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기업소개 & 제품소개
1. 기업소개
2. 제품소개
Ⅱ. 마케팅적 측면 분석 평가
1. 상황분석
1) 시장매력도 평가
2) 경쟁우위 평가
3) 시쟁 세분화
4) 향후 시장전망
2. 4P 분석
3. 고객관리
Ⅲ. 개선방안
1. 익수제약 기업 자체의 인지도 향상을 통한 익수 공진단 인지도 향상 추구
2. 제품의 형태 개선
1. 기업소개
2. 제품소개
Ⅱ. 마케팅적 측면 분석 평가
1. 상황분석
1) 시장매력도 평가
2) 경쟁우위 평가
3) 시쟁 세분화
4) 향후 시장전망
2. 4P 분석
3. 고객관리
Ⅲ. 개선방안
1. 익수제약 기업 자체의 인지도 향상을 통한 익수 공진단 인지도 향상 추구
2. 제품의 형태 개선
본문내용
오직 약국을 통해서만 유통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드문 케이스로 한방병원과 한의원에 납품하기도 한다.
3. 고객관리
1) C.S. 도입
C.S.(Costomer Satisfaction)를 약국업체 최초로 시행하였다. C.S.도입은 국내에서 현재 서비스 문화를 선도하는 대기업 중심에서 활용되어지고 있는 상황이지만 제약업계 중 개국 약국을 대상으로 본격적으로 시행하는 것은 익수제약이 처음이다.
고객들의 불만과 요구를 미리 파악해서 선제 행동으로 옮겨 고객 만족을 실현함으로써 고 객에게 한 발 더 다가서서 기업 경쟁력을 강화한다.
구체적 실행 방안으로는
① 고객 고객처들의 CRM을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한다.
② 고객들의 기념일에 HAPPY CALL을 한다.
③ 신정보를 전달하고 고객들의 클레임을 신속하게 해결한다.
2) Q&A 게시판
게시판에 올라가는 질문들을 다 기록해서 보고를 하고, 고객의 요구가 타당한 것이면 직접 방문조사를 하거나 전화로 사례를 수집해 고객의 요구에 신속하게 대응한다.
Ⅲ. 개선방안
1. 익수제약 기업 자체의 인지도 향상을 통한 익수 공진단 인지도 향상 추구
1) 대중성있는 제품 개발
익수제약의 문제점 중 하나는 광동제약에 비해 인지도가 현저히 낮다는 점이다.
익수제약은 공진단을 전략적으로 몇 개의 특정 지역과 특정 약국에서만 유통을 한다.
여러 곳에 공진단을 납품하여 가격편차를 만드는 것보다 고가로 잘 팔리는 몇 곳에서만 팔아 희소성을 높이고 고가를 유지하는 것이 그들의 마케팅 전략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러한 마케팅 전략은 익수 제약의 인지도에는 치명적이다. 따라서 익수 공진단의 판매량 도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더군다나, 익수제약은 제품의 인지도보다는 효능에 맞춰 광 고를 하기 때문에 제품의 인지도가 낮을 수밖에 없다.
광동제약의 경우에는 생활의 여러 부분에서 광동제약의 제품을 흔히 만나 볼 수 있도록 했기 때문에 높은 인지도를 쌓을 수 있었다. 비타 500, 옥수수 수염차가 그 예이다. 이 제품들은 유통되는 장소가 제한적이지 않기 때문에(슈퍼나 편의점 등에서 쉽게 구매할 수 있다.) 접근성이 훨씬 용이하고 소비자에게 친근한 이미지를 형성할 수 있었다.
우리도 소비자의 입장에서 광동제약과 익수제약의 공진단이 있다면, 광동제약의 공진단 을 선택 할 것이라는 결론이 나왔다. 그 이유는 광동제약이라는 기업이 더 친근하고 주위 에서 흔히 볼 수 있기 때문에 신뢰가 가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익수제약은 그들의 브랜드 이미지를 높이기 위해, 공진단의 고품질의 이 미지는 유지하면서 광동제약의 비타500과 옥수수 수염차와 같은 대중화 시킬 수 있는 제품을 만들어야 한다.
