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대상자 사정
2. 문헌고찰
3. 임상소견
4. 약물
5. 간호진단
2. 문헌고찰
3. 임상소견
4. 약물
5. 간호진단
본문내용
.
◎ 주의 : 간, 신장장애, 약물과민증 기왕력자, 고령자.
SD (1:4)
◎ 약효 분류 : 혈액대용제 ( Intravenous & Other Sterile Solutions )
◎ 효능효과 : 탈수증, 수분, 전해질 보급, 수술 전후의 수분 및 전해질 보급.
◎ 용법용량 : 성인 : 1회 300-500 ml/hr 투여.
유아, 소아 : 1회 50-100 ml/hr 투여.
Ara-c
◎ 약효 분류 : 무기질제제 (Vitamin B's/with C)
5. 간호진단
문제
간호과정
# 1
감염 위험성
S
none
O
① WBC (정상치 : 4.0-10.0)
4/29 - 5.66 5/2 - 5.66 5/6 - 4.17 5/9 - 1.90
② BT : 5/8 - 37.6℃ 5/9 - 38.3℃
③ 수두 의심 증상으로 몸 군데군데 vesicle 있음.
A
신체방어 저하와 관련된 감염 위험성
P/I
GOAL ) 환아의 감염위험이 최소화 될 것이다.
① 감염원에의 노출을 최소화 하기 위해 모든 방문객과 의료진에게 손을 씻도록 한다.
② 모든 침습적 절차시에는 완벽한 무균술을 실시한다.
③ 감염유무를 알아보기 위해 체온을 모니터한다. ( 체온 상승시 아이스팩을 대준다. )
④ 환아의 잠재적 감염부위를 사정한다. ( 주사삽입부위, 점막궤양, 찰과상, 치아손상 )
⑤ 신체방어기전을 지지하기위해 연령에 적합한 식이를 제공한다.
⑥ 면역이 감소된 환아에게 생백신제 투여를 피한다.
⑦ 필요시 처방에 따라 항생제를 투여한다.
⑧ 수두를 예방하기 위해 처방에 따라 비활성 바이러스 백신제를 준다.
⑨ 감염에의 노출을 줄이기 위해 개인병실을 사용하게 한다.
E
환아와 접촉시 손씻기를 철저히 지켰고 감염의 유무를 알기위해 체온 을 자주 측정했으며 상승됐던 체온은 정상을 유지했다.
환아는 연령에 맞는 적절한 식이를 섭취했으며 개인병실로 옮겼다.
WBC는 계속 낮은 상태를 유지했고 수두증상은 조금 나아졌다.
좀 더 세밀한 관찰과 간호가 필요할 것 같다.
문제
간호과정
# 2
체액부족
S
“아침에 세수를 하다 코를 건드렸는데 코피가 멈추질 않아요”
O
① 5/9의 Platelet의 수치가 100K정도로 현저히 감소되어 있다.
② 왼쪽 팔 부분에 멍든 부분이 있다.
③ 코피가 쉽게 멈추지 않는다.
A
응고장애와 관련된 체액부족
P/I
GOAL ) 환아는 출혈증상을 보이지 않을 것이다.
① 출혈을 멈추기위해 국소요법을 적용한다. (얼음주머니)
② 손상을 가져올 수 있는 힘든 활동을 제한한다.
③ 출혈을 예방하기위해 피부천자를 피한다.
④ 부모와 환아에게 비출혈을 조절할 수 있는 방법을 교육한다.
⑤ 궤양성 피부는 출혈이 되기 쉬우므로 구강과 직장궤양을 예방한다.
⑥ 아스피린제제는 혈소판 기능을 억제하므로 투여를 피한다.
⑦ 필요시 처방에 따라 혈소판을 투여한다.
E
환아는 더 이상 출혈징후를 보이지 않았다.
문제
간호과정
# 3
영양부족
S
“ 입맛이 없어서 밥을 못 먹겠어요. ”
“ 밥이 목구멍에서 안 넘어가요. 다 안 먹어도 돼죠? ”
O
① 밥을 거의 남궜다.
② 식사를 제대로 못하고 구토를 한다.
③ 체중이 약간 줄었다. ( 42.6 → 41.0로 1.5 kg정도 줄어듦 )
A
화학요법으로 인한 식욕상실과 관련된 영양부족
P/I
GOAL ) 환아는 적절한 영양섭취를 할 것이다.
