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문헌고찰
병태생리
환아상태
환아건강사정
진단검사 결과
약품
간호과정
1 면역력 저하와 관련된 감염의 위험성
*감염예방법 교육*
2 혈소판 감소와 관련된 출혈의 위험성
3 불확실한 진단과 관련된 보호자의 불안
문헌고찰
병태생리
환아상태
환아건강사정
진단검사 결과
약품
간호과정
1 면역력 저하와 관련된 감염의 위험성
*감염예방법 교육*
2 혈소판 감소와 관련된 출혈의 위험성
3 불확실한 진단과 관련된 보호자의 불안
본문내용
감한 숙주의 호흡기를 유입구로 하여 전파되는 경우를 들 수 있다.
#2혈소판 감소와 관련된 출혈의 위험성
간호사정
간호 계획
간호 수행
간호 평가
목표
계획
이론적 근거
<객관적자료>
1. 임상검사 결과 상 혈소판 수치가 정상범위(140~440X10^9/L)보다 낮음.
5/25
6/26
PLT
26
35
2. 칫솔질을 할 때 잇몸에서 피가 자주 남.
3. IV route를 빼거나 change할 때 출혈이 다른 환자에 비해 많음.
<장기 목표>
출혈이 없다.
<단기 목표>
1. 출혈의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다.
2. 혈소판 수치가 정상범위 이내이다.
3. 대상 환아와 보호자는 출혈의 위험성에 대해 안다.
1.매일 8시간 간격으로 일정한 시간에 활력징후를 측정한다.
2. 임상검사 결과를 확인한다.
3. 출혈증상을 관찰한다.
4. 구강점막을 자주 관찰한다.
5. 주사 시, 가는 바늘을 사용한다. 6. 주사 후에는 15분 이상 누른다.
7 .뾰족한 물건 등을 제거한다.
8.거친 음식은 먹지 않는다.
9. 칫솔 모는 부드러운 것으로 사용한다
10. 코를 세게 풀지 않는다.
11.안정한 환경을 유지하도록 교육한다.
1.출혈이 있으면 순환혈액량 감소로 혈압이 하강하고 맥박이 증가한다.
2.혈소판 50000/mm이하로 떨어지게 되면 출혈, 멍, 자반이 생길 수 있다.
3.대상자의 혈액응고 상태를 알 수 있고, 부족하면 교정해 줄 수 있다.
4. 혈소판 감소로
인해 구강점막에서도 출혈이 발생할 수 있다.
5,6. 주사부위를 눌러 줌으로써 응고형성을 빨리 할 수 있다.
6. 출혈을 예방한다.
7,8,9,10,11. 활동 시 신체손상을 최소화 할 수 있다.
1. 5/26~28까지 매일 duty마다 활력징후를 측정하였다.
5/26
6a.m
2p.m
8p.m
B.P
90/50
90/60
90/50
T
37
36.6
36.7
P
126
132
122
R
37
36
33
5/27
6a.m
2p.m
8p.m
B.P
90/40
90/60
90/50
T
37.1
37.3
36.8
P
120
126
130
R
34
33
30
5/28
6a.m
2p.m
8p.m
B.P
90/60
80/40
90/60
T
36.9
37.1
36.7
P
108
124
132
R
24
28
27
->
5/26
6a.m
2p.m
8p.m
B.P
90/50
90/60
90/50
T
37
36.6
36.7
P
126
132
122
R
37
36
33
5/27
6a.m
2p.m
8p.m
B.P
90/40
90/60
90/50
T
37.1
37.3
36.8
P
120
126
130
R
34
33
30
5/28
6a.m
2p.m
8p.m
B.P
90/60
80/40
90/60
T
36.9
37.1
36.7
P
108
124
132
R
24
28
27
5/26
6a.m
2p.m
8p.m
B.P
90/50
90/60
90/50
T
37
36.6
36.7
P
126
132
122
R
37
36
33
5/27
6a.m
2p.m
8p.m
B.P
90/40
90/60
90/50
T
37.1
37.3
36.8
P
120
126
130
R
34
33
30
5/28
6a.m
2p.m
8p.m
B.P
90/60
80/40
90/60
T
36.9
37.1
36.7
P
108
124
132
R
24
28
27
2.매일 출혈증상을 관찰하고 점상출혈, 멍, 자반이 생기는 지 잘 관찰하였다 -> 점상출혈이나 자반은 없었으나 채혈부위에 멍이 생김
3. 혈소판 감소로 인해 구강점막에서도 출혈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구강점막을 자주 관찰하였다. -> 구강 내 국소 부위에 궤양 있었다.
4. 주사 후 혈관을 15분 이상 누르고 있었다.
5. 혈소판수치를 확인하여 환자의 상태를 파악하였다.
-> 결과는 정상범위보다 낮았다.
5/26
5/27
5/28
PLT
48
32
26
6,7. 병실의 주위 환경을 정리하고 가위나 칼 등 뾰족한 물건이나 뽀죡한 곳에 긁히거나 다치지 않게 교육하며 side rail을 항상 올리고 활동 시 주의하라고 교육했다.
