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무용의 기능과 현대에 있어서 본인이 생각하는 주된 기능에 대한 논의
2. 낭만주의 발레(이태리, 프랑스)와 고전주의 발레(러시아)의 특성에 관해서 서술.
3. 초창기 현대무용(미국, 독일]에 있어서 주요국가와 안무가들을 관련시켜서 서술, 논의.
2. 낭만주의 발레(이태리, 프랑스)와 고전주의 발레(러시아)의 특성에 관해서 서술.
3. 초창기 현대무용(미국, 독일]에 있어서 주요국가와 안무가들을 관련시켜서 서술, 논의.
본문내용
프리 -와이드만의 원리를 추구하되 그 원리에 구속되지는 않았으며, 험 프리-와이드만의 원리를 발전시킴으로써 험프리나 와이드만이 결코 체험 하지 못한 오직 리몽의 독창적인 동작과 몸짓을 전개했다.
2. 머스 커닝험 - 초기 현대 무용가들이 표현주의적·심리주의적인 작품묘사를 한 것과는 달리, 무용가의 신체 그 자체가 주제를 지녀야 한다고 주장하며 추상 적 작품을 만들었다. 그의 주장은 후기현대무용에 큰 영향을 미쳤다.
세상의 만물은 모두 동일하다고 주장하여 주인공이 없었다.
우연성을 강조해 프레이즈를 설정해 놓은 뒤 주사위를 굴리던가 해서 그때그때 무용수들에게 자유권, 결정권을 주었다. 이는 안무가의 주 관적 영향을 최소화 하려는 의도 때문이었다.
3. 얼윈 니콜라이 - 미국의 무용가 겸 안무가이다. 풍자적 무용개발.
육체의 데포르메한 형태의 변화와 빛을 강조하고 있다.
4. 폴 테일러 - 미국 현대무용가·안무가.
기하학적이고 화려함.
재주가 많아 미술, 음악도 감당하였다.
5. 앨빈 애일리 - 흑인특유의 작극적이고 희극적인 작품소개
6. 안나 소콜로우 - 미국 태생. 안무가, 교사, 무용수.
모던 댄스 뿐 아니라, 연극, 오페라, 뮤지컬 등 광범위하다.
작품은 극적이며 현대인의 실존상태와 관련된 테마를 가지며, 다양한 장르의 무대에서 춤추어졌다.
모던 댄스의 주요한 안무가의 한 사람으로 손꼽힌다.
7. 에릭 호킨스 - 마사 그라함의 남편.
특히 음악은 결정적인 요인이었고 음악가와의 제휴도 이루어지고 있다. 또, 여러 가지 민족 문화에 있어서 무용의 근원에 착안함으로써 그리스 및 동양 철학과 예술로부터의 영향도 받았다.
8. 폴린 코너 - 1912년 뉴욕주 뉴욕에서 태어났다. 미하일 포킨(Mikhail Fokine), 엔젤 카 시노, 이토 미치오의 지도를 받고 14세에 포킨무용단에 입단하여 활동하 다가 니무라 에이치무용단으로 옮겨 활약했으며, 1931년부터 본격적인 순회공연을 하였다. 그 뒤 러시아로 건너가 포킨의 후계자로 인정 받은 후 1940년대에 다시 미국에 와 지휘자 프리츠 발러와 결혼하였다.
<포스트 모던댄스 계열의 안무가>
1. 이본 레이너 (져드슨 그룹에서 주도적 역할)
2. 시몬느 포르띠
3. 스티브 팩스톤
4. 트리샤 브라운
5. 데이빗 고든
6. 데보라 헤이
7. 루신다 챠일드
8. 메레디스 몽크 (무용뿐 아니라 음악이라든지 직접함. 재능이 많음)
9. 케네스 킹
10. 더글라스 던
2. 머스 커닝험 - 초기 현대 무용가들이 표현주의적·심리주의적인 작품묘사를 한 것과는 달리, 무용가의 신체 그 자체가 주제를 지녀야 한다고 주장하며 추상 적 작품을 만들었다. 그의 주장은 후기현대무용에 큰 영향을 미쳤다.
세상의 만물은 모두 동일하다고 주장하여 주인공이 없었다.
우연성을 강조해 프레이즈를 설정해 놓은 뒤 주사위를 굴리던가 해서 그때그때 무용수들에게 자유권, 결정권을 주었다. 이는 안무가의 주 관적 영향을 최소화 하려는 의도 때문이었다.
3. 얼윈 니콜라이 - 미국의 무용가 겸 안무가이다. 풍자적 무용개발.
육체의 데포르메한 형태의 변화와 빛을 강조하고 있다.
4. 폴 테일러 - 미국 현대무용가·안무가.
기하학적이고 화려함.
재주가 많아 미술, 음악도 감당하였다.
5. 앨빈 애일리 - 흑인특유의 작극적이고 희극적인 작품소개
6. 안나 소콜로우 - 미국 태생. 안무가, 교사, 무용수.
모던 댄스 뿐 아니라, 연극, 오페라, 뮤지컬 등 광범위하다.
작품은 극적이며 현대인의 실존상태와 관련된 테마를 가지며, 다양한 장르의 무대에서 춤추어졌다.
모던 댄스의 주요한 안무가의 한 사람으로 손꼽힌다.
7. 에릭 호킨스 - 마사 그라함의 남편.
특히 음악은 결정적인 요인이었고 음악가와의 제휴도 이루어지고 있다. 또, 여러 가지 민족 문화에 있어서 무용의 근원에 착안함으로써 그리스 및 동양 철학과 예술로부터의 영향도 받았다.
8. 폴린 코너 - 1912년 뉴욕주 뉴욕에서 태어났다. 미하일 포킨(Mikhail Fokine), 엔젤 카 시노, 이토 미치오의 지도를 받고 14세에 포킨무용단에 입단하여 활동하 다가 니무라 에이치무용단으로 옮겨 활약했으며, 1931년부터 본격적인 순회공연을 하였다. 그 뒤 러시아로 건너가 포킨의 후계자로 인정 받은 후 1940년대에 다시 미국에 와 지휘자 프리츠 발러와 결혼하였다.
<포스트 모던댄스 계열의 안무가>
1. 이본 레이너 (져드슨 그룹에서 주도적 역할)
2. 시몬느 포르띠
3. 스티브 팩스톤
4. 트리샤 브라운
5. 데이빗 고든
6. 데보라 헤이
7. 루신다 챠일드
8. 메레디스 몽크 (무용뿐 아니라 음악이라든지 직접함. 재능이 많음)
9. 케네스 킹
10. 더글라스 던
추천자료
낭만파 음악,교향곡
낭만주의 시와 워즈워드의 시 세계
낭만주의 시대의 예술
낭만주의 음악 연구
젊은베르테르의 슬픔의 낭만주의적 성향 -괴테와 낭만주의
[낭만주의][낭만주의 특성][낭만주의 발생 조건][낭만주의 시대 음악][낭만주의 시대 문학][...
[낭만주의][낭만주의 발생배경][낭만주의시대][낭만주의 음악][낭만주의 문학]낭만주의의 발...
낭만주의 음악의 정리
낭만주의 예술
1920년대 낭만주의 시 연구 - 낭만주의의 수용, 시인별 작품, 시의 특징, 주요작품
[영미시][낭만주의][모더니즘][위스턴 휴 오든][아치볼드 매클리시]영미시와 낭만주의, 영미...
[작가, 상징주의작가, 낭만주의작가, 자연주의작가, 사실주의작가, 모더니즘작가, 상상주의, ...
낭만주의
낭만주의에 대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