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
81
-
82
-
83
-
84
-
85
-
86
-
87
-
88
-
89


목차
제1장 사회복지실천과 실천기술론
제2장 사회복지사와 사회복지실천기술
제3장 사회복지실천의 기초기술
제4장 정신역동모델
제5장 심리사회모델
제6장 인지행동모델
제7장 과제중심모델
제8장 위기개입모델
제9장 사례관리모델
제10장 사회복지실천의 대상별 접근1: 개인대상 사회복지실천
제11장 사회복지실천의 대상별 접근2: 가족 대상 사회복지실천
제12장 사회복지실천의 대상별 접근3: 집단 대상 사회복지실천
제13장 지역사회복지
제14장 사회복지실천의 기록, 평가, 종결
제15장 한국의 사회복지와 실천
- 각 장별 출제예상문제(해설 포함)
제2장 사회복지사와 사회복지실천기술
제3장 사회복지실천의 기초기술
제4장 정신역동모델
제5장 심리사회모델
제6장 인지행동모델
제7장 과제중심모델
제8장 위기개입모델
제9장 사례관리모델
제10장 사회복지실천의 대상별 접근1: 개인대상 사회복지실천
제11장 사회복지실천의 대상별 접근2: 가족 대상 사회복지실천
제12장 사회복지실천의 대상별 접근3: 집단 대상 사회복지실천
제13장 지역사회복지
제14장 사회복지실천의 기록, 평가, 종결
제15장 한국의 사회복지와 실천
- 각 장별 출제예상문제(해설 포함)
본문내용
제2장 사회복지사와 사회복지실천기술
1. 사회복지사의 정체성
(1) 사회사업(social + work)
① social
- 브랙킷은 1900년에 ‘social’라는 용어가 전문직 명칭의 한부분이라고 주장
- ‘social’은 가족성원, 이웃, 지역사회 등의 권력과 사람들의 상호작용에 초점
② work
- work는 전문적인 실천과 자선적 활동을 구별하기 위해 첨가
- 책임과 훈련을 강조하는 전문직을 의미함
③ 사회복지는 사회문제에 초점을 둔 훈련과정을 통하여 원조기법을 적용하는 전문직
(2) 사회복지라는 직업(다양한 영역의 전문직)
① 사회복지직은 모든 사람들의 삶의 질 향상을 돕도록 재가 된 여러 가지 인간서비스 전문직 중의 하나
② 복잡하고 변화하는 사회에서 필수불가결한 전문직임
③ 사회복지직은 다양하고 많은 유형의 실천현장에서 많은 사람들을 광범위한 영역에서 만나는 직업
④ 사회복지직의 독특성
- 사회적 기능에 초점을 두고, 사람들의 환경과 서로 상호작용하도록 사람들을 돕는 것을 강조
- 사회적 기능상의 문제를 해결하도록 돕고, 문제의 발생을 예방하고 치료하는 과정에서 사회적 변화를 시도하는 가장 잘 준비된 전문직
⑤ 전문직으로서의 사회복지
- 과학적이고 가치적인 기반을 가진 예술
- 사회복지는 따뜻한 가슴과 차가운 머리 모두를 갖고 있음
- 따라서 예술없는 지식기반과 지식없는 예술성은 모두 문제임
(3) 예술가로서의 사회복지사
① 예술: 직관적인 능력을 발휘함으로써 발생하는 기술
② 사회복지실천은 예술적 요소를 갖고 있음
- 사회복지실천은 직관적인 기술이 필요
- 사회복지예술의 구성요소: 동정과 인간의 고통에 직면하는 용기, 의미있고 생산적인 원조관계를 수립하는 능력, 변화에 대한 장벽을 극복하는 창의성, 변화과정에 에너지와 희망을 불어넣는 능력, 건전한 판단력의 발휘, 적합한 개인적 가치들, 효과적인 전문가 스타일의 형성 등
③ 사회복지 전문가 교육과정에서 개인의 예술과 전문직의 과학을 융합하려고 하지만, 예술적 능력을 가르칠 수는 없음
(4) 과학자로서의 사회복지사
① 과학: 이론적인 설명과 현상에 대한 객관적인 확인, 서술, 실험적 조사로 규정
② 사회복지학은 과학이지만, 순수과학이 아닌 응용과학
- 의사가 생물학자의 발견을 활용하고, 엔지니어가 물리학을 응용하듯이 사회복지사도 과학의 발견을 활용하는 것
- 과학자의 우선적 목적이 이해하는 것이라면, 기술자의 목적은 어떤 유형의 변화를 초래하는 것
③ 사회복지학은 계량화가 어렵고, 클라이언트의 비밀보장 등의 난점이 있고, 윤리적인 문제 등이 있음
④ 실천지혜, 가치, 신념 등의 요소가 고려되는 가운데 사회복지 전문직의 지식과 과학화 노력을 경주해야 함
2. 사회복지전문직의 정체성
(1) 전문직의 개념과 사회복지사의 전문성
① 전문직: 체계적 이론, 권위, 지역사회의 재가, 윤리강령, 고유문화를 가지고 있어야 함(Greenwood)
② 사회복지사가 전문적인 이유
- 사회복지사들은 신념체계, 가치 ․ 윤리적 원칙을 가지며, 사회복지영역에서 공통적인 사회적 기능에 초점
- 교육과 경험을 통해 사회복지사는 실천지혜와 자신의 개인적 특성, 특정재능, 클라이언트를 돕는 독특한 스타일 발전시킴
- 사회복지사는 사회과학, 행동과학에서 원용된 지식 기반을 겸비
