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민지 근대화론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식민지 근대화론
식민지근대화론의 대두
식민지근대화론의 주장
한국 근대사 쟁점과 식민지근대화론의 주장
식민지 근대화론의 한국 근대사 인식 방법
식민지 근대화론의 일제시기 정치/경제에 대한 이해
식민지 근대화론의 한계
식민지 수탈론의 한계
식민지 수탈론과 근대화론을 넘어선 대안

본문내용

식민지 근대화론




식민지 근대화론

 ≪ 사 진 ≫

〓〓〓〓〓〓〓〓〓〓〓〓〓〓〓〓〓〓〓〓〓〓〓〓〓〓〓〓〓〓〓〓〓〓〓〓〓〓〓〓〓〓〓〓〓〓〓〓〓〓〓

남대문로의 1930년대의 모습




식민지근대화론의 대두

• 동아시아의 급속한 자본주의 발전이 동아시아 역사상의 전환을 요구

     ⇘ 식민지근대화론
    현실적`이론적 발언권 강화

〓〓〓〓〓〓〓〓〓〓〓〓〓〓〓〓〓〓〓〓〓〓〓〓〓〓〓〓〓〓〓〓〓〓〓〓〓〓〓〓〓〓〓〓〓〓〓〓〓〓〓

‘식민지 근대화론’논쟁의 비판과 신근대사론의 모색 논문 358p참고

식민지수탈론이 대세를 이루고 있었음..그런데 80년대부터 해외에서 이러한 관점에 의문을 제기하는 학자들이 생기고 그 흐름이 국내로
확산됨. 식민지근대화론은 경제사를 연구하는 사람들로부터 대두되었다.
동아시아 대부분의 나라들이 식민지의 역사를 가지고 있다. 우리나라는 물론, 타이완도 일본의 식민지 지배를 받은 국가였다.
그런데 이 국가들이 이 시기에 급격한 경제발전을 이루기 시작(동아시아의 4마리의 용..타이완,한국,홍콩,싱가포르)하면서 예전에는 동아시아 국가들을 식민지 지배에 의해 피해를 받고 있는 대상으로 보았던 것을 다른 시각으로 보기 시작함. 즉, 식민지 지배가 이 국가들에게 무언가 도움이 되었던 것은 아닌가. 특히 일본의 식민지였던 타이완과 한국 모두가 급속한 경제적 발전을 이룸으로써 식민지근대화론이 더욱 부상하기 시작.

소농사회론 : 자본주의 맹아론과 대조적인 내용. (자본주의 맹아론은 조선 사회 내부에서 자본주의의 양상이 보인다고 말함. 소농사회론은 조선 자체는 자본주의가 성립할 수 있는 요소를 가지고 있지 않았으나, 소농 중심의 농업체가 외부에서 도입된 자본주의를 빨리 받아들일 수 있게 하는 기반이 되었다고 주장)
소농은 가족단위의 농업체. 공동체와는 다르다! 소농사회(직계가족)가 가진 경쟁력- 우수한 상속자를 확보하기 위한 아버지의 노력이 자식교육에 대한 맹렬한 수요로 나타남!
소농사회+자본주의의 도입= 한국식 자본주의의 탄생
발전국가론 : 동아시아에서 유독 자본주의 발전이 가능했던 것은 아시아 신흥공업국가들이 일제의 식민지 지배를 거쳤고 일제 식민정책의 특수성이 작용했기 때문. 일제는 정치, 문화적으로 식민지 사회를 억압했지만 부패하고 비효율적인 전통국가를 해체하고 식민지 발전국가를 수립하여 국가 주도의 발전 지향적 식민정책을 추진한 유일한 제국주의였다.
  • 가격2,3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2.04.21
  • 저작시기2012.4
  • 파일형식기타(pptx)
  • 자료번호#74176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