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철학)교육철학과 교육과학의 비교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교육철학)교육철학과 교육과학의 비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제3부 교육철학 탐구

제1장 교육철학 탐구의 의의

제2절 교육철학과 교육과학
1. 철학의 성격

2. 과학의 성격

3. 과학과 철학과의 관계

4. 교육철학이란 [敎育哲學, philosophy of education]

5. 교육과학이란 [敎育科學, science of education]

6. 교육철학과 교육과학의 비교

※ 참고문헌

본문내용

심리학 실험실, J.M.라이스의 교육측정을 바탕으로 교육과학적 연구가 성행하여, 1910년대에는 교육에 있어서의 과학운동이 일어났다. 미국의 교육과학적 연구는 교육의 사실문제에 대한 과학적인 연구에 의하여 해결수단을 발견하거나 개선하는 것이 목적이었다.
6. 교육철학과 교육과학의 비교
교육과학은 존재를 문제 삼아, 현실에 있는 그대로의 사태를 기술하고, 설명하여 교육현상의 법칙을 찾지만, 교육철학은 교육의 목적내지, 가치를 규명하고, 탐구하는 학문
교육과학은 교육에 관한 사실을 결정하고 증명하는 것이고, 교육철학은 그 사실을 해석, 비판, 평가하여 교육의 목적과 이상 설정
교육과학은 교육철학이 밝힌 목적내지 이상을 실현시킬 방법과 수단을 구하고, 교육철학은 교육과학 인도
교육철학은 교육과학에 의하여 발견된 교육적 사실에 기초하여 전개되며, 교육과학의 근본전제를 비판하고, 교육사실의 근원을 찾고자 하는 것
※ 참고문헌
하나선 외(2003), 간호철학과 간호역사. 현문사. 99-101
신득렬 외(2004), 쉽게 풀어 쓴 교육철학 및 교육사. 양서원. 259-262
Naver 교육철학 관련 blog 및 지식in
교육과학
교육철학
탐구 대상
사실(事實) =(현상, 現像)
→ 5가지 감각기관을 통하여 참, 거짓을 판단(경험에 의한 판단)할 수 있는 대상
→ 참, 거짓을 판단하는 근거가 무엇이냐가 중요
과학자들이 관심을 가지는 용어의 ‘의미’
→ 조작적으로 정의 내릴 수 있는 의미
(사실, 현상에 의해 참, 거짓을 확인)
☞ 과학자들의 관심
- ‘의미’자체에 있는 것이 아니라
‘사실’에 있다.
의미(意味)
→ 감각기관이 아닌, 다른 근거에 의해 참, 거짓을 판단할 수 있는 것
일상적 의미
: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사용하는 말의 ‘의미’를 지칭 (객관적)
규범적 의미
: 어떤 것이 이상적인 것이며, 왜 해야 하며 어떻게 해야 옳은 것인가를 탐구하는 것 (주관적)
기 능
사실을 기술, 설명, 예언, 통제하는 활동
구체적 사실들을 일반화된 진술로 기술
→ 왜 일어나는지를 법칙, 이론으로 설명
→ 법칙, 이론을 근거로 예언 및 통제
☞ 기술은 설명을 위한 자료, 예언과 통제는 설명을 바탕으로 이루어진다.
→ 설명이 가장 중요
일상적 의미를 분석하고 규범적 의미를 비판하거나 정당화하는 활동
일상적 의미
: 의미 분석(分析) → 관점을 드러낸다.
규범적 의미
: 의미를 정당화(正當化), 비판(批判)
다루는
명제의 성격
경험적 명제
: 5가지 감각기관에 의해 알 수 있는 것을 경험이라고 하기 때문
→ 사실을 다루므로 ‘사실적 명제’
(명제: 문장으로 진술되고, 참, 거짓을
판별할 수 있는 것)
개념적 명제
일상적 의미
: 말의 의미, 개념의 관계 분석함으로 써 참, 거짓을 판별
→ 의미, 개념의 논리적 관계를
주목하므로 ‘논리적 명제’
규범적 명제
규범적 의미
: 이상적인 당위를 주장, 근거나 준거의 합리성과 타당성에 근거하여 참, 거짓을 판별
→ 가치의 문제에 속하므로
‘가치론적 명제’
  • 가격1,3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2.03.22
  • 저작시기2011.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4166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