- 중략
1. 사회복지사의 정체성
(1) 사회사업(social + work)
① social
- 브랙킷은 1900년에 ‘social’라는 용어가 전문직 명칭의 한부분이라고 주장
- ‘social’은 가족성원, 이웃, 지역사회 등의 권력과 사람들의 상호작용에 초점
② work
- work는 전문적인 실천과 자선적 활동을 구별하기 위해 첨가
- 책임과 훈련을 강조하는 전문직을 의미함
③ 사회복지는 사회문제에 초점을 둔 훈련과정을 통하여 원조기법을 적용하는 전문직
(2) 사회복지라는 직업(다양한 영역의 전문직)
① 사회복지직은 모든 사람들의 삶의 질 향상을 돕도록 재가 된 여러 가지 인간서비스 전문직 중의 하나
② 복잡하고 변화하는 사회에서 필수불가결한 전문직임
③ 사회복지직은 다양하고 많은 유형의 실천현장에서 많은 사람들을 광범위한 영역에서 만나는 직업
④ 사회복지직의 독특성
- 사회적 기능에 초점을 두고, 사람들의 환경과 서로 상호작용하도록 사람들을 돕는 것을 강조
- 사회적 기능상의 문제를 해결하도록 돕고, 문제의 발생을 예방하고 치료하는 과정에서 사회적 변화를 시도하는 가장 잘 준비된 전문직
⑤ 전문직으로서의 사회복지
- 과학적이고 가치적인 기반을 가진 예술
- 사회복지는 따뜻한 가슴과 차가운 머리 모두를 갖고 있음
- 따라서 예술없는 지식기반과 지식없는 예술성은 모두 문제임
(3) 예술가로서의 사회복지사
① 예술: 직관적인 능력을 발휘함으로써 발생하는 기술
② 사회복지실천은 예술적 요소를 갖고 있음
- 사회복지실천은 직관적인 기술이 필요
- 사회복지예술의 구성요소: 동정과 인간의 고통에 직면하는 용기, 의미있고 생산적인 원조관계를 수립하는 능력, 변화에 대한 장벽을 극복하는 창의성, 변화과정에 에너지와 희망을 불어넣는 능력, 건전한 판단력의 발휘, 적합한 개인적 가치들, 효과적인 전문가 스타일의 형성 등
③ 사회복지 전문가 교육과정에서 개인의 예술과 전문직의 과학을 융합하려고 하지만, 예술적 능력을 가르칠 수는 없음
(4) 과학자로서의 사회복지사
① 과학: 이론적인 설명과 현상에 대한 객관적인 확인, 서술, 실험적 조사로 규정
② 사회복지학은 과학이지만, 순수과학이 아닌 응용과학
- 의사가 생물학자의 발견을 활용하고, 엔지니어가 물리학을 응용하듯이 사회복지사도 과학의 발견을 활용하는 것
- 과학자의 우선적 목적이 이해하는 것이라면, 기술자의 목적은 어떤 유형의 변화를 초래하는 것
③ 사회복지학은 계량화가 어렵고, 클라이언트의 비밀보장 등의 난점이 있고, 윤리적인 문제 등이 있음
④ 실천지혜, 가치, 신념 등의 요소가 고려되는 가운데 사회복지 전문직의 지식과 과학화 노력을 경주해야 함
2. 사회복지전문직의 정체성
(1) 전문직의 개념과 사회복지사의 전문성
① 전문직: 체계적 이론, 권위, 지역사회의 재가, 윤리강령, 고유문화를 가지고 있어야 함(Greenwood)
② 사회복지사가 전문적인 이유
- 사회복지사들은 신념체계, 가치 ․ 윤리적 원칙을 가지며, 사회복지영역에서 공통적인 사회적 기능에 초점
- 교육과 경험을 통해 사회복지사는 실천지혜와 자신의 개인적 특성, 특정재능, 클라이언트를 돕는 독특한 스타일 발전시킴
- 사회복지사는 사회과학, 행동과학에서 원용된 지식 기반을 겸비
- 중략
키워드
추천자료
[사회복지실천기술론]집단사회복지실천 요약정리
[사회복지실천기술론]사회복지실천 기법과 지침
(사회복지실천기술론) 사회복지실천모델 별 주요 개입기술 정리 보고서
[사회복지실천기술론] 사회복지실천기술에서 면접의 기초기술에 대하여 설명 (면접기술)
[사회복지실천기술론] 개인중심 사회복지실천기술 - 전문적인 원조관계 (전문적 원조관계 형...
[사회복지실천기술론] 사회복지실천 과정론 - 인테이크, 자료 수집 및 사정, 목표 설정 및 계...
[사회복지실천기술론] 가치와 윤리에 관하여 설명하고 사회복지실천 현장에서 일어날 수 있는...
[사회복지실천기술론] Biestek이 제시한 개별사회사업 관계형성의 7대 원칙을 제시, 7가지 원...
[사회복지실천기술론] 심리사회모델의 주요개념과 실천절차에 대하여 설명하고 이 모델을 현...
[사회복지실천기술론]가족사정 및 개입방법의 실천이해 1) 사회복지에서 가족개입의 중요성 ...
사회복지실천기술론)사회복지실천기술의 내용중 개입 차원(미시적 중범위적 거시적 차원의 기...
사회복지실천기술론 ) 사회복지실천 현장에 대하여 설명하고 그 중 본인이 가장 관심있어하는...
사회복지실천기술론 ) 사회복지 실천의 관계론과 면담론에 대하여 논하시오
사회복지실천기술론)사회복지실천에 있어 인지행동모델에 대하여 기술하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