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프란시스코 프랑코
2. 스페인 내전의 정당과 정치 단체들
3. 스페인내전
4. 프랑코정권
2. 스페인 내전의 정당과 정치 단체들
3. 스페인내전
4. 프랑코정권
본문내용
거치면서 파시즘을 정치이념으로 내세우게 되었다. 또한 종교적으로는 로마 카톨릭을 지지하였다. 정부의 조직은 스페인 의회를 바탕으로 하고 있었으나 정당 활동의 자유가 없었고 프랑코 스스로 종신 총리에 취임하여 권위주의적인 지배를 하였다.
1939년 9월 제2차 세계대전이 발발하고 1940년 6월 프랑스가 붕괴하자 스페인은 추축국 편에 서 독일에 해군력을 지원하였고 나치에 저항 군인과 탈출하던 군인들을 돌려보냈다. 이 대가로 나치는 상응할 만한 군력을 제공하여 내전 동안 폭탄을 지원했다. 아돌프 히틀러는 1940년 10월 23일 엔다예에서 만나 추축국에 스페인이 가담할 것인가에 대한 여부를 논의했고 프랑코 측은 식량과 군사 지원, 지브롤터, 프랑스령 북아프리카 등등의 광대한 요구 조건을 달아 어떤 합의도 이뤄지지 못했다. 프랑코는 1943년 독일의 우세가 꺾여 불리해지자 완전 중립으로 돌아섰다. 그러나 2차대전에 많으 병력을 동원하지 않은 쿠바 출신의 풀헨시오 바티스타는 스페인 프랑코 정권 붕괴를 위해 라틴아메리카-미국 연합을 제안했다.
전쟁이 끝나자 연합국 측은 스페인이 추축국의 편에 섰다는 이유로 국제 연합에 가입하려는 의사를 거부하였다. 프랑코 정부는 서방 국가들 뿐 아니라 소비에트 연방의 입장에서도 유럽의 파시즘 일로에 서있는 잔류 세력에 불과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프랑코 정부 비난 의결문이 통과되었고 결의안은 스페인 대사를 추방할 것을 요구하는 한편 각국 정부가 묵묵부답일 경우 불이익을 줄 방안도 강구했다. 2차 대전이후 고립되었다.
<참고문헌>
엔터니비버, 스페인내전 , 교양인, 2009
1939년 9월 제2차 세계대전이 발발하고 1940년 6월 프랑스가 붕괴하자 스페인은 추축국 편에 서 독일에 해군력을 지원하였고 나치에 저항 군인과 탈출하던 군인들을 돌려보냈다. 이 대가로 나치는 상응할 만한 군력을 제공하여 내전 동안 폭탄을 지원했다. 아돌프 히틀러는 1940년 10월 23일 엔다예에서 만나 추축국에 스페인이 가담할 것인가에 대한 여부를 논의했고 프랑코 측은 식량과 군사 지원, 지브롤터, 프랑스령 북아프리카 등등의 광대한 요구 조건을 달아 어떤 합의도 이뤄지지 못했다. 프랑코는 1943년 독일의 우세가 꺾여 불리해지자 완전 중립으로 돌아섰다. 그러나 2차대전에 많으 병력을 동원하지 않은 쿠바 출신의 풀헨시오 바티스타는 스페인 프랑코 정권 붕괴를 위해 라틴아메리카-미국 연합을 제안했다.
전쟁이 끝나자 연합국 측은 스페인이 추축국의 편에 섰다는 이유로 국제 연합에 가입하려는 의사를 거부하였다. 프랑코 정부는 서방 국가들 뿐 아니라 소비에트 연방의 입장에서도 유럽의 파시즘 일로에 서있는 잔류 세력에 불과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프랑코 정부 비난 의결문이 통과되었고 결의안은 스페인 대사를 추방할 것을 요구하는 한편 각국 정부가 묵묵부답일 경우 불이익을 줄 방안도 강구했다. 2차 대전이후 고립되었다.
<참고문헌>
엔터니비버, 스페인내전 , 교양인,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