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고 의식적인 행동
강박행동은 강박관념에 대한 직접적인 반응으로 수행될 수 있음
강박행위에 의하여 긴장과 불안이 완화되므로 중지시키면 불안이 증가함
가장 흔한 강박행동은 손씻기, 수를 세기(counting), 점검하기 등
⑦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 공포, 두려움, 무력감으로 경험되는 매우 고통스런 생활사건이나 외상사건 후에 불안증상이 생기는 것
- 살해된 아동을 보는 것, 대지진, 화재, 비행기 추락, 전쟁, 강간 학대 등이 유발사건이 됨
외상을 주는 사건을 재경험
(되풀이되는 회상, 플래시백, 사건에 대한 꿈, 그사건과 유사한 사건에 대한 강한 고통)
외상과 관련된 자극, 생각, 또는 느낌에 대한 회피
(사건의 양상을 회상할 수 없음, 그 사건을 상기시키는 장소에 가기를 거부)
제한된 반응성
(전반적인 무감각, 감소된 정서, 감소된 흥미, 타인으로부터의 위축)
행동특성
- 사건 후에 바로 일어날 수도 있고 혹은 몇 달이나 몇 년 후에 가서야 진단될 수 도 있음
⑧ 급성스트레스장애
- 정서적 분리, 멍한 모습, 이인증, 환경에 대한 인식감소, 비현실감 또는 외상적 사건의 부분을 회상할 수 없는 기억상실의 형태로 해리증상이 나타남
- 증상은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와 유사하지만, 급성스트레스장애에서는 개인이 매우 위협적인 사건이나 상황을 경험한 수 처음 한 달 이내에 발생하는 경우를 말함
- 만일 증상이 한 달을 넘어서 연장되면,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로 진단됨
2. 간호진단
1) 간호진단
- 적절하게 환자를 사정하고 Stuart의 스트레스 적응 정신간호모형을 사용하는 간호사는 불안반응의 연속성 위에서 환자의 위치에 기초하여 간호진단을 내릴 수 있음
불안반응과 관련하여 일차적인 NANDA 간호진단
- 불안
- 비효과적인 대응
- 개인대처증진
- 공포
(1) 처음에 간호사는 환자가 경험한 불안의 질과 양을 결정해야 함
불안의 질을 고려할 때에 간호사는 지각된 위협에 대한 환자의 반응이 적절한지 살펴봄
만일 반응이 위협에 대해 균형이 맞지 않다면(지나치다면) 문제가 있을 수 있음
이런 조화되지 않는 반응은 위협에 대한 환자의 인지적 평가가 비실제적임을 나타냄
반응의 양적인 면은 그 다음 고려할 점임
불안이 심하고 공황수준에 도달할 때에 이것은 갈등이 점점 더 환자에게 문제가 된다는 것을 나타냄
(2) 간호사는 환자가 불안에 어떻게 대응하는지 탐색할 필요가 있음
건설적인 대응기전은 의식적으로 위협에 직면하는 보호적인 반응임
파괴적인 대응기전은 무의식으로의 억압을 포함함
이것은 비효과적이고 부적합하고 비조직적이고 부적절하고 과장되는 경향이 있으며, 이상한 행동이나 증상형성에서 분명히 볼 수 있음
(3) 간호사는 불안의 전반적인 영향을 결정할 필요가 있음
이것이 성장을 자극하는가?
효과적인 생활과 생활만족을 방해하는가?
인간의 자아에 대한 감각을 향상시키는가?
이인화 시키는가?
