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관개배수란?
관개배수의 용도
관개의 기원
관개의 필요한 요소
최초 관개 배수의 흔적
조선시대 이전
조선시대
* 수원 축만제
일제강점기
그 이후
문제점
전망
보의 역할
대청댐
정의
관개배수의 용도
관개의 기원
관개의 필요한 요소
최초 관개 배수의 흔적
조선시대 이전
조선시대
* 수원 축만제
일제강점기
그 이후
문제점
전망
보의 역할
대청댐
정의
본문내용
농업용수개발이 적극적으로 추진되어야 한다.
둘째, 수리시설물의 유지관리이다. 관개용수의 수리시설물 중에서 대표적인 저수지의 경우, 현재 1만 8161개 소 중에 약 55%인 9,925개 소가 1945년 이전에 설치되어 노후화 되었으므로 준설·제당 보강공사 등 개·보수 및 유지관리가 절실한 실정이다.
셋째, 토공수로의 현대화이다. 과거에는 용수로를 토공수로로 설치하는 것이 공사비 절감에 유리하였기 때문에 대부분 토공수로로 설치하였다. 그 예로서 수리시설이 잘 되어 있는 농지개량조합 관리구역의 경우 용수로 5만 4520㎞ 중 76%인 4만 1553㎞가 아직도 토공수로로 되어 있다.
그러나 토공수로는 넓은 농지를 차지할 뿐 아니라 손실수량이 많고 수로 내의 토사가 퇴적·매몰되고, 제방이 붕괴되거나 수초가 무성하여 매년 준설, 개·보수, 제초 등 유지관리에 많은 인력과 비용이 소요된다.
만일 이를 소홀히 취급하면 관개시기에 물 손실뿐만 아니라 말단부 급수 등에 많은 지장을 준다. 따라서 토공수로의 현대화를 위하여 콘크리트 구조물화가 시급한 실정이다.
넷째는 수질오염 문제이다. 관개용수는 그 수량과 함께 수질도 매우 중요하다. 그런데 1970년부터 금강 평택지구를 비롯하여 곳곳에 대단위 농업종합개발사업이 추진되면서 하구언을 설치하고 담수호를 조성하여 관개용수를 확보, 사용하게 되는데, 이들 담수호의 상류 하천의 유역에 공업단지와 축산단지 등이 조성되며 공장폐수, 축산하수, 농약오수 등 공해물질이 배출·유입되어 결국 담수호의 수질이 부영양화현상으로 오염되게 마련이다.
전망
수리시설 개·보수, 보충용수 개발, 신규용수 개발, 대단위 간척농지 개발, 농어촌생활용수 개발 및 밭용수 개발사업
개·보수 사업은 1만 4000개 소로서 수로규모가 큰 간선 흙수로를 구조물화하고 퇴적이 심한 저수지를 준설하는 사업이다. 보충용수 개발사업은 이미 수리시설이 설치되었으나 가뭄극복 능력이 부족한 42만㏊ 중 15만㏊에 대한 보완시설 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다.
신규용수 개발사업은 농업진흥지역으로서 아직 용수가 해결되지 않은 10만㏊를 2004년까지 완전한 수리답으로 개발할 계획이며, 대단위 간척사업을 통하여 5만㏊의 우량대체농지와 하구부분의 한해상습지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보의 역할
정의 - 보는 내 따위를 막은 작은 수리 시설을 말합니다.
일반적으로 수중보라고 한다. 강에 둑을 약간 잠기게 설치를 해서 물의 흐름 속도를 낮추는 시설입니다.
(하천이나 강에서 수위를 일정하게 하기 위해 하천에 설치하는 것입니다.)
즉, 물의 속도를 낮추고 물속에 있는 둑으로서 구분을 해주어 위 , 아래 물이 섞이지 않게 하는 시설입니다
대청댐
정의
대전광역시 대덕구 미호동에 있는 댐.
내용
금강 본류를 가로지른 댐으로 우안은 충청북도 청원군 문의면 덕유리에 속한다. 금강 하구부터 150㎞, 대전시 동북방 16㎞, 청주시 남방 16㎞에 있다. 1960년대에 실시한 4대 강 유역 조사 사업의 성과에 따라, 1970년대 초에 성안된 4대 강 유역 수자원 개발 계획의 일환으로 1975년 3월부터 1981년 6월 사이에 건설부가 산업기지개발공사에 위탁하여 건설하였다.댐의 주요 시설물은 본댐 외 초당 9,500㎥의 계획 홍수량을 조절, 방류하는 너비 13m, 높이 15.9m의 문비를 6문 보유하는 여수로 시설, 댐 좌안 직하류부의 시설 용량 9만㎾의 발전소 시설, 댐 4.5㎞ 하류에 높이 16.7m, 길이 234m, 유효 저수용량 7억 9000㎥로, 첨두 발전에 의한 유량의 기복을 재조정하는 역조정지댐, 길이 3.9㎞의 대전 도수터널, 길이 1.9㎞의 청주 도수터널, 댐 상류 좌안의 보조댐 3개 등이 있다.
