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염관리와 무균술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감염관리와 무균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감염관리와 무균술

I. 감염
1. 감염의 정의
2. 감염의 원인
3. 감염의 형성

II. 환경
1. 생물학적 환경요인
2. 지리적 환경요인
3. 계절적 환경요인
4. 사회적 환경요인

III. 병원체
1. 세균
2. 진균

IV. 숙주

V. 소독과 멸균
1. 소독
2. 멸균

VI. 격리
1. 격리의 일반적인 원칙
2. 격리방법

* 참고문헌

본문내용

소독제다.
* 오염제거
감염이 전파되지 않을 만큼 안전한 수준까지 미생물의 오염을 없애거나 줄이는 처치이다.
* 세척(cleaning)
모든 눈에 보이는 먼지, 얼룩,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이다.
* 소독 지침
소독할 물건과 소독제 사이에 충분한 접촉면이 있도록 한다.
적절한수분이 필요한데, 가열 소독할 때는 건열보다 습열이 더 효과적이며, 무수알코올보다는 70% 알코올 정도의 유수알코올이 살균력이 더 높다.
소독제에 따라 정해진 농도와 시간을 지킨다. 온도가 일정한 경우 농도가 짙어질수록 살균에 요하는 시간이 짧아진다. 소독하고자 하는 목적에 맞는 소독제를 선정해야 한다.
- 저온 살균법 : 63'C(또는 61~65'C) 30분 동안
- 고온 살균법 : 71‘C에서 15초 동안
- 초고온 살균법 : 120~150'C에서 2초간
* 이상적인 소독제의 조건
- 살균효과가 뛰어나야 한다.
- 환경요인에 영향을 받지 않아야 한다.
- 세척에 의해 쉽게 제거되어 잔류되지 않아야 한다.
- 독성이 없어야 한다.
- 악취가 없어야 한다.
- 물에 희석해서 사용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물에 잘 녹아야 한다.
- 고농도 상태로도 안정되어 있어 희석해서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 인체에 무해해야 한다.
* 용도에 따른 소독제 종류
- 피부 소독제
알코올(alcohol) 클로르헥시딘, 포비딘(iodine & lodophors), 헥사클로르펜, PCMX
- 환경 소독제
마루나 벽, 싱크, 탁자, 기구장, 문고리 등의 환경에 사용한다.
인플루엔자나 다른 상기도 감염을 일으키는 바이러스 B형 간염 바이러스 같은 미생물이 이에 속한다.
소독제 : 페놀산 4급 암모늄제제 등이 사용된다.
- 의류, 침구 등의 소독
증기소독
자비소독
formaldehyde gas소독
약물(3%석탄산수, 3% ciesol, 35배(1%) formalin에 2시간)소독
소각소독
일광소독
- 객담, 대소변, 토물 등 매설물의 소독
약물(같은 양의 3%석탄산수, 3% cresol, 1/40 부피의 생석회가루 1/4이상 부피의 석회유 또는 크롤석회를 가하여 2시간 이상 방치)소독
자비(30분)소독
소각소독법
- 서적류의 소독
fofmaldehyde gas 소독
소각소독
일광소독
- 식기의 소독
자비소독
약물(0.5% 양성 비눗물에 약 5~10분 동안 담근다)소독
- 우물, 오수의 소독
생석회-물 부피의 약 l1/50을 넣고 12시간 방치
크롤석회(표백분) - 5%수용액을 물의 1/500이상 넣고 12시간 방치
- 변소의 소독
석탄산수, cresol살포, 변소 구덩이(생석회가루 석회유 - 일주일 이상 방치)
2. 멸균
멸균이란 살아 있는 모든 미생물이 존재하지 않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멸균방법으로는 고압증기멸균(auto dave) 에틸렌 옥사이드 가스 멸균(E. O gas), 건열멸균(diy stenlizxtion)이 널리 활용되고 있다.