예를 들면, 익수제약이 고수하고 있는 한방이미지를 이용한 한방입욕제나, 한방음료 등 을 출시하는 것이다. 보통 소비자들은 '한방'이라고 하면 몸에 좋은 것을 알지만 그것의 향에 대한 거부감도 함께 갖게 된다. 그러한 인식을 이용한 것이 한방 입욕제이다. 여성 들은 보통 한방 관련 제품을 선호하지만 그것의 향에 대해서는 민감하다. 하지만 그 향이 오히려 도움이 될 때가 있는데 피부와 같은 신체와 관련된 경우이다. 이런 경우 한방의 향은 오히려 그 효과에 대해 신뢰감을 갖게 하고 긍정적인 반응을 불러일으킨다. 또한 한 방음료의 경우, "잠들기 전 몸의 독소를 빼주는 음료 "라는 컨셉을 내세워서 한방의 건강 한 이미지를 강조하고, 한방음료에 향이 있어도 자기 전이기 때문에 부담이 없다는 점을 강조한다.
이러한 마케팅을 통해 익수 제약 자체의 인지도를 상승시키면 익수 공진단의 인지도도 자연스럽게 상승할 것이다.
2) 온라인 마케팅을 적극 활용한다.
- 인터넷에 홍보글이나 배너노출을 해서 고객들의 인지도를 높인다.
- 블로그의 영향력이 커진 현재 익수제약의 자체 블로그를 운영해서 익수 공진단의 홍보뿐 아니라 익수제약과 당회사 제품들을 같이 홍보한다. 더불어 건강 상식이나 건강에 관련된 내용들도 같이 게재해 고객이 부담 없이 블로그를 방문할 수 있도록 한다.
2. 제품의 형태 개선
기존의 익수 공진단은 환 형태로 되어있어 먹을 때 불편한 점이 있었다. 씹어 먹어야 하기 때문에 입 안에 잔여물이 오래도록 남아 비위가 약한 사람이나 환 형태가 익숙하지 않은 수험생들에게는 부담이 될 수 있다.
따라서 환 형태 말고도 액 형태의 익수 공진단을 출시하여 먹을 때 발생할 수 있는 부담감을 줄인다. 액 형태는 잔여물이 남지 않고 끝 맛이 깔끔하기 때문에 섭취 시 거부감을 줄일 수 있다.
3. 고객관리
1) C.S. 도입
C.S.(Costomer Satisfaction)를 약국업체 최초로 시행하였다. C.S.도입은 국내에서 현재 서비스 문화를 선도하는 대기업 중심에서 활용되어지고 있는 상황이지만 제약업계 중 개국 약국을 대상으로 본격적으로 시행하는 것은 익수제약이 처음이다.
고객들의 불만과 요구를 미리 파악해서 선제 행동으로 옮겨 고객 만족을 실현함으로써 고 객에게 한 발 더 다가서서 기업 경쟁력을 강화한다.
구체적 실행 방안으로는
① 고객 고객처들의 CRM을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한다.
② 고객들의 기념일에 HAPPY CALL을 한다.
③ 신정보를 전달하고 고객들의 클레임을 신속하게 해결한다.
2) Q&A 게시판
게시판에 올라가는 질문들을 다 기록해서 보고를 하고, 고객의 요구가 타당한 것이면 직접 방문조사를 하거나 전화로 사례를 수집해 고객의 요구에 신속하게 대응한다.
Ⅲ. 개선방안
1. 익수제약 기업 자체의 인지도 향상을 통한 익수 공진단 인지도 향상 추구
1) 대중성있는 제품 개발
익수제약의 문제점 중 하나는 광동제약에 비해 인지도가 현저히 낮다는 점이다.
익수제약은 공진단을 전략적으로 몇 개의 특정 지역과 특정 약국에서만 유통을 한다.
