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갯녹음 정의
- 백화현상
2. 백화현상 현황- 한국
- 울산 반구대, 부산 오륙도, 부산 형제섬, 거제도 연안, 독도 바다, 여수 거문도, 제주도 전역, 군산시 새만금 앞바다
3. 갯녹음 피해
4. 갯녹음 요인
- 생리학적 요인
A.무기환경의 변동
B.식물적 영향
-인위적 요인
중탄산 칼슘이나 수산화 칼슘이 탄산 칼슘으로 석출되는 3가지
5.. 갯녹음 현상의 유무파악
- 잠수관촬
- 광학적 조사법
- 음향학적 조사법
6. 갯녹음 현상 해결책
7. 협회
-UNEP
- 백화현상
2. 백화현상 현황- 한국
- 울산 반구대, 부산 오륙도, 부산 형제섬, 거제도 연안, 독도 바다, 여수 거문도, 제주도 전역, 군산시 새만금 앞바다
3. 갯녹음 피해
4. 갯녹음 요인
- 생리학적 요인
A.무기환경의 변동
B.식물적 영향
-인위적 요인
중탄산 칼슘이나 수산화 칼슘이 탄산 칼슘으로 석출되는 3가지
5.. 갯녹음 현상의 유무파악
- 잠수관촬
- 광학적 조사법
- 음향학적 조사법
6. 갯녹음 현상 해결책
7. 협회
-UNEP
본문내용
대별의 분포변화로 갯녹음 현상판독
6. 갯녹음 현상 해결책
① 어장 예찰을 통한 환경변화 상황에 신속히 대처
② 해조류를 먹이로 하는 조식(藻食)동물의 적정자원 조성 및 증식
③ 해안의 매립이나 토목공사로 인한 환경변화 방지
④ 각종 오폐수 유입 차단
⑤ 장기적인 해중림 조성사업 권장
(다시마, 대황 등을 블럭초에 감아 시설하는 방법 등)
⑥종묘생산과 공급, 종묘보호육
종묘생산과 공급
- 해조류의 이식
- 유주자, 배우체, 아포체의 대량 살포
- 인공종묘생산 로프양식의 해저이식
- 자기증식이 가능한 대황의 모조이식
종묘보호 육성
- 식물먹이 동물(초식동물)의 구제 - 해조의 대량 투입에 의한 - 동식물의 물리적인 오름방지 식해의 흡수
- 그물에 의한 식해방지 시설
- 화학물질(유기산, 천연물 등)의 이용
⑦해조군락 조성을 위한 착생기질의 정비
해조군락 조성을 위한 착생기질의 정비
- 투석, 조류용 어초의 설치 - 암초 폭파 - 잡조류 제거(성게 식해 이용, 압축공기의 분사, 수중장비 이용 등)
7. 협회
UNEP(United Nations Environment Programme) :1972년 6월5일 스웨덴의 수도인 스톡 홀름에서 ‘하나뿐인 지구’를 주제로 개최된 인류 최초의 국제환경 회의인 유엔 인간회의에서 처음 그 설립이 논의 총 113개 국가와 3개 국제기구 257개의 민간단체가 참여하여 유엔전문기관인 유넵 설립
유엔 내의 ‘환경전담 국제 정부간 기구’로서 활동
지구환경 감시, 정부와 국제사회가 환경동향에 따라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환경
정책 합의를 조정하는 역할을 하게 되었다.
6. 갯녹음 현상 해결책
① 어장 예찰을 통한 환경변화 상황에 신속히 대처
② 해조류를 먹이로 하는 조식(藻食)동물의 적정자원 조성 및 증식
③ 해안의 매립이나 토목공사로 인한 환경변화 방지
④ 각종 오폐수 유입 차단
⑤ 장기적인 해중림 조성사업 권장
(다시마, 대황 등을 블럭초에 감아 시설하는 방법 등)
⑥종묘생산과 공급, 종묘보호육
종묘생산과 공급
- 해조류의 이식
- 유주자, 배우체, 아포체의 대량 살포
- 인공종묘생산 로프양식의 해저이식
- 자기증식이 가능한 대황의 모조이식
종묘보호 육성
- 식물먹이 동물(초식동물)의 구제 - 해조의 대량 투입에 의한 - 동식물의 물리적인 오름방지 식해의 흡수
- 그물에 의한 식해방지 시설
- 화학물질(유기산, 천연물 등)의 이용
⑦해조군락 조성을 위한 착생기질의 정비
해조군락 조성을 위한 착생기질의 정비
- 투석, 조류용 어초의 설치 - 암초 폭파 - 잡조류 제거(성게 식해 이용, 압축공기의 분사, 수중장비 이용 등)
7. 협회
UNEP(United Nations Environment Programme) :1972년 6월5일 스웨덴의 수도인 스톡 홀름에서 ‘하나뿐인 지구’를 주제로 개최된 인류 최초의 국제환경 회의인 유엔 인간회의에서 처음 그 설립이 논의 총 113개 국가와 3개 국제기구 257개의 민간단체가 참여하여 유엔전문기관인 유넵 설립
유엔 내의 ‘환경전담 국제 정부간 기구’로서 활동
지구환경 감시, 정부와 국제사회가 환경동향에 따라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환경
정책 합의를 조정하는 역할을 하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