① 부모에게 화학요법으로 인해 오심, 구토가 와서 식욕 상실이 올 수있음을 설명한다.
② 환아가 먹을수 있으면 무슨 음식이든지 허용하고 음식은 소량씩 자주 제공한다.
③ 스테로이드에 의해 식욕증가가 있을 수 있음을 설명한다.
④ 배고품의 이점을 이용해 소량의 스낵류를 제공한다.
⑤ 영양보충 식품을 강화한다.
⑥ 음식의 준비와 선택에 환아를 직접 참여시켜 식욕을 증진시킨다.
⑦ 음식을 보기 좋게 준비한다.
⑧ 섭취량과 배설량 체크를 정확히 하고 1주에 1번씩 체중을 잰다.
⑨ 비타민, 무기질, 수분 등을 고루 섭취하며 고단백, 고열량음식을 제공한다.
E
환아는 오심과 구토가 조금 줄었다고 얘기했으며 적절한 음식을 적당량 섭취했다. 체중도 본래 수준을 유지했다.
문제
간호과정
# 4
피부통합성 장애
S
“ 피부가 너무 가려워요. ”
O
① 피부표면에 vesicle 이 있다.
② 피부를 자주 긁거나 비빈다.
③ 부모님께 자주 보채는 모습을 보인다.
A
수두증상으로 인한 소양증과 관련된 피부통합성 장애
P/I
GOAL ) 환아는 피부손상이 없다.
① 피부통합성 장애 및 소양증의 정도를 사정한다.
② 긁지 않도록 교육하고 피부를 청결하게 유지하도록 한다.
③ 일정한 습도와 시원한 환경을 제공한다.
④ 피부이 과도한 건조를 예방하고 꼭 필요한 경우에만 약한 비누를 사용한다.
⑤ 옷은 느슨하게 입히도록 하고 손발톱은 짧고 깨끗하게 유지한다.
⑥ TV시청, 컴퓨터, 그림 그리기등 기분전환 요법을 시행한다.
⑦ 필요시 칼라민 로션을 피부에 바르고 효과를 사정한다
E
다른 환자들에게 감염되는 것을 막기 위해 병실을 옮겼고 환아가 피부청결을 유지하도록 도왔고 수두 의심 증상은 조금씩 진정을 보였다.
문제
간호과정
# 5
신체상 장애
S
“ 누나, 내 머리 어때요? 이상하죠? ”
“ 이렇게 해서 학교가면 안되는데....”
O
① 항암 치료로 인해 머리카락이 없다.
② 머리를 자주 만지고 문지르는 모습을 보인다.
③ 병실 밖으로 잘 나오지 않는다.
④ BFM for ALL R-I start 5주 1일차까지 시행받았다.
A
탈모와 관련된 신체상 장애
P/I
GOAL ) 환아와 가족은 긍정적인 대처행동을 보일 것이다.
① 햇빛, 바람, 냉기에 노출될 때 적절한 모자를 씌운다.
② 같은 약으로 2차 치료를 하는 동안에는 탈모가 휠씬 감소한다는 것을 설명한다.
③ 환아에게 맞는 가발사용을 소개한다.
④ 탈모발생 후 3-6개월 이내에 머리카락은 다시 자라기 시작하고 약간 다른 색깔이 될 수 있다고 환아와 가족에게 설명해 새로운 머리카락의 변화에 대해 준비시킨다.
⑤ 좋은 위생상태, 외모가꾸기, 적절한 장신구의 이용을 격려한다.
E
환아와 가족은 탈모에 대한 걱정이 줄었다고 말했고 환아는 야구모자를 쓰고 병실복도에 나와 어울린다.
◎ 주의 : 간, 신장장애, 약물과민증 기왕력자, 고령자.
SD (1:4)
◎ 약효 분류 : 혈액대용제 ( Intravenous & Other Sterile Solutions )
◎ 효능효과 : 탈수증, 수분, 전해질 보급, 수술 전후의 수분 및 전해질 보급.
◎ 용법용량 : 성인 : 1회 300-500 ml/hr 투여.
유아, 소아 : 1회 50-100 ml/hr 투여.
