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서론- 욕과 엽기의 정의
II. 욕에 나타난 엽기적 표현과 그 의미
A. 욕의 엽기적 표현
1. 엽기적인 욕의 틀
2. 성기를 지칭한 욕의 엽기적 표현
3. 성교를 지칭한 엽기적인 욕
4. 그 외의 엽기적인 욕의 표현
B. 욕에 나타난 의미
1. 욕에 반영된 우리 민족의 정서적 특징
2. 욕이 성을 대상으로 하여 엽기적으로 표현되는 이유
III. 결론
참고 문헌
**한글97
II. 욕에 나타난 엽기적 표현과 그 의미
A. 욕의 엽기적 표현
1. 엽기적인 욕의 틀
2. 성기를 지칭한 욕의 엽기적 표현
3. 성교를 지칭한 엽기적인 욕
4. 그 외의 엽기적인 욕의 표현
B. 욕에 나타난 의미
1. 욕에 반영된 우리 민족의 정서적 특징
2. 욕이 성을 대상으로 하여 엽기적으로 표현되는 이유
III. 결론
참고 문헌
**한글97
본문내용
황을 욕하는 사람은 그것을 상상하며 즐거워한다. 다른 신체부위를 데었다면 문제가 되지 않는 일을 '씹을 데었다.'라고 표현하면 실수를 연발하는 사람에 대한 욕의 전달이 더욱 분명해지고 통쾌해진다.
엽기적인 욕의 표현은 욕의 의미를 더욱 분명하게 해주는 효과와 욕하는 사람의 마음을 통쾌하게 만드는 효과가 있음을 보았다. 상대가 당황하고 기분 나빠하는 모습에서 통쾌함을 느끼는 것은 일종의 '카타르시스'를 느끼는 것으로 보인다. 그것은 마음 속에 담고 있던 울분을 상상도 못 할 표현으로 입 밖에 '씨부렁거릴 때' 가슴 속 울분이 밖으로 나가는 시원함과 같은 것이다.
III. 결론
지금까지 본 논문은 욕과 엽기의 정의를 바탕으로 엽기적인 욕의 표현과 의미를 살펴보고, 욕에서 알 수 있는 우리 민족의 정서적 특징과 욕이 엽기적으로 표현되는 이유도 함께 생각해 보았다.
욕은 인간의 감정을 표현하는 또 다른 수단이다. 우리 민족이 성을 터부시하는 경향이 강하기 때문에 민망하고 수치심을 불러일으키는 엽기적인 욕이 많은 것이 사실이다. 이 연구를 통해 욕과 엽기가 많은 연관성을 갖고 있음을 생각해 볼 수 있었다. 성과 관련된 신체 부위와 행위가 정상적으로 상상할 수 없고 괴기스러운 느낌을 줄 때 욕의 의미가 분명해지고 카타르시스를 느낄 수 있었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욕하기에 앞서 의미를 정확히 파악하는 일이다. 엽기적인 욕을 무조건 사용하기보다는 의미를 분명히 알고 선택하여 사용할 줄 알아야 하기 때문이다. 욕을 함으로써 생기는 결과에 책임을 질 줄 알아야 한다.
우리 민족이 터부시하는 대상은 성에만 국한되지 않을 것이다. 본 논문은 성과 관련된 욕을 주 소재로 다루었다. 성이 아니라 '똥', '바보', '병신'과 같은 소재로 구성된 엽기적인 표현을 찾아 분석하지 않은 것이 본 논문이 지니고 있는 한계점이다.
참고 문헌
김열규(1997).『욕, 그 카타르시스의 미학』. 서울: 사계절.
박일환(1994).『우리말 유래 사전』. 서울: 우리교육.
안옥규(1994).『우리말의 뿌리』. 서울: 학민사.
운평어문연구소(1997).『국어대사전』. 서울: 금성출판사.
이기동(1997).『周易講說』. 서울: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이희승(1995).『엣센스 國語辭典』. 서울: 民衆書林.
정태륭(1994).『우리말 상소리 사전』. 서울: 프리미엄 북스.
