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주관적 자료
-문헌고찰
-객관적 자료(11/14)
-의미있는 LAP결과
-간호과정(2014/11/14)
-간호진단2.질병과 관련된 통증
-간호진단3.염증반응과 관련된 고체온
-참고문헌
-문헌고찰
-객관적 자료(11/14)
-의미있는 LAP결과
-간호과정(2014/11/14)
-간호진단2.질병과 관련된 통증
-간호진단3.염증반응과 관련된 고체온
-참고문헌
본문내용
Mx(M1b)
간호과정(2014/11/14)
#간호진단1.과다한 객담과 관련된 비효율적 호흡양상
간호사정
객관적
-secretion이 많은데 스스로 효율적으로 뱉어내지 못함
-호흡수가 33회/min이다. -산소포화도가 94%이다.
-구강호흡을 함.
주관적
“숨쉬기가 좀 힘들어요”
간호진단
과다한 객담과 관련된 비효율적 호흡양상
간호목표
호흡수가 12~20회/min으로 측정된다.
산소포화도가 95~100%로 측정된다.
호흡하기 어려움과 관련된 불안을 표현한다.
호흡의 어려움을 예방하거나 호흡을 쉽게 하는 방법을 질문하였을 때, 대상자 스스로 정확한 대답을 할 수 있다.
간호계획
호흡음을 사정한다.
산소포화도를 사정한다.
V/S을 q1hr로 측정한다.
의식수준을 사정한다.
기도흡인을 시행한다.
처방된 산소요법을 시행한다.
대상자에게 두려움을 말로 표현하라고 격려한다.
2시간마다 체위를 변경해주고 흉부를 타진하면서 대상자에게 적절한 목적과 절차를 설명한다.
간호수행
호흡음을 사정하였다.
산소포화도를 사정하였다.
V/S을 q1hr로 측정하였다.
의식수준을 사정하였다.
기도흡인을 시행하였다.
처방된 O₂ 3L/min을 nasal prong으로 투여(by RN)하였다.
처방된 Mucosten을 IV로 bid(by RN),
Atrovent, mucomyst을 nebulizer를 통해 qid로 투여
(by SN)하였다.
대상자에게 두려움을 말로 표현하라고 격려하였다.
2시간마다 체위를 변경해주고 흉부를 타진하면서 대상자에게 적절한 목적과 절차를 설명하였다.
간호평가
6시간 뒤 호흡수가 24회/min으로 측정되었다.
산소포화도가 96%로 측정되었다.
호흡하기 어려움과 관련된 불안을 표현하지 않았다.
호흡의 어려움을 예방하거나 호흡을 쉽게 하는 방법을 질문 하였을 때, 대상자가 체위변경과 흉부타진요법의 방법에 대 해 설명하였다.
#간호진단2.질병과 관련된 통증
간호사정
객관적
-NRS강도(6)위치(전신)양상(쑤시는통증)을 호소한다.
-통증 때문에 괴로워하는 모습이 관찰됨
주관적
“전신이 다 아파요”
간호진단
질병과 관련된 통증
간호목표
통증사정결과 NRS강도(2) 이하로 감소한다.
통증이 경감되었다고 대상자 스스로 표현한다.
간호계획
통증의 위치, 기간, 강도, 특성 및 통증 경감요인, 악화요인을 사정한다.
V/S을 q1hr로 측정한다.
대상자를 격려하고 지지적인 의사소통을 한다.
처방된 약물을 투여하고 그 효과와 부작용을 모니터한다.
통증에 대한 느낌을 대상자 스스로 말로 표현하게 한다.
간호수행
통증의 위치, 기간, 강도, 특성 및 통증 경감요인, 악화요인을 사정하였다.
V/S을 q1hr로 측정하였다.
대상자를 격려하고 지지적인 의사소통을 하였다.
처방된 Morphine을 IV로 qd 투여하고 그 효과와 부작용을 모니터하였다.(by RN, SN)
통증에 대한 느낌을 대상자 스스로 말로 표현하게 하였다.
간호평가
8시간 뒤 통증사정결과 NRS(1)위치(전신)양상(쑤시는통증)으로 측정되 었다.
대상자 스스로 통증이 많이 줄었다고 표현하였다.
#간호진단3.염증반응과 관련된 고체온
간호사정
객관적
-BT가 38℃로 측정됨.
-검사결과:Neutrophil:88%, Platelet:75X10³/㎕로 측정됨.
-대상자에게서 열감이 느껴지고, 볼 주위에 홍조를 띰.
주관적
없음
간호진단
염증반응과 관련된 고체온
간호목표
대상자는 24시간 내로 BT가 정상범위내로 측정된다.
대상자에게서 고체온의 징후가 나타나지 않는다.
간호계획
V/S을 q 1hr로 측정한다.
피부색, 온도, 피부탄력성을 모니터하고 손톱색, 심박동수와 리듬 글고 호흡수와 리듬을 모니터한다.
대상자에게 고체온의 징후(몸이 떨리고, 한기가 들고, 벌벌 떨음;몸이 뜨겁고 갈증이 있고 열이 있으며 고혈압이 나타남)가 나타나는지 관찰한다.
대상자에게 ice pack을 적용한다.
처방된 약물을 투여한다.
간호수행
V/S을 q 1hr로 측정하였다.
피부색, 온도, 피부탄력성을 모니터하고 손톱색, 심박동수와 리듬 글고 호흡수와 리듬을 모니터하였다.
대상자에게 고체온의 징후(몸이 떨리고, 한기가 들고, 벌벌 떨음;몸이 뜨겁고 갈증이 있고 열이 있으며 고혈압이 나타남)가 나타나는지 관찰하였다.
대상자에게 ice pack을 적용하였다.