여러 곳에 공진단을 납품하여 가격편차를 만드는 것보다 고가로 잘 팔리는 몇 곳에서만 팔아 희소성을 높이고 고가를 유지하는 것이 그들의 마케팅 전략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러한 마케팅 전략은 익수 제약의 인지도에는 치명적이다. 따라서 익수 공진단의 판매량 도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더군다나, 익수제약은 제품의 인지도보다는 효능에 맞춰 광 고를 하기 때문에 제품의 인지도가 낮을 수밖에 없다.
광동제약의 경우에는 생활의 여러 부분에서 광동제약의 제품을 흔히 만나 볼 수 있도록 했기 때문에 높은 인지도를 쌓을 수 있었다. 비타 500, 옥수수 수염차가 그 예이다. 이 제품들은 유통되는 장소가 제한적이지 않기 때문에(슈퍼나 편의점 등에서 쉽게 구매할 수 있다.) 접근성이 훨씬 용이하고 소비자에게 친근한 이미지를 형성할 수 있었다.
우리도 소비자의 입장에서 광동제약과 익수제약의 공진단이 있다면, 광동제약의 공진단 을 선택 할 것이라는 결론이 나왔다. 그 이유는 광동제약이라는 기업이 더 친근하고 주위 에서 흔히 볼 수 있기 때문에 신뢰가 가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익수제약은 그들의 브랜드 이미지를 높이기 위해, 공진단의 고품질의 이 미지는 유지하면서 광동제약의 비타500과 옥수수 수염차와 같은 대중화 시킬 수 있는 제품을 만들어야 한다.
예를 들면, 익수제약이 고수하고 있는 한방이미지를 이용한 한방입욕제나, 한방음료 등 을 출시하는 것이다. 보통 소비자들은 '한방'이라고 하면 몸에 좋은 것을 알지만 그것의 향에 대한 거부감도 함께 갖게 된다. 그러한 인식을 이용한 것이 한방 입욕제이다. 여성 들은 보통 한방 관련 제품을 선호하지만 그것의 향에 대해서는 민감하다. 하지만 그 향이 오히려 도움이 될 때가 있는데 피부와 같은 신체와 관련된 경우이다. 이런 경우 한방의 향은 오히려 그 효과에 대해 신뢰감을 갖게 하고 긍정적인 반응을 불러일으킨다. 또한 한 방음료의 경우, "잠들기 전 몸의 독소를 빼주는 음료 "라는 컨셉을 내세워서 한방의 건강 한 이미지를 강조하고, 한방음료에 향이 있어도 자기 전이기 때문에 부담이 없다는 점을 강조한다.
이러한 마케팅을 통해 익수 제약 자체의 인지도를 상승시키면 익수 공진단의 인지도도 자연스럽게 상승할 것이다.
2) 온라인 마케팅을 적극 활용한다.
- 인터넷에 홍보글이나 배너노출을 해서 고객들의 인지도를 높인다.
- 블로그의 영향력이 커진 현재 익수제약의 자체 블로그를 운영해서 익수 공진단의 홍보뿐 아니라 익수제약과 당회사 제품들을 같이 홍보한다. 더불어 건강 상식이나 건강에 관련된 내용들도 같이 게재해 고객이 부담 없이 블로그를 방문할 수 있도록 한다.
2. 제품의 형태 개선
기존의 익수 공진단은 환 형태로 되어있어 먹을 때 불편한 점이 있었다. 씹어 먹어야 하기 때문에 입 안에 잔여물이 오래도록 남아 비위가 약한 사람이나 환 형태가 익숙하지 않은 수험생들에게는 부담이 될 수 있다.
따라서 환 형태 말고도 액 형태의 익수 공진단을 출시하여 먹을 때 발생할 수 있는 부담감을 줄인다. 액 형태는 잔여물이 남지 않고 끝 맛이 깔끔하기 때문에 섭취 시 거부감을 줄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