* 고압증기멸균
125-135‘C의 고온과 고압을 이용한 물리적 멸균방법이다.
4-30분의 짧은 시간이 소요되면 독성이 없고 습열이 침투되어 미생물을 사멸시킨다.
기구, 방포, 용액, 직물 등 열과 습기에 강한 물품 멸균에 이용한다.
가장 안전하고 실질적이며 경제적인 멸균방법이다.
* 에틸렌 옥사이드 가스 멸균
에틸렌 옥사이드 가스를 이용한 화학적 멸균방법이다.
고압증기멸균과 달리 낮은 온도(38~55‘C)에서 멸균하므로 냉멸균(cold sterilzation)이라 한다.
고열이나 습도에 민감하고 섬세한 물품이나 예리한 기구 등의 멸균에 적합하다.
멸균시간이 길고 충분한 통기 후에 사용해야 한다.
통기시간은 물품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최소 8~16시간 이상 소요된다.
* 건열멸균
고온으로 인한 파괴 효과를 이용한 오븐 형태의 멸균이다.
파우더, 오일, 바세린 거즈 등의 멸균에 적당하다.
멸균시간은 물품과 온도에 따라 다르나 보통 140‘C에서 3시간 정도 한다.
VI. 격리
감염된 환자를 격리하는 것이 일반적인 격리이며, 반대로 감염 감수성이 큰 환자를 격리하여 외부 감염으로부터 보호하는 것을 역격리라고 한다.
1. 격리의 일반적인 원칙
각각 감염원의 종류와 특성에 따라 가운, 장갑 및 마스크, 모자를 착용한다.
* 환자의 배치
환자가 전염성이 큰 미생물을 가지고 있는 경우 세면대와 화장실이 별도로 설치된 1인실에 격리하고, 1인실이 가능하지 않을 경우에는 동일한 미생물에 감염된 환자를 같은 방에 입원시킬 수 있으며 이를 코호트 격리라고 한다.
* 환자의 이동
전염성이 강하거나 문제가 될 수 있는 미생물을 가지고 있는 환자인 경우 가능한 한 환자의 이동은 환자방 내로 제한한다.
만약 환자 이동이 꼭 필요한 경우라면 환자에게 적절한 보호장구(마스크, 가운 등)를 착용한다.
* 환자 치료기구와 물품
오염된 물품은 패기용 봉투에 넣어 분리수거한다.
* 세탁물과 환자용 식기
적절한 세제와 뜨거운 물을 사용하는 세척기를 이용하면 격리환자용 식기에는 특별한 주의가 필요하지 않다.
2. 격리방법
* 표준 격리
질병의 종류나 감염질환의 유무에 관계없이 모든 환자에게 적용하는 것이다.
혈액, 체액이나 분비물, 손상된 피부, 점막 등에 접촉 시에는 하는 격리이다.
* 전파 경로별 격리
표준격리를 기본적으로 적용함과 동시에 전염력이 강한 미생물에 의한 전파를 예방하기 위하여 추가로 적용하는 방법이다. 공기주의, 비말주의, 접촉주의를 하는 것이다.
* 보호격리(역격리)
환자가 저항력이 낮아서 다른 환자나 병원직원으로부터 감염되는 것을 막기 위해 적용되는 것으로 예를 들면 AIDS 환자가 해당된다. 물질이 존재하거나 될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다리싸개, 신발싸개 등을 착용할 수 있다.
* 참고문헌
학습목표에 맞춘 보건관리 / 박웅섭, 보문각, 2009
건강교육과 보건학의 이해 / 권봉안 저, 한미의학, 2015
공중보건학 / 김낙상 저, 에듀팩토리, 2016
알기 쉬운 공중보건학 / 이련리, 조갑연 외 4명 저, 효일, 2015
최신공중보건학 / 정희곤, 강갑연 외 2명 저, 광문각, 2016
성인의 건강관리 / 임완지 저, 광림북하우스, 2016
웰니스 건강관리 / 조현철 박상규 저, 라이프사이언스, 2014

추천자료

  • 가격2,5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7.06.05
  • 저작시기2017.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2769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