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대 장 암 (colon ca.) 문헌고찰 】
1. 대장의 해부·생리
2. 대장암의 병태생리/ 원인
1) 위험요인
2) S상 결장암 (50%), 우측결장 (25%), 횡행결장, 하행결장(25%)에서 발생한다.
3) 대부분의 선암은 궤양처럼 보인다
4) 결장벽의 점막층에서 시작된 병변
3. 임상증상
4. 진단적 평가
1) 혈액이의 유무에 대한 대변검사
2) 바륨관장
3) 결장경(colonoscpy)을 통한 Bx
4) Pelvic MRI와 직장 내 초음파로
5) CEA(carcinoembryonic antigen)
6) 복부, 간, 폐, 뇌의 CT 촬영으로 전이를 확인 할 수 있다.
7) PET CT
5. 관리 방법
1) 외과적 관리
2) 방사선 요범
【 간호 과정 】
1. 간호사정
1) 입원상태
2) 병력 및 일반정보
3) 신체검진
4) 검사 결과
5) 사용 약물
【SOAP】
문제 간 호 과 정
# 1 ~ # 4
1. 대장의 해부·생리
2. 대장암의 병태생리/ 원인
1) 위험요인
2) S상 결장암 (50%), 우측결장 (25%), 횡행결장, 하행결장(25%)에서 발생한다.
3) 대부분의 선암은 궤양처럼 보인다
4) 결장벽의 점막층에서 시작된 병변
3. 임상증상
4. 진단적 평가
1) 혈액이의 유무에 대한 대변검사
2) 바륨관장
3) 결장경(colonoscpy)을 통한 Bx
4) Pelvic MRI와 직장 내 초음파로
5) CEA(carcinoembryonic antigen)
6) 복부, 간, 폐, 뇌의 CT 촬영으로 전이를 확인 할 수 있다.
7) PET CT
5. 관리 방법
1) 외과적 관리
2) 방사선 요범
【 간호 과정 】
1. 간호사정
1) 입원상태
2) 병력 및 일반정보
3) 신체검진
4) 검사 결과
5) 사용 약물
【SOAP】
문제 간 호 과 정
# 1 ~ # 4
본문내용
1~10정도 중 8정도 통증 호소함
-침대 위에서 심호흡 하는 모습 보임
-보호자가 대상자의 옆에서 심호흡 유도하는 모습 보임
-PRN으로 처방된 pethidine 투약 시 통증이 많이 줄었다고 말함.
【SOAP】
문제
간 호 과 정
# 2
S
“미열이 있는 것 같은데?”,“뭐 그정도 물 닫는거 가지고 그래? 샤워해야지”
O
-호중구 수치의 상승 ( 수술 전 54%→수술 이후 63.% 이상으로 나옴)
-체온 (수술 전 36.5→수술 후 37.3)
-드레싱 시 상처부의 진물이 거즈에 약간의 농성 배액이 묻어나옴
A
수술부위와 관련된 감염의 위험성
P/I
-간호행위 전, 후 손을 꼭 씻고 간호 시행 시 장갑을 꼭 착용 한다.
-체온을 4시간 간격으로 check 하고 이상 있을 시 즉시 보고한다.
-금기가 아닐 시 고단백식이를 제공한다.
-대도록 면회나 대상자의 방문을 줄이도록 교육한다.
-대상자에게 다음 사항을 교육한다
a. 올바른 손씻기 기술
b. 감염 위험성을 높이는 요인
c. 감염의 증상과 징후
-처방된 항생제를 투여한다.
E
-대상자의 호중구 수치는 1월30일 까지 60%이상 유지함
-드레싱 시 농성 배액은 줄어듬
문제
간 호 과 정
# 3
S
“아파서 잠이 안온다.”, “시끄러워서 잠을 잘수가 있나! 2인실로 옮겨주쇼”
O
-새벽에 여러번 스테이션으로 서성거리다 휠체어에 앉는 모습 보임
-의사와 면담 시 수면제 처방을 원하는 모습 보임
-다른 환자자와 면회객들의 소음에 예민해 하는 모습 보임
A
수술부위 통증과 환경변화와 관련된 수면장애
P/I
-대상자에게 무엇이 수면 증진에 도움이 되는지 묻는다.
-이완요법을 교육하고 침상에서 실시하도록 교육한다.
-수면을 방해하는 커피등과 같은 음식은 수면 4~5시간 전 자제하도록 교육한다.
-매일 아침 수면의 질에 대해서 묻는다.
-처방된 약물을 투여한다.
E
-대상자는 시끄러운 다인실과 통증이 불면에 원인이라고 말해 2인실로 옮기고 pethidine 투여로 다소 안정된 모습 보이심
-침대 위에서 손을 모으고 눈감고 참을 청하는 모습 보이심
-도저히 잠이 안온다고 약물을 원할 시 Lendormin 1T 줌
-아침에 수면에 대해 물어보면 다인실에 있을 때보다 푹 잤다고 하심
문제
간 호 과 정
# 4
S
“아는 사람도 암 재발로 사망했다던데요?”, “재발률이 어느 정도 되나요?”