Ara-c
◎ 약효 분류 : 무기질제제 (Vitamin B's/with C)
5. 간호진단
문제
간호과정
# 1
감염 위험성
S
none
O
① WBC (정상치 : 4.0-10.0)
4/29 - 5.66 5/2 - 5.66 5/6 - 4.17 5/9 - 1.90
② BT : 5/8 - 37.6℃ 5/9 - 38.3℃
③ 수두 의심 증상으로 몸 군데군데 vesicle 있음.
A
신체방어 저하와 관련된 감염 위험성
P/I
GOAL ) 환아의 감염위험이 최소화 될 것이다.
① 감염원에의 노출을 최소화 하기 위해 모든 방문객과 의료진에게 손을 씻도록 한다.
② 모든 침습적 절차시에는 완벽한 무균술을 실시한다.
③ 감염유무를 알아보기 위해 체온을 모니터한다. ( 체온 상승시 아이스팩을 대준다. )
④ 환아의 잠재적 감염부위를 사정한다. ( 주사삽입부위, 점막궤양, 찰과상, 치아손상 )
⑤ 신체방어기전을 지지하기위해 연령에 적합한 식이를 제공한다.
⑥ 면역이 감소된 환아에게 생백신제 투여를 피한다.
⑦ 필요시 처방에 따라 항생제를 투여한다.
⑧ 수두를 예방하기 위해 처방에 따라 비활성 바이러스 백신제를 준다.
⑨ 감염에의 노출을 줄이기 위해 개인병실을 사용하게 한다.
E
환아와 접촉시 손씻기를 철저히 지켰고 감염의 유무를 알기위해 체온 을 자주 측정했으며 상승됐던 체온은 정상을 유지했다.
환아는 연령에 맞는 적절한 식이를 섭취했으며 개인병실로 옮겼다.
WBC는 계속 낮은 상태를 유지했고 수두증상은 조금 나아졌다.
좀 더 세밀한 관찰과 간호가 필요할 것 같다.
문제
간호과정
# 2
체액부족
S
“아침에 세수를 하다 코를 건드렸는데 코피가 멈추질 않아요”
O
① 5/9의 Platelet의 수치가 100K정도로 현저히 감소되어 있다.
② 왼쪽 팔 부분에 멍든 부분이 있다.
③ 코피가 쉽게 멈추지 않는다.
A
응고장애와 관련된 체액부족
P/I
GOAL ) 환아는 출혈증상을 보이지 않을 것이다.
① 출혈을 멈추기위해 국소요법을 적용한다. (얼음주머니)
② 손상을 가져올 수 있는 힘든 활동을 제한한다.
③ 출혈을 예방하기위해 피부천자를 피한다.
④ 부모와 환아에게 비출혈을 조절할 수 있는 방법을 교육한다.
⑤ 궤양성 피부는 출혈이 되기 쉬우므로 구강과 직장궤양을 예방한다.
⑥ 아스피린제제는 혈소판 기능을 억제하므로 투여를 피한다.
⑦ 필요시 처방에 따라 혈소판을 투여한다.
E
환아는 더 이상 출혈징후를 보이지 않았다.
문제
간호과정
# 3
영양부족
S
“ 입맛이 없어서 밥을 못 먹겠어요. ”
“ 밥이 목구멍에서 안 넘어가요. 다 안 먹어도 돼죠? ”
O
① 밥을 거의 남궜다.
② 식사를 제대로 못하고 구토를 한다.
③ 체중이 약간 줄었다. ( 42.6 → 41.0로 1.5 kg정도 줄어듦 )
A
화학요법으로 인한 식욕상실과 관련된 영양부족
P/I
GOAL ) 환아는 적절한 영양섭취를 할 것이다.
① 부모에게 화학요법으로 인해 오심, 구토가 와서 식욕 상실이 올 수있음을 설명한다.
② 환아가 먹을수 있으면 무슨 음식이든지 허용하고 음식은 소량씩 자주 제공한다.
③ 스테로이드에 의해 식욕증가가 있을 수 있음을 설명한다.
④ 배고품의 이점을 이용해 소량의 스낵류를 제공한다.
⑤ 영양보충 식품을 강화한다.
⑥ 음식의 준비와 선택에 환아를 직접 참여시켜 식욕을 증진시킨다.
⑦ 음식을 보기 좋게 준비한다.
⑧ 섭취량과 배설량 체크를 정확히 하고 1주에 1번씩 체중을 잰다.
⑨ 비타민, 무기질, 수분 등을 고루 섭취하며 고단백, 고열량음식을 제공한다.
