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목 차 >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문헌고찰
1. 백혈병 문헌고찰
2. 충돌증후군 문헌고찰
3. 조혈모세포 문헌고찰
4. 조혈모세포이식 문헌고찰
Ⅲ. 간호과정
1. 간호사정
2. 진단 검사
3. 치료 및 경과
4. 간호진단
Ⅳ. 결론
Ⅴ. 참고문헌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문헌고찰
1. 백혈병 문헌고찰
2. 충돌증후군 문헌고찰
3. 조혈모세포 문헌고찰
4. 조혈모세포이식 문헌고찰
Ⅲ. 간호과정
1. 간호사정
2. 진단 검사
3. 치료 및 경과
4. 간호진단
Ⅳ. 결론
Ⅴ. 참고문헌
본문내용
탈모, 골다공증, 고칼륨혈증, 대사성산증
tacin 500mg/100ml/BT
1BT
호중구감소증이 예상되는 혈액종양환자 또는 골수이식을 진행중인 환자에 대하여 표준요법이 적합치 않을 경우 이트라코나졸에 감수성인 심재성 진균 감염증의 예방
혈액계, 복통, 구역, 변비, 설사, 구토, 소화불량, 장운동증가, 간장애
Neutrogin 250mcg/V
+N/S 100ml/Bag
1IV
1BG
항암요법 또는 골수이식 등으로 인한 호중구 감소증
쇽, 아구 증가, 간질성 폐렴, 두드러기, 발진
Peniramin 5mg/2ml/A
1AM
고초열, 두드러기, 소양성 피부질환, 알레르기성 비염, 혈관운동성 비염, 코감기에 의한 재채기콧물기침, 혈관운동성 부종, 곤충자상
경련, 재생불량성빈혈, 발진, 저혈압, 용혈성빈혈
xamic acid 500mg/5ml/Amp
+N/s 500ml/Bag
4Am
1BG
산증(아시도시스)
급성두드러기
과량 투여시: 알칼리증, 고나트륨혈증, 저칼륨혈증, 혈액 응고시간 연장, 경련, 강직, 폐부종
신경계 이상.
1) 투약
4. 간호진단
# 1. 혈소판 저하와 관련된 출혈위험성
간호사정
주관적 사정
‘어디 부딪히면 혈관이 빨갛게 되고 멍이 들어요’ ’
객관적 사정
1. v/s check 시 살살해달라고 하였다.
2. 상완, 어깨, 팔 등 여러 군데에서 옅은 푸른색의 작은 멍 자국들을 관찰 할 수 있었다.
3. 검사결과
Platelet
6
1
4
11
150~450
↓ : 혈소판 생산 감소(골수 부전), 혈소판 조기분해(비장기능 항진),
혈소판의 파괴증가(항생제 사용, 감염), 출혈로 인한 혈소판 소실
간호목표
출혈을 예방하고 최소화한다.
간호계획
1.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v/s을 측정한다.
2. 임상병리 검사를 시행하고 결과를 확인 한다.
혈소판 수와 신체검진을 통해 출혈 가능성 및 출혈징후를 사정하고, 혈소판 수에 따른 활동을 제한한다.
3. 출혈을 줄이기 위해 안전교육을 실시한다.
4. 관찰 가능한 가벼운 멍이 더 늘어나는지 관찰한다.
5. 소변이나 대변에서 피가 보이면 바로 보고하도록 교육한다.
간호수행
1.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v/s을 측정하였다.
2. 임상병리 검사를 확인하였다. 혈소판 수치가 약간 상승하였지만 그래도 정상보다는 부족하므로 활동을 제한하였다.
3. 출혈을 줄이기 위해 안전교육을 실시하였다.
- 면도날의 사용, 근육주사, 직장 체온 측정 등을 금한다.
- 칫솔은 부드러운 것으로 사용한다.
- 어쩔 수 없이 침습적인 것을 하게 된다면 그 부위를 압박하는 것은 더 많은 출혈 예방에 효과적이므로 그 부위를 오랫동안 압박/지지 해야 함을 교육하였다.
4. 관찰 가능한 가벼운 멍이 더 늘어나는지 관찰하였다.
5. 소변이나 대변에서 피가 보이면 바로 간호사실로 보고하도록 교육하였다.