한국의 욕. 박정배. www. glacier. korea. ac. kr- slang. 11/23
1) 이희승(1995).『엣센스 國語辭典』(서울: 民衆書林), p. 1620
2) 앞 글, p.1620.
3) 이기동(1997).『周易講說』(서울: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p.19.
4) 한국의 욕. 박정배. www. glacier. korea. ac. kr/ slang-2. p. 1. 11/23.
5) 앞 글, slang-3. p.1.
6) 앞 글, slang-3. p.1.
7) 앞 글, slang-3. p.2.
8) 정태륭(1997).『우리말 상소리 사전』(서울: 프리미엄 북스), pp. 114-115.
김삿갓은 하고 싶은 욕을 시로 표현하는 '욕시'를 많이 썼다. 위의 시도 욕시 중의 하나이다. 음을 읽어도 뜻을 풀이해도 상스러운 말이 되도록 시를 지어냈다. 여기에 소개할 김삿갓 시도 욕시인데, 강원도 원산 근처의 한 서당에서, 선생은 없고 못된 학동들이 김삿갓의 초라한 몰골을 보고는 비렁뱅이 아니냐고 놀려대는 것을 듣고는 화가나서 쓴 시이다.
書堂乃早知(서당내조지) 서당은 내 좆이고,
房中皆尊物(방중개존물) 방 안은 개 좆물 같다.
生徒諸未十(생도제미십) 생도는 제미씹이고,
先生來不謁(선생래불알) 선생은 내 불알이다.
9) 안옥규(1994).『우리말의 뿌리』(서울: 학민사), p.285.
10) 한국의 욕. 박정배. www. glacier. korea. ac. kr/ slang-4. p. 2. 11/23.
11) 앞 글, slang-4. p.2.
12) 박일환(1994).『우리말 유래 사전』(서울: 우리교육), p.147.
13) 앞 글, p. 158.
14) 한국의 욕. 박정배. www. glacier. korea. ac. kr/ slang-7. p. 2. 11/23.
15) 김열규(1997).『욕, 그 카타르시스의 미학』(서울: 사계절), p. 310.
16) 앞 글, p. 311.
17) 앞 글, p. 314.
18) 앞 글, p. 303.
19) 앞 글, p. 303.
20) 앞 글, p. 314.
21) 앞 글, p. 313.
엽기적인 욕의 표현은 욕의 의미를 더욱 분명하게 해주는 효과와 욕하는 사람의 마음을 통쾌하게 만드는 효과가 있음을 보았다. 상대가 당황하고 기분 나빠하는 모습에서 통쾌함을 느끼는 것은 일종의 '카타르시스'를 느끼는 것으로 보인다. 그것은 마음 속에 담고 있던 울분을 상상도 못 할 표현으로 입 밖에 '씨부렁거릴 때' 가슴 속 울분이 밖으로 나가는 시원함과 같은 것이다.
III. 결론
지금까지 본 논문은 욕과 엽기의 정의를 바탕으로 엽기적인 욕의 표현과 의미를 살펴보고, 욕에서 알 수 있는 우리 민족의 정서적 특징과 욕이 엽기적으로 표현되는 이유도 함께 생각해 보았다.
욕은 인간의 감정을 표현하는 또 다른 수단이다. 우리 민족이 성을 터부시하는 경향이 강하기 때문에 민망하고 수치심을 불러일으키는 엽기적인 욕이 많은 것이 사실이다. 이 연구를 통해 욕과 엽기가 많은 연관성을 갖고 있음을 생각해 볼 수 있었다. 성과 관련된 신체 부위와 행위가 정상적으로 상상할 수 없고 괴기스러운 느낌을 줄 때 욕의 의미가 분명해지고 카타르시스를 느낄 수 있었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욕하기에 앞서 의미를 정확히 파악하는 일이다. 엽기적인 욕을 무조건 사용하기보다는 의미를 분명히 알고 선택하여 사용할 줄 알아야 하기 때문이다. 욕을 함으로써 생기는 결과에 책임을 질 줄 알아야 한다.
