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mL
미지 액체 시료의 밀도
0.7949 g/mL
0.7912 g/mL
0.7851 g/mL
미지 액체 시료의 평균 밀도
0.7904 g/mL
미지 액체 시료의 밀도(참값)
0.789 g/mL
절대 오차
0.0014 g/ml
상대 오차
0,14 %
3. 미지 고체 시료의 밀도(알루미늄)
1차 측정
2차 측정
3차 측정
고체 시료의 질량
19.846 g
20.326 g
20.243 g
증류수의 부피
30.0 mL
30.0 mL
30.0 mL
증류수+고체 시료의 부피
37.4 mL
37.5 mL
37.9 mL
고체 시료의 부피
7.4 mL
7.5 mL
7.9 mL
고체 시료의 밀도
2.6819 g/mL
2.7101 g/mL
2.5624 g/mL
고체 시료의 평균 밀도
2.6515 g/mL
고체 시료의 밀도(참값)
2.70 g/mL
절대 오차
0.0485 g/mL
상대 오차
4.85 %
6.결론
물질의 질량과 부피를 측정하고 주어진 온도에서 액체와 고체의 밀도를 측정 하였다.
증류수와 미지 액체 시료에서는 오차가 적게 나왔지만, 미지 고체 시료에서는 오차의 범위가 크게 나왔다. 그 이유는 실린더에 미지 고체 시료를 넣었을 때 증류수가 실린더에 안 튀도록 핀셋으로 비스듬히 넣지 않아서 실린더에 증류수 방울이 묻어 정확한 고체 시료의 부피를 측정하지 못해서 인거 같았다.
따라서, 오차를 줄이기 위해서는 증류수가 실런더에 튀지 않도록 비스듬히 기울여서 넣는 다면 이번 결과보다 오차 더 많이 줄 일수 있을꺼 같다.
7. 참고문헌
김현주·이은주 공저, 핵심 일반화학 실험, 자유 아카데미, 2011년 2월, 47~53p
미지 액체 시료의 밀도
0.7949 g/mL
0.7912 g/mL
0.7851 g/mL
미지 액체 시료의 평균 밀도
0.7904 g/mL
미지 액체 시료의 밀도(참값)
0.789 g/mL
절대 오차
0.0014 g/ml
상대 오차
0,14 %
3. 미지 고체 시료의 밀도(알루미늄)
1차 측정
2차 측정
3차 측정
고체 시료의 질량
19.846 g
20.326 g
20.243 g
증류수의 부피
30.0 mL
30.0 mL
30.0 mL
증류수+고체 시료의 부피
37.4 mL
37.5 mL
37.9 mL
고체 시료의 부피
7.4 mL
7.5 mL
7.9 mL
고체 시료의 밀도
2.6819 g/mL
2.7101 g/mL
2.5624 g/mL
고체 시료의 평균 밀도
2.6515 g/mL
고체 시료의 밀도(참값)
2.70 g/mL
절대 오차
0.0485 g/mL
상대 오차
4.85 %
6.결론
물질의 질량과 부피를 측정하고 주어진 온도에서 액체와 고체의 밀도를 측정 하였다.
증류수와 미지 액체 시료에서는 오차가 적게 나왔지만, 미지 고체 시료에서는 오차의 범위가 크게 나왔다. 그 이유는 실린더에 미지 고체 시료를 넣었을 때 증류수가 실린더에 안 튀도록 핀셋으로 비스듬히 넣지 않아서 실린더에 증류수 방울이 묻어 정확한 고체 시료의 부피를 측정하지 못해서 인거 같았다.
따라서, 오차를 줄이기 위해서는 증류수가 실런더에 튀지 않도록 비스듬히 기울여서 넣는 다면 이번 결과보다 오차 더 많이 줄 일수 있을꺼 같다.
7. 참고문헌
김현주·이은주 공저, 핵심 일반화학 실험, 자유 아카데미, 2011년 2월, 47~53p
추천자료
단열재[heat insulating material, 斷熱材]
[계측 및 신호처리] 유량 측정
에너지 시스템
수소에너지에 대하여
상대성 이론 및 상대론적 우주론
[유체역학] 『Euler(오일러)의 연속방정식과 운동방정식』에 대하여
액체연료 (연소시스템)
M/D/PEET대비 일반화학 필수 정리!!!!
유체역학 (중간, 기말) 예상문제
[일반화학실험] 단증류 실험
유기화학실험 결과Report - Musk Xylene
알루미나 소결실험
[신소재공학실험] 소결온도에 따른 주석(Sn)의 특성변화 측정
일반화학 10판 솔루션 레이먼드 창 교재정리 및 문제 5-8장 - 기체 & 열화학 & 양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