형성균
④ 소독대상물
4) 전염병의 전염경로에 따른 소독대상물
(1) 소화기계 전염병
- 환자의 분뇨, 토사물 및 그 오염물, 화장실, 하수구, 쓰레기통, 환자사용 식기구,
환자가 사용한 실내 및 기구류 등 소독
(2) 호흡기계 전염병
- 실제로 소독이 어려우나 환자의 객담, 환자 병실 및 각종 기구류, 의류 등 소독
(3) 매개곤충이 전파하는 전염병
- 곤충 서식처 중심으로 살충제 분무하여 해충 구제, 환자의 생활환경 소독
5) 소독대상물에 따른 소독방법
① 대소변, 배설물, 토사물 : 석탄산, 크레졸, 생석회 분말 등 사용
② 의복, 침구류, 모직물 : 일광소독, 증기소독, 자비소독, 크레졸, 석탄산수에 2시간
③ 초자기구, 목제품, 도자기류 : 석탄산수, 크레졸수, 승홍수, 포르말린 사용
내열성이 강한 것은 증기소독 및 자비소독
④ 고무, 피혁제품, 모피, 칠기 : 석탄산수, 크레졸수, 포르말린수 등
⑤ 화장실, 쓰레기통, 하수구 : 분변엔 생석회, 변기 또는 화장실내 석탄산수, 크레졸수, 포르말린수 사용
⑥ 병실 : 석탄산수, 크레졸수, 포르말린수를 뿌리거나 닦음
⑦ 환자 및 환자접촉자 : 손은 석탄산수, 크레졸수, 승홍수, 역성비누 사용, 몸은 목욕
⑧ 시체 : 석탄산수, 크레졸수, 승홍수, 알코올 등 , 관내엔 석회로 메움
- 우유 : 135℃ 2초간 순간적 열처리로 영양분의 파괴를 방지, 미생물만 멸살
2) 무가열멸균법 : 자외선, 초음파, 동위원소멸균법, 일광소독법 등
(1) 자외선멸균법
- 살균력이 강한 파장 : 2,500~2,600Å(250~260nm)
- 실험실 : 바이러스 살균
- 무균실, 수술실, 제약실 : 공기, 물, 식품, 기구, 용기 등의 소독 등에 이용
- 결핵균, 디프테리아균 등 2~3시간이면 살균효과
(2) 초음파 멸균법
- 매초 8,800Hz의 음파는 강력한 교반작용으로 미생물을 파괴하는 살균력이 있음
(3) 전류 및 방사선
▷ 전류 : 균체의 NaCl(sodium chloride) 이온을 유리시켜 살균작용,
이때 발생된 열로도 살균작용을 함
▷ 방사선(Co60, Cs137) : 식품에 처리하여 장기보존
- 방사능으로 생물의 핵산을 파괴하거나 변형을 일으켜 돌연변이, 치사 유발
- 인체 유해여부 논쟁
3) 세균여과법, 무균조작법, 희석법
① 세균여과법
- 화학물질이나 열을 이용할 수 없는 경우
- Chanverland(여과공 0.2~0.4㎛), Berkefeld(여과공 2.8~4.1㎛) 여과기 사용
- 바이러스는 제거 불가
2. 화학적 소독법
1) 소독약의 구비조건과 살균기전
(1) 소독약의 구비조건
① 살균력이 강할 것
② 물품의 부식성, 표백성이 없을 것
③ 용해성이 높고, 안정성이 있을 것
④ 경제적이고 사용방법이 간편할 것
⑤ 인체에 대해 독성이 없을 것
(2) 소독약의 살균기전
① 산화작용 : 염소(Cl2)와 그 유도체, H2O2, O3, KMnO4
② 균단백 응고작용 : 석탄산, 알코올, 크레졸, 포르말린, 승홍
③ 균체의 효소 불활화작용 : 알코올, 석탄산, 중금속염, 역성비누
④ 가수분해작용 : 강산, 강알칼리, 열탕수
⑤ 탈수작용 : 식염, 설탕, 포르말린, 알코올
⑥ 중금속염의 형성작용 : 승홍, 머큐로크롬, 질산은
⑦ 위 작용의 복합작용
2) 소독약의 종류별 특성
- 석탄산, 크레졸, 승홍, 생석회, 산과 알칼리, 염소와 그 유도체, 알코올, 포르말린,
과산화수소, 머큐로크롬, 역성비누, 약용비누 등
(1) 석탄산(Phenol)
- 3~5%의 수용액 사용
- 저온에 용해가 잘 안되고, 산성이며, 고온일수록 소독효과 크므로 열탕수로 사용
- 장점 : 안정된 살균력, 유기물에도 소독력이 약화되지 않음
- 단점 : 피부점막에 자극성, 금속부식, 냄새와 독성이 강함
- 살균기전 : 균체단백질의 응고작용, 세포용해작용, 균체의 효소계 침투작용
- 소독대상물 : 환자의 오염의류, 용기, 오물, 시험대, 배설물, 토사물 등
- 석탄산계수 : 소독약의 살균력을 비교하기 위해 석탄산을 표준으로 하여, 어떤 균주를 20℃에서 10분내에 살균할 수 있는 석탄산의 희석배수와 시험하려는 소독약의 희석배수 를 비교
(2) 크레졸
- 석탄산보다 2~3배 살균력을 가지나, 물에 잘 녹지 않음
