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역사_일본의 무사도에 대하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무사도란 무엇인가

2.과거의 재현의 측면에서 영화 속의 무사와 무사도

3.무사도의 현대적 의미

<참고 문헌>

<참고 논문>

본문내용

다는 것이다. 그리고 주인공의 인간적인 모습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는 것이다. 감독은 사무라이에 씌어 있던 대의를 위한 죽음의 비장함과 장렬함의 허세를 벗기고 싶었다고 말 한다.
3.무사도의 현대적 의미
▶살펴본 영화의 의미와 무사도의 현대적 의미
4편의 영화를 보면서 공통적으로는 무사도라는 것이 일본다운 것을 알 수 있다는 점이다. 앞의 7인의 사무라이와 무사의 체통은 그야말로 전형적인 무사도를 표출하는 무사의 모습을 볼 수 있는 영화라고 할 수 있고 후의 황혼의 사무라이와 하나는 무사도에 충실하면서도 그에 대해 다른 각도의 시선으로 사무라이를 재조명 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이 4편의 영화 외에도 일본에 사무라이와 사무라이 정신인 무사도에 관한 영화는 무수히 많다. 이것만 보아도 무사도란 것이 얼마나 일본다운 것이며 일본인에게 있어 보편적인 것인가를 알 수 있다. 물론 개인적인 의견으로 과하게 생각한 점이 없진 않지만 조사를 하고 영화를 보면서 느꼈던 것은 앞의 두 영화와 뒤의 두 영화는 대비되는 점이 있듯이 역사의 재현이라는 측면에서 무사도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는 같더라도 시대의 변화에 있어 그것이 비난 받아야 할 면이 있다면 비난 받고 높이 살 만 한 점이 있다면 우러러 보게 해주는 신화적인 역할을 부여하면서 융통성있는 자세를 갖게 한다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이것은 역사를 대함에 있어 다른 사고의 가능성을 열어주기 때문에 아주 중요한 부분이라고 생각한다.
니토베 이나조가 “매우 진보적인 사상을 가진 일본인이라도, 표피를 벗겨보면 거기에 무사의 모습이 있다.”라고 말 했듯이 무사도는 일본인의 삶에 무엇 하나 영향을 끼치지 않은 부분이 없지 않을 수도 있다. 이것은 분명 대중들에게 무사가 사라졌음에도 도덕의 표준을 공급하는 역할을 해왔음을 부정할 수는 없는 것이다. 최근 올해 5월 신문 기사에서 일본에서 있었던 일본이 이미 잃어버린 것들을 포함해 아름다운 일본을 만들기 위해 없어서는 안 될 ‘일본다운 것’을 묻는 질문에서 응답자의 41%가 배려와 예절, 조화, 평화, 부끄러움을 아는 마음, 겸허, 근면, 청결, 검소함, 무사도 등 일본의 기질이 가장 중요하다고 대답했다. 20%가 만화ㆍ애니메이션, 종이접기, 일본 술, 목욕문화, 지역축제 등의 전통ㆍ문화ㆍ예술로 꼽혔다. 또 아름다운 산하와 삼림, 사계절, 자연을 사랑하는 마음, 원시림, 벚꽃, 맛있는 공기 등 일본의 자연이 15%, 성묘, 추석, 설날, 효도, 기와 등 일본의 생활양식ㆍ경관이 14%, 아침ㆍ점심ㆍ저녁 인사 등 일본말이 7%, 장인기술, 신칸센, 로봇, 환경기술 등 첨단기술이 3%로 뒤를 이었다. 이렇듯 현대 일본인에게 있어 무사도란 아직까지도 생생히 살아 있고 이어져 오는 정신이며 일본인의 기질 중 무사도 정신이라는 것은 고유한 민족적 특성을 내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함께 각종 매체를 통해 재현되는 역사는 과거의 사실과 그 안에서의 의미를 현대인에게 연결시켜주는 역할을 하고 있다는 것은 모두가 다 아는 것이다. 