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험 제목
(2) 실험 목적
(3) 실험 원리
(4) 실험 재료
(5) 실험 방법
(6) 실험결과
(7) 고찰 및 토의
(2) 실험 목적
(3) 실험 원리
(4) 실험 재료
(5) 실험 방법
(6) 실험결과
(7) 고찰 및 토의
본문내용
아 RNase가 첨가된 TE buffer로 DNA를 녹인것.
3. 제한효소 BamHI으로 plasmid를 자른것. (control)
1번은 2~2.5kbp에서부터 아래로 길게 주욱 늘어져 있는 모양이고, 2번은 2kbp와 2.5kbp사이에(2kbp에 더 가깝다), 3번은 3kbp에 아주 희미하게(사진상으론 보이지 않는다. 모니터 돌려가며 간신히 찾아냈음..;;) 나타났다.
(7) 고찰 및 토의
이번 실험에서는 사진상의 레더들이 잘 보이지 않아서 결과를 측정하는데 어려움이 많았다. 처음에 봤을 때는 2, 3번의 위치가 아예 보이지 않는 줄 알고 당황했는데, 자세히 관찰한 결과 희미하게 밴드가 확인되었다.
1번의 플라스미드에 TE버퍼를 첨가한 것은 아래로 길게 주욱 늘어져 있는데 이것은 원심분리 후에도 남아있는 다량의 단백질과 RNA들이 포함되어있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2번의 경우에는 1번에다가 RNase를 첨가한 것으로 1번과는 달리 질질끌려 내려온 흔적이 보이지 않는데 이것은 RNase에 의해 포함되어있던 RNA들이 제거된 결과로 보인다.
2번과 3번의 사이즈를 보면 각각 밴드가 하나씩밖에 보이지 않으므로 2번은 2~2.5kbp, 3번은 약 3kbp로 제한효소를 첨가한 것이 더 크게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것은 제한효소를 첨가하기 전의 DNA형테는 Vector형태이지만 잘려지고 나면 linear형태로 변하기 때문에 잘렸을때의 DNA size가 더 크게 나타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실제로 우리가 사용한 pBluescript SKII(+)의 사이즈는 2.961kbp로 실험값과 거의 흡사하다.
3. 제한효소 BamHI으로 plasmid를 자른것. (control)
1번은 2~2.5kbp에서부터 아래로 길게 주욱 늘어져 있는 모양이고, 2번은 2kbp와 2.5kbp사이에(2kbp에 더 가깝다), 3번은 3kbp에 아주 희미하게(사진상으론 보이지 않는다. 모니터 돌려가며 간신히 찾아냈음..;;) 나타났다.
(7) 고찰 및 토의
이번 실험에서는 사진상의 레더들이 잘 보이지 않아서 결과를 측정하는데 어려움이 많았다. 처음에 봤을 때는 2, 3번의 위치가 아예 보이지 않는 줄 알고 당황했는데, 자세히 관찰한 결과 희미하게 밴드가 확인되었다.
1번의 플라스미드에 TE버퍼를 첨가한 것은 아래로 길게 주욱 늘어져 있는데 이것은 원심분리 후에도 남아있는 다량의 단백질과 RNA들이 포함되어있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2번의 경우에는 1번에다가 RNase를 첨가한 것으로 1번과는 달리 질질끌려 내려온 흔적이 보이지 않는데 이것은 RNase에 의해 포함되어있던 RNA들이 제거된 결과로 보인다.
2번과 3번의 사이즈를 보면 각각 밴드가 하나씩밖에 보이지 않으므로 2번은 2~2.5kbp, 3번은 약 3kbp로 제한효소를 첨가한 것이 더 크게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것은 제한효소를 첨가하기 전의 DNA형테는 Vector형태이지만 잘려지고 나면 linear형태로 변하기 때문에 잘렸을때의 DNA size가 더 크게 나타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실제로 우리가 사용한 pBluescript SKII(+)의 사이즈는 2.961kbp로 실험값과 거의 흡사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