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비속어[욕]조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욕 조사



욕설

2. 욕의 근원

#1 어쭈구리(魚走九里)

#2 시벌로마(施罰勞馬)

#3 족가지마

3. 쓰이는 상황

본문내용

그것은 화자가 청자의 가족 상황이나 신체 상태를 가리켜 욕을 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달리 말해, 청소년들의 욕 문화에서 관건은 욕 자체가 아니라 욕설이 사용되는 ‘맥락’에 있다. 그런데도 ‘조사·진단·처방·정당화’의 프로그램들은 욕이 어떤 동기에서, 어떤 관계에서, 그리고 어떤 환경에서 사용되는가를 전혀 묻지 않는다. 그들의 표적은 ‘욕하는 청소년’이지 ‘욕 권하는 사회’는 아니기 때문이다.
역사적으로 봤을 때, 10대들의 욕이 사회적으로 주목되기 시작한 것은 대략 1980년대 초였다. 국민경제가 마이너스 성장을 찍은 직후였다. 다음은 당시 신문에 실렸던 인터뷰 기사 중 일부분이다. “우리 아빠엄마요? 돈 없다고 늘 싸워요. 때리지는 않지만 말로요. 아빠가 화나면 ‘에이 빌어먹을 ×’이라고도 욕하고 ‘××년’ ‘뒈져라’, 뭐 그런 거예요. 그런데 아저씨는 그런 거 왜 물어보세요. 잘못한 것도 아닌데… 씨파.”
당시 10대 욕 문화에 대한 진단은 그래도 사려 깊은 것이었다. ‘이전에 욕은 어른들 고유의 문화였지만, 지금은 청소년들의 문화로 전이되고 있다’는 판단이 대표적이다. 즉, 책임은 성인에게 있다는 것이다. ‘핵가족화와 경제위기를 지탱해줄 만한 대안적 규범이 없다’는 점도 지적됐다. 아노미에 빠진 건 10대 청소년이 아니라 한국 사회 전체라는 것이다.
그렇다. 애초에 청소년 욕 문화는 주류 문화의 부산물이었다. 그렇지만 지금 10대들의 욕 문화를 둘러싼 사회적 담론은 (전통적 맥락에선) ‘금기를 통한 도덕률’과 (현재적 맥락에선) ‘청소년의 무지’라는 두 가지 근거에만 기초하고 있을 뿐이다. 그러니까 ‘캠페인’을 하는 것이고 말이다. 그러나 청소년은 절대 무지하지 않다. 적어도 정말로 개념 없는 몇몇 녀석들을 제외한다면, 욕설은 또래 내의 관계에서만 나타날 뿐이지 또래 외부의 관계에서는 전혀 발화되지 않는다. 정확한 어원과 언어학적 의미는 모를지언정, 욕이 나쁘다는 도덕쯤은 이미 알고 있기 때문이다.
요즘 방영되는 드라마 <뿌리 깊은 나무>에서 주인공 세종은 백성을 살리는 군주가 되기로 마음먹고 그들의 언어를 배운다. 거기서 제일 먼저 학습한 단어가 바로 ‘지랄’이다. 드라마긴 하지만, 어쨌든 ‘한글을 창제한 세종대왕께서 살아오셔서 우리 청소년들의 욕 수준을 안다면 어떤 표정을 지을까?’ 아마도 10대들에게 욕 권하는 사회를 보고 한마디 정도는 하지 않을까 싶다. “지랄.”
문화사회연구소 연구원

키워드

  • 가격1,8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2.04.24
  • 저작시기2012.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4241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