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과를 분석해보자. 구심력을 구하는 식에서 구심력의 크기는 반지름의 크기에 반비례하므로 축의 값이 이라면 그래프는 이론적으로는 반비례 그래프가 나와야한다. 하지만 실험결과를 살펴보면 회전반경이 증가할수록 구심력의 크기도 같이 증가해버렸다. 즉 실험을 정확히 측정해지 못했다.
3) 토의 및 건의사항
먼저 모든 실험에서 나온 값들을 토대로 이론식인 에 대입해보았을 때 전부 약간의 오차가 생긴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오차가 생기는 원인에 대해서 생각해보자.
우선 구심력을 측정하는 구심력장치가 회전 할 때 DC 전압의 값이 올라갈 수록 책상이 흔들리는 진동의 강도가 점점 증가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이는 실제 등속원운동하는 상황과는 다른 상황이 초래되므로 구심력측정기가 구심력을 측정할 때 비교적 정확하게 측정하지 못하는 원인이 되었을 것이다.
앞서 살펴본 회전하면서 생긴 진동에 의해 회전운동의 비균일성이 증가하게 되었고 또 회전운동축과 지표면의 평행성의 문제도 더불어 커지게 되므로 오차의 범위가 더 커지게되는 원인이 된다. 또 유동질량을 고정시켜주는 실이 실제로는 굉장히 팽팽하여야 하지만 회전을 하면서 느슨해지면서 정확한 실험결과를 얻지 못하는 원인이 되었다.
3) 토의 및 건의사항
먼저 모든 실험에서 나온 값들을 토대로 이론식인 에 대입해보았을 때 전부 약간의 오차가 생긴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오차가 생기는 원인에 대해서 생각해보자.
우선 구심력을 측정하는 구심력장치가 회전 할 때 DC 전압의 값이 올라갈 수록 책상이 흔들리는 진동의 강도가 점점 증가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이는 실제 등속원운동하는 상황과는 다른 상황이 초래되므로 구심력측정기가 구심력을 측정할 때 비교적 정확하게 측정하지 못하는 원인이 되었을 것이다.
앞서 살펴본 회전하면서 생긴 진동에 의해 회전운동의 비균일성이 증가하게 되었고 또 회전운동축과 지표면의 평행성의 문제도 더불어 커지게 되므로 오차의 범위가 더 커지게되는 원인이 된다. 또 유동질량을 고정시켜주는 실이 실제로는 굉장히 팽팽하여야 하지만 회전을 하면서 느슨해지면서 정확한 실험결과를 얻지 못하는 원인이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