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스게임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머리말

1. 매스게임의 기본 개념
 1) 매스 게임이란
 2) 매스 게임의 목적 및 교육적 의의
 3) 매스 게임의 성격
 4) 매스게임의 분류
 5) 매스게임의 효과

2. 매스게임의 구성
 1) 매스게임의 내용
 2) 매스게임의 형태
 3) 매스게임 창작
 4) 매스게임의 구성 원리
 5) 매스게임의 형식
 6) 매스게임의 구성상의 주의점

3. 매스게임 구성의 기술
 1) 매스게임의 스타일과 단계
 2) 대열의 전개
 3) 매스게임의 형태
 4) 매스게임 복장과 색의 조화
 5) 음악의 선택 및 작곡
 6) 매스게임 채점기록표의 작성

4. 매스게임의 지도
 1) 지도 계획
 2) 지도상 유의점
 3) 매스게임의 지도방법
 4) 매스게임 연습상 유의할점

◈ 마무리


◈ 참고문헌

본문내용

좋다.
무곡형식을 비롯한 각종 응용형식으로 된 관현악곡이 좋다.
대집단이 민속무용으로 매스게임을 실시할 때는 선명한 곡이 좋다.
6) 매스게임 채점기록표의 작성
복장, 음악, 인원, 대형, 배열, 동작, 대형의 변화 등을 고려하여 평가한다.
4. 매스게임의 지도
1) 지도 계획
① 맨손체조, 꾸미기 체조 및 기구체조를 주제별로 구분하여 그에 적합한 지도계획을 세운다.
② 실시대상의 능력에 맞도록 단계적인 지도 계획을 세운다.
③ 지역사회에 알맞은 매스게임 창작이 필요하다.
④ 지도자 개인의 단독 운영보다는 전 직원의 협조로 이루어질 수 있는 계획을 짜야 한다.
⑤ 매스게임 종목을 구상한 후 연간계획표에 의해 꾸준히 연습을 실시한다.
2) 지도상 유의점
① 전 직원의 참여하도록 협조를 구한다.
② 각 학년별 체육교사가 학습 또는 학년별로 매스게임의 부분적 동작을 지도한 후 전체지도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③ 지도단계에 있어서 음악은 구령에 의하여 완전한 동작이 이루어진 후 사용한다.
④ 부분적인 운동부터 시작하여 종합적이고 복합적인 운동으로 실시한다.
⑤ 대형의 변화는 집단의 수에 의하여 조편성이 적절히 이루어지도록 한다.
⑥ 매스게임의 통일된 동작이 창작물에 정확히 나타날 수 있도록 적절히 구성해야 한다.
3) 매스게임의 지도방법
① 실연지도
지도자가 시범을 보이는 것으로 매스게임을 연습시켜가는 방법이다. 매스게임 방법을 이해시킬 때나 안전에 필요한 주의사항 등을 알릴 때 효과적이며 시간적으로 제한이 있을 때도 사용하면 능률이 오른다. 하지만 매스게임을 연기하는 학생들의 자발성을 저해할 수 있으므로 함부로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② 연습지도
기능을 지도할 때 사용되는 형태로 다음과 같이 역동적으로 진행 되어야 한다.
학생 :
의욕

