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만 3세 유아의 물활론적 사고, 인공론적 사고, 전환적 추론 조사
1. 대상 : 오현서(여), 2007년 8월 8일 생.
2. 주된 관찰 내용
3. 대상 : 이채우(남) 2007년 10월 1일 생.
4. 주된 관찰 내용
1. 만 3세 유아의 물활론적 사고 경향
1) 친근한 대상의 물활론적 사고 경향
2) 비 친근한 대상의 물활론적 사고 경향
2. 성별에 따른 물활론적 사고 경향
1) 친근한 대상의 물활론적 사고 경향
2) 비 친근한 대상의 물활론적 사고 경향
3. 인공론적 사고 경향
4. 전환적 추론
1. 대상 : 오현서(여), 2007년 8월 8일 생.
2. 주된 관찰 내용
3. 대상 : 이채우(남) 2007년 10월 1일 생.
4. 주된 관찰 내용
1. 만 3세 유아의 물활론적 사고 경향
1) 친근한 대상의 물활론적 사고 경향
2) 비 친근한 대상의 물활론적 사고 경향
2. 성별에 따른 물활론적 사고 경향
1) 친근한 대상의 물활론적 사고 경향
2) 비 친근한 대상의 물활론적 사고 경향
3. 인공론적 사고 경향
4. 전환적 추론
본문내용
. 전환적 추론
유아기에는 전개념적 사고의 한계 때문에 귀납적 추론이나 연역적 추론을 하지 못하고 전환적 추론을 하게 된다. 즉 한 특정 사건으로부터 다른 특정 사건을 추론하는 것이다. 가령, ‘자기가 동생을 미워해서 동생이 아프게 되었다’고 생각하는 것처럼, 두 현상 간에 아무런 관계가 없는데도 인과관계가 있는 것으로 생각하는 것이다(정옥분, 2011).
본 결과에서는 ‘선생님이니까 착하다’는 응답이 나와 전환적 추론을 하는 경향이 있는 경우도 있었지만, 대부분 ‘사진을 찍어주니까, 자기를 사랑해주니까, 자기를 칭찬하고 자랑해주니까, 혼내지 않으니까 착하다’ 등의 답변이 제시되었다. 구체적 이유를 통해 착하다라는 명제를 끌어내는 것으로 보아, 전환적 추론 사고 경향이 감소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유아기에는 전개념적 사고의 한계 때문에 귀납적 추론이나 연역적 추론을 하지 못하고 전환적 추론을 하게 된다. 즉 한 특정 사건으로부터 다른 특정 사건을 추론하는 것이다. 가령, ‘자기가 동생을 미워해서 동생이 아프게 되었다’고 생각하는 것처럼, 두 현상 간에 아무런 관계가 없는데도 인과관계가 있는 것으로 생각하는 것이다(정옥분, 2011).
본 결과에서는 ‘선생님이니까 착하다’는 응답이 나와 전환적 추론을 하는 경향이 있는 경우도 있었지만, 대부분 ‘사진을 찍어주니까, 자기를 사랑해주니까, 자기를 칭찬하고 자랑해주니까, 혼내지 않으니까 착하다’ 등의 답변이 제시되었다. 구체적 이유를 통해 착하다라는 명제를 끌어내는 것으로 보아, 전환적 추론 사고 경향이 감소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