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험목적
2. 이 론
3. 실험기구 및 장치
4. 실험방법
2. 이 론
3. 실험기구 및 장치
4. 실험방법
본문내용
는 변화가 있는가?
⑨ 이번에는 강압기를 구성하기 위해 파워앰프의 출력단자를 2차코일 단자에 연결하고 전압센서를 1차코일에 연결한다.
⑩ 신호발생기의 설정을 AC 2V로 바꾸고 나머지는 그대로 놔둔다.
⑪ 위의 실험방법과 마찬가지로 실험하여 전압의 변화를 관찰하고 데이타 섹션에 기록한다. 왜, 외부 코일이 1차코일로 사용될때 강압되는 전압 비율은 내부코일이 1차코일로 사용된 승압기의 승압비율 보다 많은 차이를 보이는가?
⑫ 내부 코어막대를 뺄때 2차전압은 어떠한가? 변화가 있는가? 변화가 있다면 그 이유는 무엇인가? 승압기의 경우 코어막대를 뺄 경우와 어떻게 다른가? 왜 이 실험에서는 직류(DC)전압 대신 교류(AC)전압을 사용했을까? 만약 직류를 사용한다면 어떻게 유도전압을 만들어낼수 있을까?
⑨ 이번에는 강압기를 구성하기 위해 파워앰프의 출력단자를 2차코일 단자에 연결하고 전압센서를 1차코일에 연결한다.
⑩ 신호발생기의 설정을 AC 2V로 바꾸고 나머지는 그대로 놔둔다.
⑪ 위의 실험방법과 마찬가지로 실험하여 전압의 변화를 관찰하고 데이타 섹션에 기록한다. 왜, 외부 코일이 1차코일로 사용될때 강압되는 전압 비율은 내부코일이 1차코일로 사용된 승압기의 승압비율 보다 많은 차이를 보이는가?
⑫ 내부 코어막대를 뺄때 2차전압은 어떠한가? 변화가 있는가? 변화가 있다면 그 이유는 무엇인가? 승압기의 경우 코어막대를 뺄 경우와 어떻게 다른가? 왜 이 실험에서는 직류(DC)전압 대신 교류(AC)전압을 사용했을까? 만약 직류를 사용한다면 어떻게 유도전압을 만들어낼수 있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