간호평가
혈소판 수치가 약간 상승함을 보였으나 정상에 미치지 못하였고, 출혈을 줄이기 위한 안전교육 후 잘 실행하는 것을 보았고 외관상으로 보았을 때 이전보다 멍이 적었다.
# 2. 백혈구 변화와 관련된 감염의 위험성.
간호사정
주관적 사정
“아깐 코가 막혀서 힘들었는데 이제는 콧물이 나요”
객관적 사정WBC
12/4
12/5
12/6
정상범위
0.15
0.17
0.24
4~10
↓ : 감염, 백혈병, 신체적 손상, 염증반응
CRP
12/1
12/4
12/6
정상범위
1.48
1.57
2.02
4~10
↑ : 감염, 염증반응, 신체적 손상
간호목표
부가적인 감염을 방지한다.
간호계획
1. V/S 을 규칙적으로 시행한다.
2. 호흡상태를 사정한다.(dyspnea, cough)
3. 배뇨상태를 사정한다.(배뇨 시 작열감, 빈뇨, 긴박뇨)
4. 백혈구수를 관찰한다.
5. 정맥주사 부위를 8시간마다 관찰한다.
6. 처방에 따라 항생제를 투여한다.
7. 방에 꽃이나 식물을 금한다.
8. 식이에 대해 교육한다.
간호수행
1. V/S 6시간마다 측정했다.
2. 혈액검사를 시행하는 것을 보았다.
3. 주사 처치 시 장갑을 끼고 시행하는 것을 보았다.
4. 방에 꽃이나 식물을 치우고 감염 위험성을 줄였다.
5. 익힌 음식을 먹도록 격려하고 날 것이나 생선은 먹지 않도록 교육했다.
6. 마스크, 모자를 쓰도록 했다.
간호평가
혈액검사를 시행하는 것을 보고 수치를 보았는데 WBC는 조금 증가해 좋았으나 CRP는 더욱 증가했다. 간호사 선생님께서 주사 처치 시 손 소독을 하고 장갑을 껴서 감염을 예방했고 식이에 대해 교육함으로써 감염을 줄였다. 그리고 환자에게 항시 모자와 마스크를 착용하게 해서 감염을 일으키는 것을 예방하였다.
Ⅲ. 결론
1. 느낀점
처음 암병동에서 실습을 해보았는데 생각보다 우울한 느낌은 아니였던 것 같다. 수선생님께서 AML이라는 급성 골수성 백혈병이라는 케이스를 주셨는데 백혈병이라는 병에 대해서 솔직히 ‘머리가 빠지고 백혈구가 많이 감소하고 멍이 잘드는 병이다‘ 라고만 생각하고 있었는데 이 케이스를 공부하게 되면서 백혈병에 대해 더욱 깊이 알게 되었고 아직까지 나는 더 많이 공부를 해야겠다는 것을 느꼈다. 이때까지 몰랐을 때 백혈병은 불치병인 줄로만 알았는데 이제는 백혈병도 난치병이 되어 생존율이 높다고 한다. 생존율을 높이는 한 가지 방법이 조혈모세포이식인데 이 환자분도 자가조혈모세포 채집을 위해 입원하셨다. 채집하기 위해선 혈액세포가 일정한 수치를 넘어야 하는데 이 환자는 그 수치가 계속 도달하지 못해 입원 중이셨다. 그래서 환자분께 간호를 어떻게 해드려야 하나 생각을 많이 했는데 솔직히 위에 적혀있는 간호를 100% 완벽히 수행 했다기 보다는 앞으로 백혈병 환자를 만나면 나라면 이렇게 간호해야지 이런 것들을 작성했다. 저 간호를 받으시고 완쾌하셨으면 좋겠다. 성인 실습이라 그런지 케이스들이 저번 실습들과는 다르게 어려움이 많았고 그로 인해 더 많이, 깊이 공부할 수 있는 기회가 되어 좋았다. 백혈병에 대해서는 완벽하지는 않더라고 다른 친구들보다는 내가 조금 더 많은 걸 알고 있을 것 같다.