둘째, 수리시설물의 유지관리이다. 관개용수의 수리시설물 중에서 대표적인 저수지의 경우, 현재 1만 8161개 소 중에 약 55%인 9,925개 소가 1945년 이전에 설치되어 노후화 되었으므로 준설·제당 보강공사 등 개·보수 및 유지관리가 절실한 실정이다.
셋째, 토공수로의 현대화이다. 과거에는 용수로를 토공수로로 설치하는 것이 공사비 절감에 유리하였기 때문에 대부분 토공수로로 설치하였다. 그 예로서 수리시설이 잘 되어 있는 농지개량조합 관리구역의 경우 용수로 5만 4520㎞ 중 76%인 4만 1553㎞가 아직도 토공수로로 되어 있다.
그러나 토공수로는 넓은 농지를 차지할 뿐 아니라 손실수량이 많고 수로 내의 토사가 퇴적·매몰되고, 제방이 붕괴되거나 수초가 무성하여 매년 준설, 개·보수, 제초 등 유지관리에 많은 인력과 비용이 소요된다.
만일 이를 소홀히 취급하면 관개시기에 물 손실뿐만 아니라 말단부 급수 등에 많은 지장을 준다. 따라서 토공수로의 현대화를 위하여 콘크리트 구조물화가 시급한 실정이다.
넷째는 수질오염 문제이다. 관개용수는 그 수량과 함께 수질도 매우 중요하다. 그런데 1970년부터 금강 평택지구를 비롯하여 곳곳에 대단위 농업종합개발사업이 추진되면서 하구언을 설치하고 담수호를 조성하여 관개용수를 확보, 사용하게 되는데, 이들 담수호의 상류 하천의 유역에 공업단지와 축산단지 등이 조성되며 공장폐수, 축산하수, 농약오수 등 공해물질이 배출·유입되어 결국 담수호의 수질이 부영양화현상으로 오염되게 마련이다.
전망
수리시설 개·보수, 보충용수 개발, 신규용수 개발, 대단위 간척농지 개발, 농어촌생활용수 개발 및 밭용수 개발사업
개·보수 사업은 1만 4000개 소로서 수로규모가 큰 간선 흙수로를 구조물화하고 퇴적이 심한 저수지를 준설하는 사업이다. 보충용수 개발사업은 이미 수리시설이 설치되었으나 가뭄극복 능력이 부족한 42만㏊ 중 15만㏊에 대한 보완시설 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다.
신규용수 개발사업은 농업진흥지역으로서 아직 용수가 해결되지 않은 10만㏊를 2004년까지 완전한 수리답으로 개발할 계획이며, 대단위 간척사업을 통하여 5만㏊의 우량대체농지와 하구부분의 한해상습지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보의 역할
정의 - 보는 내 따위를 막은 작은 수리 시설을 말합니다.
일반적으로 수중보라고 한다. 강에 둑을 약간 잠기게 설치를 해서 물의 흐름 속도를 낮추는 시설입니다.
(하천이나 강에서 수위를 일정하게 하기 위해 하천에 설치하는 것입니다.)
즉, 물의 속도를 낮추고 물속에 있는 둑으로서 구분을 해주어 위 , 아래 물이 섞이지 않게 하는 시설입니다
대청댐
정의
대전광역시 대덕구 미호동에 있는 댐.
내용
금강 본류를 가로지른 댐으로 우안은 충청북도 청원군 문의면 덕유리에 속한다. 금강 하구부터 150㎞, 대전시 동북방 16㎞, 청주시 남방 16㎞에 있다. 1960년대에 실시한 4대 강 유역 조사 사업의 성과에 따라, 1970년대 초에 성안된 4대 강 유역 수자원 개발 계획의 일환으로 1975년 3월부터 1981년 6월 사이에 건설부가 산업기지개발공사에 위탁하여 건설하였다.댐의 주요 시설물은 본댐 외 초당 9,500㎥의 계획 홍수량을 조절, 방류하는 너비 13m, 높이 15.9m의 문비를 6문 보유하는 여수로 시설, 댐 좌안 직하류부의 시설 용량 9만㎾의 발전소 시설, 댐 4.5㎞ 하류에 높이 16.7m, 길이 234m, 유효 저수용량 7억 9000㎥로, 첨두 발전에 의한 유량의 기복을 재조정하는 역조정지댐, 길이 3.9㎞의 대전 도수터널, 길이 1.9㎞의 청주 도수터널, 댐 상류 좌안의 보조댐 3개 등이 있다.