- 1~2% 용액을 보통비누액에 50% 혼합한 크레졸 비누액을 만들어 사용
- 소독력이 강해 석탄산계수는 2이며, 손, 오물, 객담 등의 소독에 사용
- 바이러스엔 소독효과 적으나 세균에 효과가 크고, 유기물에도 효과가 약화되지 않음
- 피부자극성 없으나 냄새가 강한 단점
(3) 승홍(염화수은(II), HgCl2)
- 맹독성(성인 치사량 1g)으로 식기구, 피부소독에 적당하지 않음
- 액온도가 높을수록 살균력이 강하므로 가온하여 사용
- 0.1% 수용액으로 사용
(4) 생석회(CaO, lime)
- 습기가 있는 분변, 하수, 오수, 오물, 토사물 등 소독에 적합
- 공기에 오래 노출되면 살균력 저하
- 석회유(Ca(OH)2) : 생석회 분말 2 : 물 8의 비율로 제조, 건조한 소독대상물에 사용
(5) 과산화수소(H2O2)
- 3% 수용액 사용
- 자극성이 적어 구내염, 인두염, 입안세척, 상처 등 사용
(6) 알콜
- 피부 및 기구 소독(상처의 점막엔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음)
- 75% 에탄올 사용
(7) 머큐로크롬
- 점막 및 피부상처에 사용, 자극성은 없으나 살균력 강하지 않음
- 2% 머큐로크롬, 2% 에타놀아세톤머큐로크롬액 사용
(8) 역성비누
- 물에 잘녹고, 무색, 무취, 무미, 무해하여 식품소독에 좋음
- 자극성 및 독성이 없고, 침투력, 살균력이 강함
- 포도상구균, Shigella 균속, 결핵균에 유효
- 0.01~0.1% 액 사용
(9) 약용비누
- 비누에 각종 살균제를 첨가하여 세척효과와 살균효과를 가짐
- 손이나 피부소독 등에 주로 사용
(10) 기타
- 염소와 그 유도체, 포르말린(HCHO) 3%, 포름알데하이드 가스 등 사용
3) 소독방법을 결정할 때 고려할 사항
① 전염병 : 소화기계, 호흡기계, 곤충매개
② 전염방법 : 직접전파, 간접전파
③ 병원체 : 세균, 바이러스, 포자형성균
④ 소독대상물
4) 전염병의 전염경로에 따른 소독대상물
(1) 소화기계 전염병
- 환자의 분뇨, 토사물 및 그 오염물, 화장실, 하수구, 쓰레기통, 환자사용 식기구,
환자가 사용한 실내 및 기구류 등 소독
(2) 호흡기계 전염병
- 실제로 소독이 어려우나 환자의 객담, 환자 병실 및 각종 기구류, 의류 등 소독
(3) 매개곤충이 전파하는 전염병
- 곤충 서식처 중심으로 살충제 분무하여 해충 구제, 환자의 생활환경 소독
5) 소독대상물에 따른 소독방법
① 대소변, 배설물, 토사물 : 석탄산, 크레졸, 생석회 분말 등 사용
② 의복, 침구류, 모직물 : 일광소독, 증기소독, 자비소독, 크레졸, 석탄산수에 2시간
③ 초자기구, 목제품, 도자기류 : 석탄산수, 크레졸수, 승홍수, 포르말린 사용
내열성이 강한 것은 증기소독 및 자비소독
④ 고무, 피혁제품, 모피, 칠기 : 석탄산수, 크레졸수, 포르말린수 등
⑤ 화장실, 쓰레기통, 하수구 : 분변엔 생석회, 변기 또는 화장실내 석탄산수, 크레졸수, 포르말린수 사용
⑥ 병실 : 석탄산수, 크레졸수, 포르말린수를 뿌리거나 닦음
⑦ 환자 및 환자접촉자 : 손은 석탄산수, 크레졸수, 승홍수, 역성비누 사용, 몸은 목욕
⑧ 시체 : 석탄산수, 크레졸수, 승홍수, 알코올 등 , 관내엔 석회로 메움
추천자료
소환기관(소화기계)
질병의 원인과 분류(질병의 외적 요인 및 외적 요인), 숙주의 면역(저항성)
신경계
술(알코올)
스트레스의 개념과 원인, 스트레스로 인한 징후, 스트레스와 식욕의 관계, 스트레스에 대한 ...
인간발달
질병의 발생기전과 위험요인, 질병에 대한 면역반응, 질병원인이론, 질병의 분류와 주요 증상
의사와 환자의 관계(의사-환자 관계접근, 의사와 환자의 권력관계, 의사-환자관계에 영향을 ...
내분비계
건강불평등(사회계층에 따른 건강불평등, 건강불평등에 대한 대응 및 중재방법)
감염관리와 무균술
외피계(피부기관, 피부계)
[신체형 장애] 신체화 장애, 전환장애, 건강염려증의 원인과 증상 및 치료방법
[불안장애] 강박장애, 공황장애, 공포장애의 원인과 증상 및 치료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