Ⅳ. 참고문헌
- < 성인간호학 하권 > 전시자 외 9명, 2009년, 현문사
*****병원 이OO님 차트 및 OCS.
드러그인포
kims .
tacin 500mg/100ml/BT
1BT
호중구감소증이 예상되는 혈액종양환자 또는 골수이식을 진행중인 환자에 대하여 표준요법이 적합치 않을 경우 이트라코나졸에 감수성인 심재성 진균 감염증의 예방
혈액계, 복통, 구역, 변비, 설사, 구토, 소화불량, 장운동증가, 간장애
Neutrogin 250mcg/V
+N/S 100ml/Bag
1IV
1BG
항암요법 또는 골수이식 등으로 인한 호중구 감소증
쇽, 아구 증가, 간질성 폐렴, 두드러기, 발진
Peniramin 5mg/2ml/A
1AM
고초열, 두드러기, 소양성 피부질환, 알레르기성 비염, 혈관운동성 비염, 코감기에 의한 재채기콧물기침, 혈관운동성 부종, 곤충자상
경련, 재생불량성빈혈, 발진, 저혈압, 용혈성빈혈
xamic acid 500mg/5ml/Amp
+N/s 500ml/Bag
4Am
1BG
산증(아시도시스)
급성두드러기
과량 투여시: 알칼리증, 고나트륨혈증, 저칼륨혈증, 혈액 응고시간 연장, 경련, 강직, 폐부종
신경계 이상.
1) 투약
4. 간호진단
# 1. 혈소판 저하와 관련된 출혈위험성
간호사정
주관적 사정
‘어디 부딪히면 혈관이 빨갛게 되고 멍이 들어요’ ’
객관적 사정
1. v/s check 시 살살해달라고 하였다.
2. 상완, 어깨, 팔 등 여러 군데에서 옅은 푸른색의 작은 멍 자국들을 관찰 할 수 있었다.
3. 검사결과
Platelet
6
1
4
11
150~450
↓ : 혈소판 생산 감소(골수 부전), 혈소판 조기분해(비장기능 항진),
혈소판의 파괴증가(항생제 사용, 감염), 출혈로 인한 혈소판 소실
간호목표
출혈을 예방하고 최소화한다.
간호계획
1.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v/s을 측정한다.
2. 임상병리 검사를 시행하고 결과를 확인 한다.
혈소판 수와 신체검진을 통해 출혈 가능성 및 출혈징후를 사정하고, 혈소판 수에 따른 활동을 제한한다.
3. 출혈을 줄이기 위해 안전교육을 실시한다.
4. 관찰 가능한 가벼운 멍이 더 늘어나는지 관찰한다.
5. 소변이나 대변에서 피가 보이면 바로 보고하도록 교육한다.
간호수행
1.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v/s을 측정하였다.
2. 임상병리 검사를 확인하였다. 혈소판 수치가 약간 상승하였지만 그래도 정상보다는 부족하므로 활동을 제한하였다.
3. 출혈을 줄이기 위해 안전교육을 실시하였다.
- 면도날의 사용, 근육주사, 직장 체온 측정 등을 금한다.
- 칫솔은 부드러운 것으로 사용한다.
- 어쩔 수 없이 침습적인 것을 하게 된다면 그 부위를 압박하는 것은 더 많은 출혈 예방에 효과적이므로 그 부위를 오랫동안 압박/지지 해야 함을 교육하였다.
4. 관찰 가능한 가벼운 멍이 더 늘어나는지 관찰하였다.
5. 소변이나 대변에서 피가 보이면 바로 간호사실로 보고하도록 교육하였다.
간호평가
혈소판 수치가 약간 상승함을 보였으나 정상에 미치지 못하였고, 출혈을 줄이기 위한 안전교육 후 잘 실행하는 것을 보았고 외관상으로 보았을 때 이전보다 멍이 적었다.
# 2. 백혈구 변화와 관련된 감염의 위험성.
간호사정
주관적 사정
“아깐 코가 막혀서 힘들었는데 이제는 콧물이 나요”
객관적 사정WBC
12/4
12/5
12/6
정상범위
0.15
0.17
0.24
4~10
↓ : 감염, 백혈병, 신체적 손상, 염증반응
CRP
12/1
12/4
12/6
정상범위
1.48
1.57
2.02
4~10
↑ : 감염, 염증반응, 신체적 손상
간호목표
부가적인 감염을 방지한다.