그중 무사도 정신을 영상역사학의 측면에서 영화로 만날 수 있다는 것은 백문이 불여일견이라는 말처럼 생동감 있으며 시각적으로도 효과적인 방법이 아닌가 생각한다. 영화라는 매체를 통해 일본 고유의 정신인 무사도 정신이 맥을 이어가는 하나의 수단으로도 존재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재현은 무사도 정신이 현대인에게 있어서도 커다란 의미로 조상들의 정신과 혼으로 받아들여지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또 이러한 것은 시대의 변화에 따라 개인의 생각에 따라 변화 할 수도 있는 것이지만 ‘황혼의 사무라이’나 ‘하나’의 경우처럼 칼의 사무라이가 아닌 인간의 사무라이의 모습을 보여줌으로써 무사도를 바탕으로 한 비인도적 만행들은 비난받아 마땅하지만 사회적으로도, 인간적으로도 완벽한 사무라이의 모습을 재생해 낸 것이 아닌가 생각한다. 이를 통해 고유의 정신은 쉽게 소멸되지 않는 다는 것과 어떤 형태로든 역사는 재현되고 현재와 끊임없이 조우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는 것도 중요한 것이라고 생각한다. 앞서 살펴본 것들을 바탕으로 현대적 의미를 세 가지로 요약 하자면 무사도는 세계적인 국가로 부상할 수 있는 원동력으로써 작용한다는 점과 현대인들의 삶에 있어 방향타 역할을 한다는 것, 이러한 무사도는 일본인들의 정신문화의 유산이자, 사라질 수 없는, 사라지지 않을 일본의 활동적인 정신이자 추진력이라는 것이다. 일본이 세계적인 국가로 부상할 수 있었던 것은 무사도 정신의 영향으로 인하여 효 보다는 사회관계속에서의 충과 의를 중요하게 여겨 온 것이 자본주의에서 유리하게 작용되어 오늘날의 일본을 만들어 내는데 유효한 윤리가 되었다는 점이다. 니토베 이나조는 시대가 변하였어도 사무라이 정신은 사멸되지 않을 것이라고 말 했듯이 오늘 날의 일본을 있게 한 것이 바로 무사도라는 점에서 일본을 움직이는 사상을 무사도라고 보아도 무리가 아니라고 할 수 있다.
즉, 무사도의 현대적 의미는 무사도가 일본의 정신적인 뿌리로서 역할하고 있다는 점은 과거와 역사를 통해 이어져 온 것이라는 것을 일본인들이 자각하고 있다는 것이며 이 무사도는 어느 시대에 가도 살아 있을 일본의 원동력이라는 점, 결코 과거의 것만으로 어느 한 곳에 정지해 있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이러한 무사도의 정신적인 면은 오늘날 현대인들의 삶에 있어 방향타 역할을 할 것이며 아울러 그러한 무사도 정신의 반추를 통하여 현대사회가 요구하는 미래형태의 인간으로 거듭날 수 있는 길을 제시해 주는 역할을 할 것이다.
<참고 문헌>
김기덕 외, <우리 인문학과 영상>,푸른 역사, 2002.
니토베 이나조, 양경미 역, <무사도>, 생각의나무, 2004.
호사카 유지, <조선 선비와 일본 사무라이>, 김영사, 2007.
아서 놀레티, 편장완 역,<일본영화 다시보기>, 시공사, 2001.
로저 에버트, 최보은 역,<위대한 영화>, 을유문화사, 2003.
강한섭,<강한섭의 영화이야기>, 범조사, 1993
<참고 논문>
이정학, <일본 무사도 정신의 현대적 의의>,한국체육철학회지,2000.
정삼현, <무사도연구>.한국체육철학회지,2005.
  • 가격2,3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2.04.20
  • 저작시기2009.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4160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