O
-의사 면담을 신청하여 암 재발에 대한 질문을 하는 모습 보임
-옆 침상 환자에게 암 재발에 대한 걱정을 토로하는 모습 보임
-가족들도 암 재발의 우려로 초조해 하는 모습 보임
A
암의 재발과 관련된 불안
P/I
-대상자의 불안한해 하는 원인을 파악한다.
-신체적인 요구를 철저히 충족시켜 준다. (식이, 수면, 통증)
-담당의사와의 면담을 통해 수술의 경과에 대해 알 수 있게 한다.
-면담과 치료, 교육 시 가족을 함께 참여시킨다.
-퇴원 후 암 재발을 예방하는 교육을 준비한다.
E
-대상자는 암의 재발 할 것에 대해 불안해 한다
-불면 호소와 수술 부위 통증, 식이에 대한 요구를 충분히 들어주고 만족해 하심
-침대 위에서 심호흡 하는 모습 보임
-보호자가 대상자의 옆에서 심호흡 유도하는 모습 보임
-PRN으로 처방된 pethidine 투약 시 통증이 많이 줄었다고 말함.
【SOAP】
문제
간 호 과 정
# 2
S
“미열이 있는 것 같은데?”,“뭐 그정도 물 닫는거 가지고 그래? 샤워해야지”
O
-호중구 수치의 상승 ( 수술 전 54%→수술 이후 63.% 이상으로 나옴)
-체온 (수술 전 36.5→수술 후 37.3)
-드레싱 시 상처부의 진물이 거즈에 약간의 농성 배액이 묻어나옴
A
수술부위와 관련된 감염의 위험성
P/I
-간호행위 전, 후 손을 꼭 씻고 간호 시행 시 장갑을 꼭 착용 한다.
-체온을 4시간 간격으로 check 하고 이상 있을 시 즉시 보고한다.
-금기가 아닐 시 고단백식이를 제공한다.
-대도록 면회나 대상자의 방문을 줄이도록 교육한다.
-대상자에게 다음 사항을 교육한다
a. 올바른 손씻기 기술
b. 감염 위험성을 높이는 요인
c. 감염의 증상과 징후
-처방된 항생제를 투여한다.
E
-대상자의 호중구 수치는 1월30일 까지 60%이상 유지함
-드레싱 시 농성 배액은 줄어듬
문제
간 호 과 정
# 3
S
“아파서 잠이 안온다.”, “시끄러워서 잠을 잘수가 있나! 2인실로 옮겨주쇼”
O
-새벽에 여러번 스테이션으로 서성거리다 휠체어에 앉는 모습 보임
-의사와 면담 시 수면제 처방을 원하는 모습 보임
-다른 환자자와 면회객들의 소음에 예민해 하는 모습 보임
A
수술부위 통증과 환경변화와 관련된 수면장애
P/I
-대상자에게 무엇이 수면 증진에 도움이 되는지 묻는다.
-이완요법을 교육하고 침상에서 실시하도록 교육한다.
-수면을 방해하는 커피등과 같은 음식은 수면 4~5시간 전 자제하도록 교육한다.
-매일 아침 수면의 질에 대해서 묻는다.
-처방된 약물을 투여한다.
E
-대상자는 시끄러운 다인실과 통증이 불면에 원인이라고 말해 2인실로 옮기고 pethidine 투여로 다소 안정된 모습 보이심
-침대 위에서 손을 모으고 눈감고 참을 청하는 모습 보이심
-도저히 잠이 안온다고 약물을 원할 시 Lendormin 1T 줌
-아침에 수면에 대해 물어보면 다인실에 있을 때보다 푹 잤다고 하심
문제
간 호 과 정
# 4
S
“아는 사람도 암 재발로 사망했다던데요?”, “재발률이 어느 정도 되나요?”
O
-의사 면담을 신청하여 암 재발에 대한 질문을 하는 모습 보임
-옆 침상 환자에게 암 재발에 대한 걱정을 토로하는 모습 보임
-가족들도 암 재발의 우려로 초조해 하는 모습 보임
A
암의 재발과 관련된 불안
P/I
-대상자의 불안한해 하는 원인을 파악한다.
-신체적인 요구를 철저히 충족시켜 준다. (식이, 수면, 통증)
-담당의사와의 면담을 통해 수술의 경과에 대해 알 수 있게 한다.
-면담과 치료, 교육 시 가족을 함께 참여시킨다.
-퇴원 후 암 재발을 예방하는 교육을 준비한다.
E
-대상자는 암의 재발 할 것에 대해 불안해 한다
-불면 호소와 수술 부위 통증, 식이에 대한 요구를 충분히 들어주고 만족해 하심
추천자료
post OP care
community acquired pneumonia 병원외 감염
조기진통케이스
응급실케이스-기흉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 뇌졸중 (Cerebral Vascular Accident ; CVA)
CASE STUDY - 알콜성간경화증
케이스스터디-Parkinson\'s Disease-26쪽
케이스-myasthenia gravis-21쪽
<성인 실습> 급성골수성백혈병 (AML) 케이스
간암 간호 사례 연구 (HCC 원인)
케이스스터디 골절 급성통증 낙상위험성
난소낭종 문헌고찰 및 케이스스터디
급성 위장염(AGE Acute Gastroenteritis)
성인간호학 류마티스 관절염 케이스 스터디 Reumatoid Arthritis case stud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