-> 부드러운 칫솔모를 사용하거나 가글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코를 세게 풀지 않는다.
배변 시 힘을 너무 세게 주지 않는다.
병실에서 뛰지 않는다.
1. 대상자는 혈액질환 환자로 혈소판 수치가 계속 낮게 유지되었다.
2. 대상자는 출혈증상을 보이지 않았다.
3. 활력징후가 정상범위를 유지하였다.
#3 불확실한 진단과 관련된 보호자의 불안
간호 사정
간호 계획
간호 수행
간호 평가
목표
계획
이론적 근거
<주관적 자료>
“우리 애 뭐 심한 거예요?”
“선생님, AML이 뭔데요.?”
<객관적 자료>
병실의 다른 백혈병 환자를 보면서 불안해 하심.
불안을 점수로 사정
0점 :전혀 불안하지 않음
10점 : 아주 불안함
대상 환아의 보호자는 7점을 선택하였다.
<장기 목표>
대상 환아 보호자의불안을 감소시킨다.
<단기 목표>
1. 보호자에게 질병에 대해 이해 시킨다.
2.정서적으로 지지를 해준다.
3.불안의 점수는 4점으로 감소한다.
1. 대상 환아의 예
상되는 질병에 대해 상세히 알 수 있는 인터넷 사이트를 소개 한다.
2. 대상 환아의 예상되는 질병에 대한 환우회를 소개 한다.
1. 질병에 대한 정
보를 알면 불안은 감소한다.
2. 같은 상황에 처한 사람들의 모임을 통해서 정서적 지지를 얻으면서 불안을
감소 시킬 수 있다.
1.http://www.soaam.or.kr
한국 백혈병 소아암 협회를 소개 해주었다.
2.http://www.hamggae.net/
한국 백혈병 환우회를 소개 해 주었다.
1. 보호자께서 환아의 예상 질병에 대해 이해하였음
2. 예상 질병에 대해 이해 하심.
3. 불안 사정 시 4점 으로 감소
<참고 문헌>
오진아 (2008) 아동간호학 임상실습 지침서
오진아 외 (2007), 아동간호학 Ⅰ,Ⅱ권. 신광출판사.
홍창의 (2001), 소아과학. 대한교과서주식회사.
조결자 외 (2000), 아동간호학 Ⅰ,Ⅱ권. 현문사
유해영 (2004), 최신 임상간호매뉴얼 Ⅰ, 현문사.
김명자 외 (2005), 최신기본간호학, 현문사.
한국 백혈병 소아암 협회 http://www.soaam.or.kr
#2혈소판 감소와 관련된 출혈의 위험성
간호사정
간호 계획
간호 수행
간호 평가
목표
계획
이론적 근거
<객관적자료>
1. 임상검사 결과 상 혈소판 수치가 정상범위(140~440X10^9/L)보다 낮음.
5/25
6/26
PLT
26
35
2. 칫솔질을 할 때 잇몸에서 피가 자주 남.
3. IV route를 빼거나 change할 때 출혈이 다른 환자에 비해 많음.
<장기 목표>
출혈이 없다.
<단기 목표>
1. 출혈의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다.
2. 혈소판 수치가 정상범위 이내이다.
3. 대상 환아와 보호자는 출혈의 위험성에 대해 안다.
1.매일 8시간 간격으로 일정한 시간에 활력징후를 측정한다.
2. 임상검사 결과를 확인한다.
3. 출혈증상을 관찰한다.
4. 구강점막을 자주 관찰한다.
5. 주사 시, 가는 바늘을 사용한다. 6. 주사 후에는 15분 이상 누른다.
7 .뾰족한 물건 등을 제거한다.
8.거친 음식은 먹지 않는다.
9. 칫솔 모는 부드러운 것으로 사용한다
10. 코를 세게 풀지 않는다.
11.안정한 환경을 유지하도록 교육한다.
1.출혈이 있으면 순환혈액량 감소로 혈압이 하강하고 맥박이 증가한다.
2.혈소판 50000/mm이하로 떨어지게 되면 출혈, 멍, 자반이 생길 수 있다.
3.대상자의 혈액응고 상태를 알 수 있고, 부족하면 교정해 줄 수 있다.
4. 혈소판 감소로
인해 구강점막에서도 출혈이 발생할 수 있다.
5,6. 주사부위를 눌러 줌으로써 응고형성을 빨리 할 수 있다.
6. 출혈을 예방한다.
7,8,9,10,11. 활동 시 신체손상을 최소화 할 수 있다.
1. 5/26~28까지 매일 duty마다 활력징후를 측정하였다.
