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아의 정신 병리와 심리적 지배양식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자아의 정신 병리와 심리적 지배양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대상관계의 형성과 사회적 구조화(외디푸스化): 권력자와의 동일시

2) 외디푸스적 주체형성: 성적 권력과 사회적 권력의 접합

3) 권력으로 매개된 사회관계 비판과 그 복원의 논리

4) 모더니티와 제도적 지배양식

5) 포스트모더니티와 심리적 지배양식

6) 자아의 정신병리; ‘비성찰적 자기’ 또는 ‘분열된 자기’

7) 일상생활의 정치 : 정신보건의 목표

참고문헌

본문내용

착으로서 ‘원초적 사랑’
- 자아이상에 입각하여 투사된 대상성을 지속하는 편집증적 사랑(투사적 사랑)
- 상징적 질서에 통합적인 사랑으로서 기표로서의 남근추구적 사랑(권력물신주의)
사랑은 대상성만을 추구하는 것은 사랑이 아니라 욕망이고 주체성에 관여한다. 상징적 질서에 대해 탈존적인 사랑으로서 주체성에 대한 사랑은 상실
7) 일상생활의 정치 : 정신보건의 목표
외디푸스화된 사회, 또는 남근권력으로 구조화된 사회에서, 사랑은 권력추구에 의해 매개된다는 사실이 중요함. 이에 대한 비판이 정신보건의 과제임 - 현대적 심리적 지배양식에 저항하는 새로운 ‘연대’의 구축을 위한 기초
참고문헌
1. 임창재(2002),「정신 위생 심리」, 형설출판사.
2. 조수환(1998), 「건강한 삶을 위한 정신 위생」, 동문사.
3. 이현수(2001), 「성격과 행동」, 학지사.
4. 노안영, 강영신(2003), 「성격 심리학」, 학지사.
5. 김언주, 구광현(1998), 「신교육심리학」, 문음사.
6. 김태련, 장휘숙(1993), 「발달심리학」, 박영사.
7. 민영순(1994), 「교육심리학」. 문음사.
8. 이상로, 이관용 공역(1985), 「성격의 이론」, 중앙적성출판사
  • 가격2,3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12.05.11
  • 저작시기2012.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4564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