처방된 Denogan, Teiconin를 IV로 qd, Meropen을 IV로 bid 투여했다.(by RN)
간호평가
8시간 뒤 BT가 36.7℃로 측정되었다.
대상자에게서 고체온의 징후가 관찰되지 않았다.
간호과정(2014/11/14)
#간호진단1.과다한 객담과 관련된 비효율적 호흡양상
간호사정
객관적
-secretion이 많은데 스스로 효율적으로 뱉어내지 못함
-호흡수가 33회/min이다. -산소포화도가 94%이다.
-구강호흡을 함.
주관적
“숨쉬기가 좀 힘들어요”
간호진단
과다한 객담과 관련된 비효율적 호흡양상
간호목표
호흡수가 12~20회/min으로 측정된다.
산소포화도가 95~100%로 측정된다.
호흡하기 어려움과 관련된 불안을 표현한다.
호흡의 어려움을 예방하거나 호흡을 쉽게 하는 방법을 질문하였을 때, 대상자 스스로 정확한 대답을 할 수 있다.
간호계획
호흡음을 사정한다.
산소포화도를 사정한다.
V/S을 q1hr로 측정한다.
의식수준을 사정한다.
기도흡인을 시행한다.
처방된 산소요법을 시행한다.
대상자에게 두려움을 말로 표현하라고 격려한다.
2시간마다 체위를 변경해주고 흉부를 타진하면서 대상자에게 적절한 목적과 절차를 설명한다.
간호수행
호흡음을 사정하였다.
산소포화도를 사정하였다.
V/S을 q1hr로 측정하였다.
의식수준을 사정하였다.
기도흡인을 시행하였다.
처방된 O₂ 3L/min을 nasal prong으로 투여(by RN)하였다.
처방된 Mucosten을 IV로 bid(by RN),
Atrovent, mucomyst을 nebulizer를 통해 qid로 투여
(by SN)하였다.
대상자에게 두려움을 말로 표현하라고 격려하였다.
2시간마다 체위를 변경해주고 흉부를 타진하면서 대상자에게 적절한 목적과 절차를 설명하였다.
간호평가
6시간 뒤 호흡수가 24회/min으로 측정되었다.
산소포화도가 96%로 측정되었다.
호흡하기 어려움과 관련된 불안을 표현하지 않았다.
호흡의 어려움을 예방하거나 호흡을 쉽게 하는 방법을 질문 하였을 때, 대상자가 체위변경과 흉부타진요법의 방법에 대 해 설명하였다.
#간호진단2.질병과 관련된 통증
간호사정
객관적
-NRS강도(6)위치(전신)양상(쑤시는통증)을 호소한다.
-통증 때문에 괴로워하는 모습이 관찰됨
주관적
“전신이 다 아파요”
간호진단
질병과 관련된 통증
간호목표
통증사정결과 NRS강도(2) 이하로 감소한다.
통증이 경감되었다고 대상자 스스로 표현한다.
간호계획
통증의 위치, 기간, 강도, 특성 및 통증 경감요인, 악화요인을 사정한다.
V/S을 q1hr로 측정한다.
대상자를 격려하고 지지적인 의사소통을 한다.
처방된 약물을 투여하고 그 효과와 부작용을 모니터한다.
통증에 대한 느낌을 대상자 스스로 말로 표현하게 한다.
간호수행
통증의 위치, 기간, 강도, 특성 및 통증 경감요인, 악화요인을 사정하였다.
V/S을 q1hr로 측정하였다.
대상자를 격려하고 지지적인 의사소통을 하였다.
처방된 Morphine을 IV로 qd 투여하고 그 효과와 부작용을 모니터하였다.(by RN, SN)
통증에 대한 느낌을 대상자 스스로 말로 표현하게 하였다.
간호평가
8시간 뒤 통증사정결과 NRS(1)위치(전신)양상(쑤시는통증)으로 측정되 었다.
대상자 스스로 통증이 많이 줄었다고 표현하였다.
#간호진단3.염증반응과 관련된 고체온
간호사정
객관적
-BT가 38℃로 측정됨.
-검사결과:Neutrophil:88%, Platelet:75X10³/㎕로 측정됨.
-대상자에게서 열감이 느껴지고, 볼 주위에 홍조를 띰.
주관적
없음
간호진단
염증반응과 관련된 고체온
간호목표
대상자는 24시간 내로 BT가 정상범위내로 측정된다.
대상자에게서 고체온의 징후가 나타나지 않는다.
간호계획
V/S을 q 1hr로 측정한다.
피부색, 온도, 피부탄력성을 모니터하고 손톱색, 심박동수와 리듬 글고 호흡수와 리듬을 모니터한다.
대상자에게 고체온의 징후(몸이 떨리고, 한기가 들고, 벌벌 떨음;몸이 뜨겁고 갈증이 있고 열이 있으며 고혈압이 나타남)가 나타나는지 관찰한다.
대상자에게 ice pack을 적용한다.
처방된 약물을 투여한다.
간호수행
V/S을 q 1hr로 측정하였다.
피부색, 온도, 피부탄력성을 모니터하고 손톱색, 심박동수와 리듬 글고 호흡수와 리듬을 모니터하였다.
대상자에게 고체온의 징후(몸이 떨리고, 한기가 들고, 벌벌 떨음;몸이 뜨겁고 갈증이 있고 열이 있으며 고혈압이 나타남)가 나타나는지 관찰하였다.
대상자에게 ice pack을 적용하였다.
처방된 Denogan, Teiconin를 IV로 qd, Meropen을 IV로 bid 투여했다.(by RN)
간호평가
8시간 뒤 BT가 36.7℃로 측정되었다.
대상자에게서 고체온의 징후가 관찰되지 않았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