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본문내용
◆ 의료 환경 변화와 마케팅 패러다임 1 ◆
1. 의료 수요 요인의 변화
- 인구 구조의 노령화 - 65세 인구비율 : 5%(’90) => 7.2%(2002년) => 10.7% (2010년) => 15.1% (2020년)
- 질병구조의 변화 [산업 구조에 따른 환경, 시대 흐름에 따라 새로운 질환이 발생한다]
- 보건의료인식의 변화 : 치료중심 => 조기진단, 건강상담, 건강증진 [예방, 보호 기능이 강화 되고 있음]
- 의료서비스 요구의 고급화 [최근 환자의 경우 진료만을 목적으로 하지 않으며, 접점별 서비스에도 많은 기대를 하며 병원을 방문한다.]
- 보건의료서비스 이용의 변화 - 전국민의료보험 적용 이후 급격한 증가 : 연간 1인당 외래방문 회수 보험이전 1회, => 2002년 연 10.6회
- 만성퇴행성질환의 증가에 따른 이용증가 – 이용량의 절대적인 증가, 수용성격의 입원수요 증가
2. 의료 공급 요인의 변화
- 보건 의료 인력 공급의 변화 (양적 증가, 대도시 집중화 현상 발생)
2000년 인구 10만 명당 의사 136명 => 2010년 인구 10만 명당 의사 174명 (27.9% 증가)
치과의사 32명 => 치과의사 42명
간호사 198명 => 간호사 303명
약사 62명 => 약사 66명
- 보건의료시설 공급의 변화
병원 수 : 2002년 975개소 (1980년의 2.8배)
병상 수 : 2002년 21만병상 (1980년의 3.4배) – 병상수는 지속적 증가 추세
병원 당 병상수 : 2002년 215병상 (1980년 보다 95% 증가)
민간공급의 증가 : 병원급 이상 시설의 89% 정도
양적 증가, 대도시 집중화 현상 발생
3. 사회/경제적 요인의 변화
- 산업구조의 변화 : 80년대 산업사회 => 90년대 후기산업사회 => 2000년대 지식정보산업사회
산업구조의 변화는 질환, 질병 구조의 변화 요인으로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 사회체계의 변화 : 다원화, 개방화, 민주화, 정보화, 핵가족화등의 사회 체게 변화에 따른 병원 기능의 다원화를 요구하고 있다.
- 경제 수준의 향상 : IMF 체제극복, 기업 구조조정 등 선진국 진입과정의 경제 조정기
- 의료시장 개방 : WTO 양허협상 (2005년 1월), 2006년 적용
- 의료 사보험 시장 도입 : 병원의 기업 교섭력 약화, 기업의 병원 교섭력 증대
- 의료에 관한 권리의식 팽배 : 전국민의료보험 이후 권리의식 보편화 => 의료분쟁 및 소송증가 (시민의식 증가)
1. 의료 수요 요인의 변화
- 인구 구조의 노령화 - 65세 인구비율 : 5%(’90) => 7.2%(2002년) => 10.7% (2010년) => 15.1% (2020년)
- 질병구조의 변화 [산업 구조에 따른 환경, 시대 흐름에 따라 새로운 질환이 발생한다]
- 보건의료인식의 변화 : 치료중심 => 조기진단, 건강상담, 건강증진 [예방, 보호 기능이 강화 되고 있음]
- 의료서비스 요구의 고급화 [최근 환자의 경우 진료만을 목적으로 하지 않으며, 접점별 서비스에도 많은 기대를 하며 병원을 방문한다.]
- 보건의료서비스 이용의 변화 - 전국민의료보험 적용 이후 급격한 증가 : 연간 1인당 외래방문 회수 보험이전 1회, => 2002년 연 10.6회
- 만성퇴행성질환의 증가에 따른 이용증가 – 이용량의 절대적인 증가, 수용성격의 입원수요 증가
2. 의료 공급 요인의 변화
- 보건 의료 인력 공급의 변화 (양적 증가, 대도시 집중화 현상 발생)
2000년 인구 10만 명당 의사 136명 => 2010년 인구 10만 명당 의사 174명 (27.9% 증가)
치과의사 32명 => 치과의사 42명
간호사 198명 => 간호사 303명
약사 62명 => 약사 66명
- 보건의료시설 공급의 변화
병원 수 : 2002년 975개소 (1980년의 2.8배)
병상 수 : 2002년 21만병상 (1980년의 3.4배) – 병상수는 지속적 증가 추세
병원 당 병상수 : 2002년 215병상 (1980년 보다 95% 증가)
민간공급의 증가 : 병원급 이상 시설의 89% 정도
양적 증가, 대도시 집중화 현상 발생
3. 사회/경제적 요인의 변화
- 산업구조의 변화 : 80년대 산업사회 => 90년대 후기산업사회 => 2000년대 지식정보산업사회
산업구조의 변화는 질환, 질병 구조의 변화 요인으로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 사회체계의 변화 : 다원화, 개방화, 민주화, 정보화, 핵가족화등의 사회 체게 변화에 따른 병원 기능의 다원화를 요구하고 있다.
- 경제 수준의 향상 : IMF 체제극복, 기업 구조조정 등 선진국 진입과정의 경제 조정기
- 의료시장 개방 : WTO 양허협상 (2005년 1월), 2006년 적용
- 의료 사보험 시장 도입 : 병원의 기업 교섭력 약화, 기업의 병원 교섭력 증대
- 의료에 관한 권리의식 팽배 : 전국민의료보험 이후 권리의식 보편화 => 의료분쟁 및 소송증가 (시민의식 증가)
키워드
추천자료
(환경오염) 토양오염의 실태와 토양오염 관련 정책의 문제점 및 해결책
마케팅관리론 요약정리
의료사회사업의 현황과 과제
의료 사회복지 연구
(의료사회복지) 의료사회복지의 개념과 활동 및 문제점과 개선방안, 그리고 전망 (A+대박 레...
급식서비스의 질 향상을 위한 효과적인 배식 및 서비스관리
의료사회복지사 직무 이해하기
의료사회복지역사
[정보화 평가][행정정보화][병원행정][지방자치단체행정][지방행정]행정정보화 평가의 의의, ...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과 대인관계 조사연구
[편입] 고려대학교 보건행정(保健行政)학과 / 고려대학교 보건정책관리학부 (구 보건행정학과...
(1) 건강관리조직(예: 병원)이 갖는 특성들을 설명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