참고문헌
도복늠 외(2012) 최신정신건강간호학 각론 정담미디어 pp.62~71
강박행동은 강박관념에 대한 직접적인 반응으로 수행될 수 있음
강박행위에 의하여 긴장과 불안이 완화되므로 중지시키면 불안이 증가함
가장 흔한 강박행동은 손씻기, 수를 세기(counting), 점검하기 등
⑦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 공포, 두려움, 무력감으로 경험되는 매우 고통스런 생활사건이나 외상사건 후에 불안증상이 생기는 것
- 살해된 아동을 보는 것, 대지진, 화재, 비행기 추락, 전쟁, 강간 학대 등이 유발사건이 됨
외상을 주는 사건을 재경험
(되풀이되는 회상, 플래시백, 사건에 대한 꿈, 그사건과 유사한 사건에 대한 강한 고통)
외상과 관련된 자극, 생각, 또는 느낌에 대한 회피
(사건의 양상을 회상할 수 없음, 그 사건을 상기시키는 장소에 가기를 거부)
제한된 반응성
(전반적인 무감각, 감소된 정서, 감소된 흥미, 타인으로부터의 위축)
행동특성
- 사건 후에 바로 일어날 수도 있고 혹은 몇 달이나 몇 년 후에 가서야 진단될 수 도 있음
⑧ 급성스트레스장애
- 정서적 분리, 멍한 모습, 이인증, 환경에 대한 인식감소, 비현실감 또는 외상적 사건의 부분을 회상할 수 없는 기억상실의 형태로 해리증상이 나타남
- 증상은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와 유사하지만, 급성스트레스장애에서는 개인이 매우 위협적인 사건이나 상황을 경험한 수 처음 한 달 이내에 발생하는 경우를 말함
- 만일 증상이 한 달을 넘어서 연장되면,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로 진단됨
2. 간호진단
1) 간호진단
- 적절하게 환자를 사정하고 Stuart의 스트레스 적응 정신간호모형을 사용하는 간호사는 불안반응의 연속성 위에서 환자의 위치에 기초하여 간호진단을 내릴 수 있음
불안반응과 관련하여 일차적인 NANDA 간호진단
- 불안
- 비효과적인 대응
- 개인대처증진
- 공포
(1) 처음에 간호사는 환자가 경험한 불안의 질과 양을 결정해야 함
불안의 질을 고려할 때에 간호사는 지각된 위협에 대한 환자의 반응이 적절한지 살펴봄
만일 반응이 위협에 대해 균형이 맞지 않다면(지나치다면) 문제가 있을 수 있음
이런 조화되지 않는 반응은 위협에 대한 환자의 인지적 평가가 비실제적임을 나타냄
반응의 양적인 면은 그 다음 고려할 점임
불안이 심하고 공황수준에 도달할 때에 이것은 갈등이 점점 더 환자에게 문제가 된다는 것을 나타냄
(2) 간호사는 환자가 불안에 어떻게 대응하는지 탐색할 필요가 있음
건설적인 대응기전은 의식적으로 위협에 직면하는 보호적인 반응임
파괴적인 대응기전은 무의식으로의 억압을 포함함
이것은 비효과적이고 부적합하고 비조직적이고 부적절하고 과장되는 경향이 있으며, 이상한 행동이나 증상형성에서 분명히 볼 수 있음
(3) 간호사는 불안의 전반적인 영향을 결정할 필요가 있음
이것이 성장을 자극하는가?
효과적인 생활과 생활만족을 방해하는가?
인간의 자아에 대한 감각을 향상시키는가?
이인화 시키는가?
참고문헌
도복늠 외(2012) 최신정신건강간호학 각론 정담미디어 pp.62~71
추천자료
불안장애(Anxiety Disorders)
불안장애의 유형
불안장애 증후군 이론과 치료
분리불안장애의 유형, 분류, 원인,특성, 문제점, 치료방안 레포트 (2007년 ★★★★★ 추천 우수 ...
강박장애(불안장애 중,-정신간호학 문헌고찰)
[간호][환자간호]안수술과 백내장수술환자의 간호, 제왕절개수술환자의 간호, 기분장애환자의...
불안장애에 대한 모든것 정신병리나 외상후스트레스 등
불안장애에 대하여
정신장애의 유형 [불안장애]
공황장애와 범불안장애(ppt)
범불안장애(Generalized Anxiety Disorder)
[ICD-10, 국제질병분류표]ICD-10(국제질병분류표)의 구성, 분류기준, ICD-10(국제질병분류표)...
불안장애를 보인 사례를 TV 드라마나 영화속 인물 중에서 찾아내고 왜 그렇게 판단했는지 2사...
[아동정신건강론 兒童精神健康論] 분리불안장애(分離不安障碍)의 특징과 원인 및 치료방법,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