간호계획
1. V/S 을 규칙적으로 시행한다.
2. 호흡상태를 사정한다.(dyspnea, cough)
3. 배뇨상태를 사정한다.(배뇨 시 작열감, 빈뇨, 긴박뇨)
4. 백혈구수를 관찰한다.
5. 정맥주사 부위를 8시간마다 관찰한다.
6. 처방에 따라 항생제를 투여한다.
7. 방에 꽃이나 식물을 금한다.
8. 식이에 대해 교육한다.
간호수행
1. V/S 6시간마다 측정했다.
2. 혈액검사를 시행하는 것을 보았다.
3. 주사 처치 시 장갑을 끼고 시행하는 것을 보았다.
4. 방에 꽃이나 식물을 치우고 감염 위험성을 줄였다.
5. 익힌 음식을 먹도록 격려하고 날 것이나 생선은 먹지 않도록 교육했다.
6. 마스크, 모자를 쓰도록 했다.
간호평가
혈액검사를 시행하는 것을 보고 수치를 보았는데 WBC는 조금 증가해 좋았으나 CRP는 더욱 증가했다. 간호사 선생님께서 주사 처치 시 손 소독을 하고 장갑을 껴서 감염을 예방했고 식이에 대해 교육함으로써 감염을 줄였다. 그리고 환자에게 항시 모자와 마스크를 착용하게 해서 감염을 일으키는 것을 예방하였다.
Ⅲ. 결론
1. 느낀점
처음 암병동에서 실습을 해보았는데 생각보다 우울한 느낌은 아니였던 것 같다. 수선생님께서 AML이라는 급성 골수성 백혈병이라는 케이스를 주셨는데 백혈병이라는 병에 대해서 솔직히 ‘머리가 빠지고 백혈구가 많이 감소하고 멍이 잘드는 병이다‘ 라고만 생각하고 있었는데 이 케이스를 공부하게 되면서 백혈병에 대해 더욱 깊이 알게 되었고 아직까지 나는 더 많이 공부를 해야겠다는 것을 느꼈다. 이때까지 몰랐을 때 백혈병은 불치병인 줄로만 알았는데 이제는 백혈병도 난치병이 되어 생존율이 높다고 한다. 생존율을 높이는 한 가지 방법이 조혈모세포이식인데 이 환자분도 자가조혈모세포 채집을 위해 입원하셨다. 채집하기 위해선 혈액세포가 일정한 수치를 넘어야 하는데 이 환자는 그 수치가 계속 도달하지 못해 입원 중이셨다. 그래서 환자분께 간호를 어떻게 해드려야 하나 생각을 많이 했는데 솔직히 위에 적혀있는 간호를 100% 완벽히 수행 했다기 보다는 앞으로 백혈병 환자를 만나면 나라면 이렇게 간호해야지 이런 것들을 작성했다. 저 간호를 받으시고 완쾌하셨으면 좋겠다. 성인 실습이라 그런지 케이스들이 저번 실습들과는 다르게 어려움이 많았고 그로 인해 더 많이, 깊이 공부할 수 있는 기회가 되어 좋았다. 백혈병에 대해서는 완벽하지는 않더라고 다른 친구들보다는 내가 조금 더 많은 걸 알고 있을 것 같다.
Ⅳ. 참고문헌
- < 성인간호학 하권 > 전시자 외 9명, 2009년, 현문사
*****병원 이OO님 차트 및 OCS.
드러그인포
kims .
추천자료
백혈병 케이스(간호과정)
[간호학]케이스 내과 백혈병(ALL)
급성 림프성 백혈병 케이스 스터디
급성 백혈병 간호진단.케이스 스터디
케이스 스터디 )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
[간호학과] 소아과(PED,PICU) AML(acute myeloid leukemia/급성 골수성 백혈병)환아 케이스 ...
[간호학과] 내과(IM) AML(Acute Myeloid Leukemia/급성 골수성 백혈병) 케이스 스터디 (case ...
[성인 내과케이스] 백혈병 (leukemia) 케이스 스터디
[성인간호학][AMI][급성골수성백혈병]케이스 스터디(Case Study),[AMI]문헌고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