연습

수정

교정
교사 :
동기유발

순서지시

교정

평가
연습지도는 기능 습득 및 숙달을 목적으로 하므로 효과적으로 실시하여 일정한 목표에 도달하도록 하며, 요점을 설명하고 빨리 연습을 하도록 유도한다. 잘못이 발견되면 개별적으로 빨리 교정해 준다.
4) 매스게임 연습상 유의할점
① 계획에 의해서 그룹별로 맡은 바 임무를 정확히 파악하고 그룹별 리더를 저하여 지휘하게 한다.
② 정확한 계획에 의해서 실시해 보고 나서 반성하고 평가, 분석하여 개선해 나가며 종합하여 부분에서 전체로 그 형태를 잡아간다.
③ 처음에는 소수의 인원으로 확실하게 연습한 다음 점점 많은 그룹을 결합하여 연습한다.
④ 보는 것도 연습이다. 다른 그룹이 연습하는 것을 잘보고 격려해 주며 비교, 감상, 반성을 반복하여 점점 향상되도록 한다.
⑤ 연습시간은 너무 오래 끌어 지루하게 하지 말고 최단시간 내에 능률이 오르도록 연습강도를 높인다.
⑥ 그룹별 리더는 회합을 자주 갖고 혼돈을 일으키지 않도록 연습순서나 방법을 협의한다.
⑦ 연습계획은 우천시, 혹은 그 밖의 사정을 고려해서 적어도 발표하기 1주일 전에 완성되도록 계획하는 것이 좋다.
⑧ 계획표에는 출석란, 반성란을 두어 기록하고 활용하는 것이 좋다.
◈ 마무리
지금까지 매스게임의 구성요건에 대해 여러 가지 알아보았다. 매스게임은 집단으로 함께 여러 가지 동작을 만들어 보여주는 체조라고 볼 수 있다. 대부분의 경우, 매스게임은 관중을 전제로 하기 때문에 지도자는 화려한 표현에만 치중하며, 개인의 존재를 소홀히 하기 쉽다. 매스게임은 또한 일반적으로 일제히 동작하기 때문에 형식이 제한되어 있는데, 이것이 장점이기도 하고 단점이 될 수도 있다.
얼마 전 부산 국제 영화제에서 세계 최초로 북한에 직접 들어가 ‘어떤 나라’라는 장편 다큐멘터리를 촬영하여 화제가 된 적이 있었다. 영화에서는 집단체조라는 북한체제를 극명히 대변하는 소재를 이용하여 북한 사회와 지구상에서 가장 정교하고 거대한 퍼포먼스(집단체조)를 보여 주었다.
일사분란하게 움직이는 북한의 집단체조를 대부분 본적이 있을 것이다. 한 치의 오차도 없이 기계적인 다수의 인간이 만들어내는 동작을 보면서 감탄을 금치 못한 적이 있다. 나이어린 아이에서부터 중년의 여성까지 수만의 인원들이 만들어내는 장관은 세계 어디에 가서도 볼 수없는 북한이라는 사회주의 국가의 모습이다. 물론 북한이라는 사회주의 국가의 특성 덕분에 이러한 공연이 가능할 수 있다. 문제는 북한의 집단체조만이 가지는 성격 때문에 충분히 예술 공연으로써 평가받고 표현되어야 할 부분들이 빛을 잃고 있다는 것이다.
흔히들 초등학교 운동회 때 아이들이 집단으로 하는 체조나 각종 개막식, 폐막식에서 선보이는 아름다운 무용 등이 매스게임의 한 예라고 볼 수 있다. 특히 북한의 ‘아리랑’ 공연에서 보여준 집단 매스게임은 그 최고 극치를 보여준다는 점에서 매스게임의 사회적 효과까지 확인해 볼 수 있다.
이렇듯 매스게임은 집단으로 움직여지는 체조로 초등학생들에게는 협동심, 단체 활동 등에 좋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무용교육 자체가 아동들의 인격체 형성에 올바른 영향을 미치기 위함이 목표이고 이성과 감성의 조화, 정신과 육체, 형식충동과 질료 충동의 중재, 나아가 영육의 조화를 가능케 해주는 놀이충동의 육체적 직접성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무용교육은 전인교육에 기능적으로 기여할 요건이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초등교육에서의 무용교육은 단지 율동교육에만 그쳐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지 못하고 그 기능을 상실하고 있다는 점에서 문제점이 야기된다. 아동들의 발달에 맞게 무용교육이 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교육현장에서 올바른 조치가 필요하다고 본다. 본문에서 보듯이 매스게임은 기존의 개념처럼 이념 강화 수단이 아닌 예술 공연으로 탈바꿈 되어가며 무용 교육적인 의의가 있음을 재조명 해 볼 때이다.
◈ 참고문헌
* 김정한. 매스게임의 이론과 창자.2001
* 박승원. 교육 무용과 매스게임. 1989.
* 이학래. 한국체육사 연구. 2003.
* 정민수. 북한의 이해. 2004.
* 채희완 "무용저널" 제3호 "1988.10"
* 황명자. 아동무용교육. 2004.
* 임성애, 김정자, 매스게임의 空間構成 模型에 關하여 : 平面的 隊型을 中心으로, 대한체육 회, 98('75.1), pp.57-64.
  • 가격2,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12.04.30
  • 저작시기2009.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4327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