E
환아는 오심과 구토가 조금 줄었다고 얘기했으며 적절한 음식을 적당량 섭취했다. 체중도 본래 수준을 유지했다.
문제
간호과정
# 4
피부통합성 장애
S
“ 피부가 너무 가려워요. ”
O
① 피부표면에 vesicle 이 있다.
② 피부를 자주 긁거나 비빈다.
③ 부모님께 자주 보채는 모습을 보인다.
A
수두증상으로 인한 소양증과 관련된 피부통합성 장애
P/I
GOAL ) 환아는 피부손상이 없다.
① 피부통합성 장애 및 소양증의 정도를 사정한다.
② 긁지 않도록 교육하고 피부를 청결하게 유지하도록 한다.
③ 일정한 습도와 시원한 환경을 제공한다.
④ 피부이 과도한 건조를 예방하고 꼭 필요한 경우에만 약한 비누를 사용한다.
⑤ 옷은 느슨하게 입히도록 하고 손발톱은 짧고 깨끗하게 유지한다.
⑥ TV시청, 컴퓨터, 그림 그리기등 기분전환 요법을 시행한다.
⑦ 필요시 칼라민 로션을 피부에 바르고 효과를 사정한다
E
다른 환자들에게 감염되는 것을 막기 위해 병실을 옮겼고 환아가 피부청결을 유지하도록 도왔고 수두 의심 증상은 조금씩 진정을 보였다.
문제
간호과정
# 5
신체상 장애
S
“ 누나, 내 머리 어때요? 이상하죠? ”
“ 이렇게 해서 학교가면 안되는데....”
O
① 항암 치료로 인해 머리카락이 없다.
② 머리를 자주 만지고 문지르는 모습을 보인다.
③ 병실 밖으로 잘 나오지 않는다.
④ BFM for ALL R-I start 5주 1일차까지 시행받았다.
A
탈모와 관련된 신체상 장애
P/I
GOAL ) 환아와 가족은 긍정적인 대처행동을 보일 것이다.
① 햇빛, 바람, 냉기에 노출될 때 적절한 모자를 씌운다.
② 같은 약으로 2차 치료를 하는 동안에는 탈모가 휠씬 감소한다는 것을 설명한다.
③ 환아에게 맞는 가발사용을 소개한다.
④ 탈모발생 후 3-6개월 이내에 머리카락은 다시 자라기 시작하고 약간 다른 색깔이 될 수 있다고 환아와 가족에게 설명해 새로운 머리카락의 변화에 대해 준비시킨다.
⑤ 좋은 위생상태, 외모가꾸기, 적절한 장신구의 이용을 격려한다.
E
환아와 가족은 탈모에 대한 걱정이 줄었다고 말했고 환아는 야구모자를 쓰고 병실복도에 나와 어울린다.
추천자료
정신 간호 우울증, 알코올 중독 case 간호진단
폐렴 케이스스터디 Pneumonia case study 성인케이스스터디 폐렴간호진단 폐렴간호사례 폐렴...
알츠하이머(Alzheimer`s disease) 환자의 간호과정,간호진단 적용 및 퇴원 시 교육
폐암(lung cancer) case study자료 [ 진단 검사 약물 등 그리고 간호진단 3가지!! ]
뇌졸중 / 뇌경색 컨퍼런스 간호진단과 간호과정 3가지 모음 자료
성인간호학 실습 케이스스터디 CASE STUDY 다발성 골수종(Multiple Myeloma) 간호진단 2개(질...
난소암 케이스, 난소암 간호진단 3개, 난소암 간호과정 스터디
지주막하 출혈 case study/지주막하 출혈 간호과정/지주막하 출혈 간호진단/지주막하 출혈 문...
뇌줄중케이스,중환자실실습,중환자실케이스스터디,간호과정,간호진단
[여성간호] 자궁근무력증(IIOC) 병태생리 및 간호진단
불안장애 (정의 및 수준, 간호사정, 행동 특성 및 관련 질환, 간호진단)
자간전증, preeclampsia, 자간전증간호관리, 자간전증사정, 자간전증간호진단
폐렴 케이스 스터디, 폐렴 간호과정, 폐렴 케이스, 폐렴 간호진단, 폐렴 사례연구, 폐렴 case
난소암 케이스, 난소암케이스, 난소암 CASE, 난소암 간호과정, 난소암 간호진단, 난소암 사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