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하는 두 지름으로 사분하여 사분한 시료 중 마주보는 대각방향의 것 2개만을 시료로 채취한다.
- 단, 남아 있는 시료가 시험에 필요한 양의 2배 이상 될 경우에는 다시 분취한다.
② 시료분취기에 의한 법
- 시료분취기는 잔골재용과 굵은골재용이 있으며 분취기의 밑은 서로 엇갈리는 두 개의 구멍으로 되어 있어 골재가 두 방향으로 분리되어 떨어진다.
- 이런 시료분취기에 넣어서 이등분된 시료중 한쪽에 대해서만 시험을 한다.
- 단, 이등분된 시료가 시험에 필요한 양보다 많을 경우에는 다시 시료분취기에 넣어서 필요한 양이 될 때까지 분할한다.
3. 굵은 골재 와 잔골재(건축공사 표준시방서)
① 굵은 골재 : 체 규격 5mm체에서 중량비로 85% 이상 남는 골재
② 잔골재 : 체 규격 5mm체에서 중량비로 85% 이상 통과하는 골재
4. 건축공사 표준시방서에 의한 잔골재 표준입도는 [표.3], 굵은 골재 표준입도는 [표.4]와 같다.
7.고 찰
시험하기 전 채 망 쪽에 혹시나 다른 골재가 끼어있진 않을까 꼼꼼히 살펴보았고 체의 무게를 측정할 때도 흔들림 없이 정확하게 재어 정확한 결과 값을 얻기 위해 노력하였다. 체의 무게를 측정하고 잔골재를 부어 체진동기에 넣어 1분간 흔들어주었다. 채를 다 다지고 주의해야 할 점은 채를 흔들리지 않게 하는 게 정확한 값을 얻기 위한 관건이었던 것 같다. 하지만 채가 생각보다 잘빠지지 않아 많이 흔들릴까봐 애를 많이 썼던 게 생각난다.
채의 하나하나 걸러진 골재를 보며 크기별로 분리가 잘되었었다.
걸리진 채에다가 다시 무게를 측정하여 시료의 중량을 하나하나 측정해 나아갔다.
- 단, 남아 있는 시료가 시험에 필요한 양의 2배 이상 될 경우에는 다시 분취한다.
② 시료분취기에 의한 법
- 시료분취기는 잔골재용과 굵은골재용이 있으며 분취기의 밑은 서로 엇갈리는 두 개의 구멍으로 되어 있어 골재가 두 방향으로 분리되어 떨어진다.
- 이런 시료분취기에 넣어서 이등분된 시료중 한쪽에 대해서만 시험을 한다.
- 단, 이등분된 시료가 시험에 필요한 양보다 많을 경우에는 다시 시료분취기에 넣어서 필요한 양이 될 때까지 분할한다.
3. 굵은 골재 와 잔골재(건축공사 표준시방서)
① 굵은 골재 : 체 규격 5mm체에서 중량비로 85% 이상 남는 골재
② 잔골재 : 체 규격 5mm체에서 중량비로 85% 이상 통과하는 골재
4. 건축공사 표준시방서에 의한 잔골재 표준입도는 [표.3], 굵은 골재 표준입도는 [표.4]와 같다.
7.고 찰
시험하기 전 채 망 쪽에 혹시나 다른 골재가 끼어있진 않을까 꼼꼼히 살펴보았고 체의 무게를 측정할 때도 흔들림 없이 정확하게 재어 정확한 결과 값을 얻기 위해 노력하였다. 체의 무게를 측정하고 잔골재를 부어 체진동기에 넣어 1분간 흔들어주었다. 채를 다 다지고 주의해야 할 점은 채를 흔들리지 않게 하는 게 정확한 값을 얻기 위한 관건이었던 것 같다. 하지만 채가 생각보다 잘빠지지 않아 많이 흔들릴까봐 애를 많이 썼던 게 생각난다.
채의 하나하나 걸러진 골재를 보며 크기별로 분리가 잘되었었다.
걸리진 채에다가 다시 무게를 측정하여 시료의 중량을 하나하나 측정해 나아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