우리 민족이 터부시하는 대상은 성에만 국한되지 않을 것이다. 본 논문은 성과 관련된 욕을 주 소재로 다루었다. 성이 아니라 '똥', '바보', '병신'과 같은 소재로 구성된 엽기적인 표현을 찾아 분석하지 않은 것이 본 논문이 지니고 있는 한계점이다.
참고 문헌
김열규(1997).『욕, 그 카타르시스의 미학』. 서울: 사계절.
박일환(1994).『우리말 유래 사전』. 서울: 우리교육.
안옥규(1994).『우리말의 뿌리』. 서울: 학민사.
운평어문연구소(1997).『국어대사전』. 서울: 금성출판사.
이기동(1997).『周易講說』. 서울: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이희승(1995).『엣센스 國語辭典』. 서울: 民衆書林.
정태륭(1994).『우리말 상소리 사전』. 서울: 프리미엄 북스.
한국의 욕. 박정배. www. glacier. korea. ac. kr- slang. 11/23
1) 이희승(1995).『엣센스 國語辭典』(서울: 民衆書林), p. 1620
2) 앞 글, p.1620.
3) 이기동(1997).『周易講說』(서울: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p.19.
4) 한국의 욕. 박정배. www. glacier. korea. ac. kr/ slang-2. p. 1. 11/23.
5) 앞 글, slang-3. p.1.
6) 앞 글, slang-3. p.1.
7) 앞 글, slang-3. p.2.
8) 정태륭(1997).『우리말 상소리 사전』(서울: 프리미엄 북스), pp. 114-115.
김삿갓은 하고 싶은 욕을 시로 표현하는 '욕시'를 많이 썼다. 위의 시도 욕시 중의 하나이다. 음을 읽어도 뜻을 풀이해도 상스러운 말이 되도록 시를 지어냈다. 여기에 소개할 김삿갓 시도 욕시인데, 강원도 원산 근처의 한 서당에서, 선생은 없고 못된 학동들이 김삿갓의 초라한 몰골을 보고는 비렁뱅이 아니냐고 놀려대는 것을 듣고는 화가나서 쓴 시이다.
書堂乃早知(서당내조지) 서당은 내 좆이고,
房中皆尊物(방중개존물) 방 안은 개 좆물 같다.
生徒諸未十(생도제미십) 생도는 제미씹이고,
先生來不謁(선생래불알) 선생은 내 불알이다.
9) 안옥규(1994).『우리말의 뿌리』(서울: 학민사), p.285.
10) 한국의 욕. 박정배. www. glacier. korea. ac. kr/ slang-4. p. 2. 11/23.
11) 앞 글, slang-4. p.2.
12) 박일환(1994).『우리말 유래 사전』(서울: 우리교육), p.147.
13) 앞 글, p. 158.
14) 한국의 욕. 박정배. www. glacier. korea. ac. kr/ slang-7. p. 2. 11/23.
15) 김열규(1997).『욕, 그 카타르시스의 미학』(서울: 사계절), p. 310.
16) 앞 글, p. 311.
17) 앞 글, p. 314.
18) 앞 글, p. 303.
19) 앞 글, p. 303.
20) 앞 글, p. 314.
21) 앞 글, p. 313.
추천자료
우리나라 특급호텔의 종류와 특성
역사앞에서
청록파와 조지훈
맞벌이 부부의 자녀돌봄
에릭슨(Erikson)의 사회 심리학적 이론
[독서감상문] 이외수님의 아불류 시불류를 읽고나서
학력사회론
[중등 다문화교육] 다문화교육을 위한 수업설계와 사례 및 다문화 교수학습과정안의 개발
골드미스 호텔 패키지 STP(Segment-Targeting-Promotion )전략
[노인인권과 노인학대] 노인인권 및 노인차별주의, 노인학대의 위험요인과 실태 및 대응방안
중국 상인 문화
스토리텔링
사회적 행동, 성격과 관련된 최근 이슈를 찾아 정리해보세요.
모성간호A+ [자궁근종(myoma of uterus)-간호과정(case stud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