5/26
6a.m
2p.m
8p.m
B.P
90/50
90/60
90/50
T
37
36.6
36.7
P
126
132
122
R
37
36
33
5/27
6a.m
2p.m
8p.m
B.P
90/40
90/60
90/50
T
37.1
37.3
36.8
P
120
126
130
R
34
33
30
5/28
6a.m
2p.m
8p.m
B.P
90/60
80/40
90/60
T
36.9
37.1
36.7
P
108
124
132
R
24
28
27
->
5/26
6a.m
2p.m
8p.m
B.P
90/50
90/60
90/50
T
37
36.6
36.7
P
126
132
122
R
37
36
33
5/27
6a.m
2p.m
8p.m
B.P
90/40
90/60
90/50
T
37.1
37.3
36.8
P
120
126
130
R
34
33
30
5/28
6a.m
2p.m
8p.m
B.P
90/60
80/40
90/60
T
36.9
37.1
36.7
P
108
124
132
R
24
28
27
5/26
6a.m
2p.m
8p.m
B.P
90/50
90/60
90/50
T
37
36.6
36.7
P
126
132
122
R
37
36
33
5/27
6a.m
2p.m
8p.m
B.P
90/40
90/60
90/50
T
37.1
37.3
36.8
P
120
126
130
R
34
33
30
5/28
6a.m
2p.m
8p.m
B.P
90/60
80/40
90/60
T
36.9
37.1
36.7
P
108
124
132
R
24
28
27
2.매일 출혈증상을 관찰하고 점상출혈, 멍, 자반이 생기는 지 잘 관찰하였다 -> 점상출혈이나 자반은 없었으나 채혈부위에 멍이 생김
3. 혈소판 감소로 인해 구강점막에서도 출혈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구강점막을 자주 관찰하였다. -> 구강 내 국소 부위에 궤양 있었다.
4. 주사 후 혈관을 15분 이상 누르고 있었다.
5. 혈소판수치를 확인하여 환자의 상태를 파악하였다.
-> 결과는 정상범위보다 낮았다.
5/26
5/27
5/28
PLT
48
32
26
6,7. 병실의 주위 환경을 정리하고 가위나 칼 등 뾰족한 물건이나 뽀죡한 곳에 긁히거나 다치지 않게 교육하며 side rail을 항상 올리고 활동 시 주의하라고 교육했다.
-> 부드러운 칫솔모를 사용하거나 가글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코를 세게 풀지 않는다.
배변 시 힘을 너무 세게 주지 않는다.
병실에서 뛰지 않는다.
1. 대상자는 혈액질환 환자로 혈소판 수치가 계속 낮게 유지되었다.
2. 대상자는 출혈증상을 보이지 않았다.
3. 활력징후가 정상범위를 유지하였다.
#3 불확실한 진단과 관련된 보호자의 불안
간호 사정
간호 계획
간호 수행
간호 평가
목표
계획
이론적 근거
<주관적 자료>
“우리 애 뭐 심한 거예요?”
“선생님, AML이 뭔데요.?”
<객관적 자료>
병실의 다른 백혈병 환자를 보면서 불안해 하심.
불안을 점수로 사정
0점 :전혀 불안하지 않음
10점 : 아주 불안함
대상 환아의 보호자는 7점을 선택하였다.
<장기 목표>
대상 환아 보호자의불안을 감소시킨다.
<단기 목표>
1. 보호자에게 질병에 대해 이해 시킨다.
2.정서적으로 지지를 해준다.
3.불안의 점수는 4점으로 감소한다.
1. 대상 환아의 예
상되는 질병에 대해 상세히 알 수 있는 인터넷 사이트를 소개 한다.
2. 대상 환아의 예상되는 질병에 대한 환우회를 소개 한다.
1. 질병에 대한 정
보를 알면 불안은 감소한다.
2. 같은 상황에 처한 사람들의 모임을 통해서 정서적 지지를 얻으면서 불안을
감소 시킬 수 있다.
1.http://www.soaam.or.kr
한국 백혈병 소아암 협회를 소개 해주었다.
2.http://www.hamggae.net/
한국 백혈병 환우회를 소개 해 주었다.
1. 보호자께서 환아의 예상 질병에 대해 이해하였음
2. 예상 질병에 대해 이해 하심.
3. 불안 사정 시 4점 으로 감소
<참고 문헌>
오진아 (2008) 아동간호학 임상실습 지침서
오진아 외 (2007), 아동간호학 Ⅰ,Ⅱ권. 신광출판사.
홍창의 (2001), 소아과학. 대한교과서주식회사.
조결자 외 (2000), 아동간호학 Ⅰ,Ⅱ권. 현문사
유해영 (2004), 최신 임상간호매뉴얼 Ⅰ, 현문사.
김명자 외 (2005), 최신기본간호학, 현문사.
한국 백혈병 소아암 협회 http://www.soaam.or.kr
키워드
추천자료
세기관지염 broncholitis 케이스(아동간호학)
기관지염 열성경련 아동간호학 케이스 스터디
영아의 건강문제 (아동간호학)
[아동간호학] 폐렴case study
[아동간호학]케이스 스터디 -패혈증(sepsis)에 대하여
[09-1_정규]_아동간호학_기말고사_예상문제
[아동간호학] 뇌수막염 (Meningitis)
[아동간호학] 폐렴 간호과정 (Pneumonia case study)
[아동간호학]여드름
[아동간호학][Febrile seizures][열성경련]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아동간호학] 미숙아 케이스
[아동간호학] 신생아 신체사정
[아동간호학] 가사, 중이염 Asphyxia 문헌고찰
아동간호학 실습 과제 02 (신생아·아동의 심폐소생술, 아동의 활력징후 측정, 아동의 경구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